머리말


어른은 별다른 노력이 없이 우리를 찾아왔습니다. 그냥 나이를 먹으니 어른이 되어 버렸고, 주변 사람들도 우리를 어른으로 대접하고 있으니까요. 5


나이를 먹었다고 해서 어른이 되는 건 아닙니다. 자신의 삶을 결정할 수 있는 힘과 자유가 없다면, 어른이라고 해도 어른일 수 없는 법이니까요. 남의 눈치를 보지 않고 남의 평가에 연연하지 않아야 어른입니다. 싫은 건 싫다고 하고 좋은 건 좋다고 당당히 말할 수 있어야 어른입니다... 힘과 자유는 나이에 따라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용기를 갖고 싸워 얻어야 하는 것임을. 6



프롤로그 - 잠옷을 입고 실내에 있을 수도 없고 실외로 나갈 수도 없다면, 너는 어떻게 하겠는가?


‘도대체 내가 했던 모든 행동 중 오직 나만이 할 수 있었던 행동은 있기라도 한 것일까?’ ...

나와 같은 사람은 1,000년 전에도 없었고 1,000년 뒤에도 없을 겁니다. 아니, 지금도 나와 같은 사람은 없습니다. 그런데 나의 모든 행동은 너무나 타인들과 유사합니다. 그것도 지독하게 유사합니다. 이건 내가 나로서 살아가기보다는 누군가를 흉내 내면서 살아가고 있다는 걸 말해주는 것 아닐까요... 베케트(Samuel Baclay Beckett, 1906-1989)라는 우리 시대 가장 탁월한 작가가 고민했던 것도 바로 이것입니다. ‘어떻게 하면 나는 다른 누구도 아닌 바로 나로 행동하고 생각할 수 있을까?’ 13


‘화두(話頭)’. 상식적인 생각으로는 결코 해결할 길이 없는 딜레마나 역설로 가득 차 있는 물음이 바로 화두입니다. ...

화두는 자신만의 삶을 살아 내려면 반드시 통과해야만 하는 관문 같은 겁니다. 상식에 따라 살고 있는 사람에게는 풀릴 수 없는 역설로 보이지만, 자신만의 삶을 영위하고 있는 사람에게는 너무나 쉽게 풀리는 것이 화두이기 때문이지요. 15


스님들이 싯다르타를 존경하는 이유는 그가 자신의 삶을 영위하는 데 멋지게 성공했기 때문입니다. 16


‘무문관’ .. ‘문이 없는 관문’. 18


타인이 만든 문을 찾으려 두리번거리지 말고 온몸을 던져 뚫어 내라는 겁니다. 20



어느 날 사찰 깃발이 바람에 나무끼고 있었다. 이 광경을 보고 두 스님이 서로 논쟁을 했다. 한 스님은 “깃발이 움직인다”라고 말하고, 다른 스님은 “바람이 움직인다”라고 주장했다. 서로의 주장만이 오갈 뿐, 논쟁은 결코 해결되지 않는다. 이때 육조 혜능은 말했다. “바람이 움직이는 것도, 깃발이 움직이는 것도 아닙니다. 그대들의 마음이 움직이고 있을 뿐입니다.” 두 스님은 소스라치게 놀랄 수밖에 없었다. <무문관> 29칙 비풍비번(非風非幡). 24

깨달음을 지적으로 이해한다는 것과 그것을 몸소 체현하고 산다는 것 사이에는 엄청난 간극이 있습니다. 32



서암 사언 화상은 매일 자기 자신을 “주인공!”하고 부르고서는 다시 스스로 “예!”하고 대답했다. 그리고는 “깨어 있어야 한다! 예! 남에게 속아서는 안 된다! 예! 예!”라고 말했다. <무문관> 12칙 암환주인(巖喚主人). 33

니체는 차라투스트라의 입을 빌려 자신의 제자들에게 말했던 적이 있습니다. “나를 버리고 그대들 자신을 찾도록 하라. 그리하여 그대들 모두가 나를 부정하게 된다면, 그때 내가 다시 그대들에게 돌아오리라. 36

<논리철학논고>에서 비트겐슈타인의 유명한 말을 빌린다면, “사다리를 딛고 올라간 후에는 그 사다리를 던져 버려야”하는 법입니다. 37

주인이 되었다는 것은 단지 내 삶의 주인이 되었다는 것, 달리 말해 내 자신이 가진 잠재성을 활짝 꽃피우면서 살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37



송원 화상이 말했다. “힘이 센 사람은 무엇 때문에 자기 다리를 들어 올릴 수 없는가?” 또 말했다. “말을 하는 것은 혀끝에 있지 않다.” 20칙 대역량인(大力量人) 42

‘여여(如如)’ 혹은 ‘타타타’라고 부릅니다. ‘있는 그대로’라는 뜻이지요. ...

불변하는 영원한 자아를 불교에서는 ‘아(俄, atman)’라고 부릅니다. 불교는 이런 영원한 자아를 부정합니다. 영원한 것, 불변하는 것에 대한 집착은 우리 마음에 심각한 고통을 안겨 주기 때문이지요. 세상에 영원하거나 불변하는 것은 없으니까요. 44

불교의 가르침, 그리고 수행은 우리의 생생한 경험을 떠나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자신이 겪는 경험을 있는 그대로 보는 순간, 우리의 마음에는 평화가 찾아옵니다... 희론(戱論)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올바른 인식을 희롱하는 논의, 그러니까 있는 그대로의 사태를 보지 못하게 우리의 마음을 왜곡시키는 잘못된 논의라는 뜻이지요. 한마디로 말해 희론은 세상을 왜곡해서 보도록 만드는 색안경과 같은 것이지요.  45

?비트겐슈타인의 충고를 반복하고 싶습니다. "생각하지 말고, 보라(Don't think, but look)!" '이것은 이렇고 저것은 저럴 거야'라는 가치평가나 희론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오직 그럴 때에만 자신의 삶에서 벌어지는 근본적인 경험을 있는 그래도 여여하게 직시할 수 있을 테니 말입니다.  50



파토 화상이 대중들에게 말했다. "너희에게 주장자가 있다면, 너희에게 주장자를 주겠다. 너희에게 주장자가 없다면, 너희에게서 주장자를 빼앗을 것이다." <무문관> 44칙, '파초주장(芭蕉?杖)'  51

주장자(柱杖子)를 아시나요. 큰스님들이 길을 걸을 때나 설법을 할 때 들고 계시는 큰 지팡이를 말합니다. 그래서 그런지 주장자는 불교에서는 깨달은 사람, 즉 '불성(佛性)', 혹은 '본래면목(本來面目)'을 실현한 사람을 상징하게 된 것입니다.  51

'주장자가 없다'는 생각, 그리고 부처라는 생각마저 내려놓아야 깨달을 수 있다는 파초 스님의 생각은 매우 중요합니다.  53

베그르송(Henri Bergson, 1859~1941)은 자신의 주저 <창조적 진화>에서 "'없다'고 생각된 대상의 관념 속에는, 같은 대상이 '있다'고 생각되었을 때의 관념보다 더 적은 것이 아니라 더 많은 것이 들어 있다"라고 말입니다. 간단히 말해 '없다'는 생각이 '있다'는 생각보다 무엇인가 하나가 더 많다는 이야기입니다.  54

'지갑이 없어', '어머니가 돌아가셨어', '애인과 헤어졌어' 등등. 우리는 매번 '없음'에 직면하며 당혹감과 비통함을 느끼며 살아갑니다. 그것은 물론 우리가 지갑이 주머니에 있었다는 기억을, 살아 계신 어머니의 기억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겁니다. 바로 여기에 우리를 부자유스럽게 만드는 집착의 기원이 있습니다. 특히 우리에게 없어진 것이 소중한 것일수록 그것의 부재가 주는 고통은 헤아리기 힘들 정도의 고통일 겁니다. 없다는 느낌은 그만큼 그것이 있었을 때 느꼈던 행복을 안타깝게도 더 부각시키는 법이니까요.  55, 58

"너희에게 주장자가 없다면, 너희에게서 주장자를 빼앗을 것이다." .. 부처를 꿈꾸는 마음이 강해지면, 이제 역으로 자신이 아직 깨달은 자가 아니라는 사실에 절망하기 쉽습니다. 이런 절망이 다시 부처에 더 집착하도록 만들게 될 겁니다. .. 집착은 깨달은 자가 가지는 자유와는 무관한 것이니까요. .. 주장자가 있다는 오만도, 그리고 주장자가 없다는 절망도 모두 집착일 뿐입니다.  59



구지 화상은 무엇인가 질문을 받으면 언제나 단지 손가락 하나를 세울 뿐이었다. 뒤에 동자 한 명이 절에 남아 있게 되었다. 외부 손님이 "화상께서는 어떤 불법을 이야기하고 계시나요?"라고 묻자, 동자도 구지 화상을 본더 손가락을 세웠다. 구지 화상이 이런 사실을 듣고, 동자를 불러 칼로 그의 손가락을 세웠다. 구지 화상이 이런 사실을 듣고, 동자를 불러 칼로 그의 손가락을 잘랐다. 동자는 고통으로 울부짖으며 방 밖으로 나가오 ㅆ는데, 구지 화상은 동자를 다시 불렀다. 동자가 고개를 돌리자, 바로 그 순간 구지 화상은 손가락을 세웠다. 동자는 갑자기 깨달았다. 

구지 화상이 세상을 떠나면서 여러 제자들에게 말했다. "나는 천룡 스님에게서 '한 손가락 선'을 얻어 평생 동안 다함이 없이 사용했구나!" 말을 마치자 그는 입적했다. <무문관> 3칙. '구지수지(俱?竪指)'  60

선불교에서는 깨달음을 자신의 본래면목을 실현하는 것이라고도 말합니다.  61

들뢰즈는 <차이와 반복>에서 반복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다는 것을 명확히. 하나는 '동일자의 반복'이고 다른 하나는 '차이의 반복'입니다.  63

<장자(莊子)>라는 책에는 '한단지보(邯鄲之步)'라는 고사가 하나 등장합니다. 초(楚)나라 사람이 세련되어 보이는 조(趙)나라의 걸음걸이를 흉내 내다가 조나라 스타일의 걸음걸이도 익히지 못하고 예전 초나라 스타일의 걸음걸이마저 까먹어 버렸다는 이야기입니다. .. 다른 걸음걸이를 흉내 내는 것이 '동일자의 반복'이라면, 자기만의 걸음걸이를 걷는 것이 바로 '차이의 반복'에 해당. 그러니까 남을 흉내 내지 않는 것으로 깨달음에 이를 수는 없는 법입니다. 자기만의 차이를 실현할 수 없다면, 우리는 항상 남을 흉애 내는 위험에 노출될 수밖에 없으니까 말입니다.  65



남전 화상은 동당과 서당의 수행승들이 고양이를 두고 다투고 있으므로 그 고양이를 잡아 들고 말했다. "그대들이여, 무엇인가 한다미 말을 할 수만 있다면 고양이를 살려 줄 테지만, 말할 수 없다면 베어 버릴 것이다." 수행승들은 아무 말도 할 수 없었다. 남전은 마침내 그 고양이를 베어 버렸다. 그날 밤 조주가 외출하고 돌아왔다. 남전은 낮에 있던 일을 조주에게 이야기했다. 바로 조주는 신발을 벗어 머리에 얹고 밖으로 나가 버렸다. 그러자 남전은 말했다. "만일 조주가 그 자리에 있었다면 고양이를 구할 수도 있었을 텐데." <무문관> 14칙. '남전참묘(南泉斬猫)'  68

신발을 머리에 얹었다는 것은 조주가 집착에서 벗어나 있다는 것을 상징합니다. 보통 사람이라면 모자는 머리에 얹고 신발을 발에 신는 것을 영원불변한 진리이자 규칙이라고 생각할 겁니다. 그러니까 결코 신발을 머리에 얹거나 모자를 발에 신는 일은 없을 겁니다. 그렇지만 바로 이것이야말로 주인공이 아니라 습득한 규칙을 맹목적으로 따르는 노예로서의 삶을 살아간다는 사실을 보여 주는 것 아닐까요. 반면 신발을 머리에 얹음으로써 조주는 신발과 모자와 관련된 기존의 통념, 혹은 기존의 생활양식을 경쾌하게 부정해 버립니다.  71-73

칸트(Immanuel Kant, 1724~1804)의 <판단력 비판>에서 칸트는 판단력을 '규정적 판단력(bestimmende Urteilskraft)'과 '반선적 판단력(reflektierende Urteilskraft)'으로 구분합니다. 모자는 머리에 쓰고 신발은 발에 신어야 한다는 기존의 규칙에 따라 판단하는 것이 규정적 판단력이라면, 기존의 규칙을 부정하고 새로운 규칙을 만들어 내는 판단이 바로 반성적 판단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규정적 판단력이 규칙을 따르는 생각이라면, 반성적 판단력은 규칙을 창조하는 생각이라고 간단히 정리할 수 있을 겁니다.  73



어느 스님이 "어떤 것이 부처입니까?"라고 묻자, 운문 스님은 "마른 또 막대기"라고 말했다. <무문관> 21칙, '운문시궐(雲門屎?)'  104

부처에게 의지한다면, 우리는 절대로 성불할 수 없습니다. 부처란 당당한 주인공으로 자신의 삶을 영위하는 사람이니까요.  107

깨달음은 자신이 주인공이라는 것을 절실하게 아는 것이고, 해탈은 조연의 삶에서 벗어나는 것을 의미하니까요.  109



동산 스님이 설법하려고 할 때, 운문 스님이 물었다. "최근에 어느 곳을 떠나 왔는가?" 동산은 "사도(査渡)입니다"라고 대답했다. 이어서 운문 스님이 "여름에는 어디서 있었는가?"라고 묻자, 동산은 "호남의 보자사(報慈寺)에 있었습니다"라고 대답했다. 바로 운문 스님이 "언제 그곳을 떠났는가?"라고 묻자, 동산은 8월 25일에 떠났습니다"라고 대답했다. 그러자 운문 스님은 말했다. "세 차례 후려쳐야겠지만 너는 용서하마."

동산은 다음 날 다시 운문 스님의 처소로 올라와 물었다. "어저께 스님께서는 세 차례의 몽둥이질을 용서하셨지만, 저는 제 잘못이 어디에 있었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러자 운문 스님이 말했다. "이 밥통아! 강서로 그리고 호남으로 그런 식으로 돌아다녔던 것이냐!" 이 대목에서 동산은 크게 깨달았다. <무문관> 15칙. '동산삼돈(洞山三頓)'  120

깨달음을 얻은 스승이 할 수 있는 유일한 역할은 제자가 스스로 깨달음의 등불을 발화시키도록 격려하고 자극하는 것뿐입니다.  121

<임제록>에서 임제의 속내를 가장 분명히 보여 주는 것은 "수처작주(隨處作主) 입처개진(立處皆眞)"이라는 그의 사자후가 아닐까 싶습니다. '수처작주, 입처개진'이란 '이르는 곳마다 주인이 된다면, 서 있는 곳마다 모두 참되다'는 뜻입니다. .. "안이건 밖이건 만나는것은 무엇이든지 바로 죽여 버려라. 부처를 만나면 부처를 죽이고, 조사를 만나면 조사를 죽이고, 나한을 만나면 나한을 죽이고, 부모를 만나면 부모를 죽이고, 친척을 만나면 친척을 죽여라. 그렇게 한다면 비로소 해탈할 수 있을 것이다." 잊지 말아야 합니다. 해탈한다는 것, 그래서 부처가 된다는 것은 일체의 외적인 권위에 좌지우지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삶에 당당한 주인공이 된다는 것,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라는 사실을 말입니다.  122-123

여행에는 두 종류가 있습니다. 하나는 가짜 여행이고, 다른 하나는 진짜 여행입니다. 눈치가 빠르신 분은 무슨 말인지 금방 짐작하실 겁니다. 가짜 여행은 출발지도 있고 목적지도 있습니다. 그래서 가짜 여행을 하는 사람은 여행 도중에서도 항상 출발지와 목적지에 집착하느라 여행 자체를 즐길 수가 없을 겁니다. 서둘러 목적지에 도착해야 하고, 그리고 서둘러 출발지로 되돌아와야만 하니까요. 당연히 여행 도중에서 만나게 되는 코를 유혹하는 수많은 꽃 내음들, 뺨을 애무하는 바람들, 실개천의 속삭임들, 지나가는 마을에서 열리는 로맨틱한 축제조차도 그는 향유할 수도 없을 겁니다. 아니, 그는 우리의 삶을 풍성하게 하는 이런 사건과 사물들을 저주하기까지 할 것입니다. 이런 것들은 모두 목적지에 가는데 장애가 되는 것들이기 때문이지요. 결국 그에게 여행의 주인공은 그 자신이라기보다는 출발지와 도착지라고 해야 할 겁니다.

장자(莊子, BC369~BC289?)는 진짜 여행을 '소요유(逍遙遊)'라고 표현했던 적이 있습니다. 여기서 '소요(逍遙)'라는 말은 '아무런 목적도 없이 한가하다'는 의미입니다. 장자도 진짜 여행이란 출발지와 목적지에 집착하지 않는 여행이라는 것을 알았던 셈입니다. 진짜 여행을 하는 사람은 항상 여행 도중에 자유롭게 행동합니다. 멋진 곳이면 며칠이고 머물지만, 그렇지 않은 곳이면 과감하게 떠납니다. 간혹 아름다운 새를 쫓다가 다른 곳으로 가기도 일쑤입니다. 그는 출발지와 목적지의 노예가 아니라, 맵ㄴ 출발지와 목적지를 만드는 주인이기 때문이지요. 알튀세르(ALouis Althusser, 1918~1990)눈 <유물론 철학자의 초상>이라는 글에서 이런 사람을 '유물론 철학자'라고 부릅니다. "그는 아주 늙었을 수도 있고, 아주 젊었을 수도 있다. 핵심적인 것은 그가 자신이 어디에 있는지 모른다는 것, 그리고 어디론가 가고 싶어 한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언제나 그는 미국 서부영화에서 그런 것처럼 달리는 기차를 탄다. 자기가 어디서 와서(기원), 어디로 가는지(목적) 전혀 모르면서."

인간의 삶을 여행에 비유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정확히 말하자면 인간의 삶 자체가 바로 여행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 번밖에 없는 소중한 삶을 제대로 영위하려면 우리는 기원과 목적, 과거와 미래, 출발지와 목적지에 집착하지 말아야 합니다. 출발지와 목적지를 염두에 두지 않으니, 우리가 내딛는 걸음걸음마다 자연스럽고 여유로울 수밖에 없습니다. 임제 스님의 말처럼 모든 것이 참될 수밖에 없지요. 당연히 만나는 것마다 따뜻한 시선으로 모두 춤어 줄 수 있을 겁니다. 반면 목적지로 가느라, 혹은 출발지로 되돌아오느라 분주한 사람에게 어떻게 자신을 돌보고 타인을 돌보는 '자리(自利)'와 '이타(利他'의 자비로운 마음을 기대할 수 있겠습니까. 그러니 <무문관>의 열다섯번째 관문을 통화하면서 우리의 가슴에 임제의 가르침을 한 글자 한 글자 깊게 아로새길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수(隨)' '곳 처(處)', '될 작(作)', '주인 주(主)', '설 입(立)', '곳 처(處)', '모두 개(皆), '참될 진(眞)'. 수처작주, 입처개진!  125-127



옛날 석가모니가 영취산의 집회에서 꽃을 들어 대중들에게 보여 주었다. 이때 대중들은 모두 침묵했지만, 오직 위대한 가섭만이 환하게 미소를 지었다. 그러자 석가모니는 말했다. "내게는 올바른 법을 보는 안목, 즉 열반에 이른 미묘한 마음, 실상(實相)에는 상(相)이 없다는 미묘한 가르침이 있다. 그것은 문자로 표현할 수도 없어 가르침 이외에 별도로 전할 수밖에 없기에 위대한 가섭에게 맡기겠다." <무문관> 6칙, '세존염화(世尊拈花)'  130

평범한 사람에게도 그만의 세계가 있고, 깨달은 사람에게도 그만의 세계가 있는 법입니다. 문제는 우리가 자신의 세계를 부정하고 다른 진짜 세계, 혹은 초월적인 세계를 꿈꾸고 있다는 데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집착입니다.  136-137



어느 스님이 물었다. "광명이 조용히 모든 세계에 두루 비치니..." 한 구절이 다 끝나기도 전에 운문 스님은 갑자기 말했다. "이것은 장졸 수재의 말 아닌가!" 그 스님은 "예"라고 대답했다. 그러자 운문 스님은 "말에 떨어졌군"이라고 말했다.

뒤에 사심 스님은 말했다. "자, 말해 보라! 어디가 그 스님이 말에 떨어진 곳인가?" <무문관> 39칙, '운문화타(雲門話墮)'  138

제도나 관습에 의존한다는 것 자체가 이미 주인공이 아니라 무엇인가를 숭배하는 노예의 삶일 뿐이기에, 스님이 되어야만 부처가 된다는것은 불교에서는 용인할 수 없는 일입니다.  139

 - 깨달은 삶을 살아가는 것과 깨달음에 대해 말하는 것 사이에는 엄청난 간극이 있습니다. -

현대 영국의 철학자 라일(Gilbert Ryle, 1900~1976)도 자신의 논문 <실천적 앎과 이론적 앎>에서 말했던 적이 있습니다. "어떤 사람이 해당 상황에 대한 지적인 명제들을 안다고 해도 그 사람은 여전히 요리하거나 운전할 줄 모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무엇인가를 할 줄 아는 실천적 앎과 단지 이론적으로만 아는 이론적 앎을 명확히 구분한 이야기입니다.  143-144

말이 무엇이 중요합니까? 중요한 것은 진짜로 깨달았는지의 여부니까요. 진짜로 깨달은 사람이라면 그의 횡설수설이 모두 오도송입니다. 반대로 깨닫지도 않은 사람이라면 그가 경전이나 선사의 말에 부합되는 말을 아무리 잘해도 그것은 모두 횡설수설에 불과한 법입니다.  145

깨달은 스승이 깨닫지 않은 제자를 강제로 깨달음에 이끌 수는 없습니다. 제자 스스로 깨닫도록 도울 수밖에 없습니다.  148



백장 화상이 설법하려고 할 때, 항상 대중들과 함게 설법을 듣고 있던 노인이 한 명 있었다. 설법이 끝나서 대중들이 모두 물러가면, 노인도 물러가곤 했다.그런데 어느 날 노인은 설법이 끝나도 물러가지 않았다. 마침내 백장 화상이 물었다. "내 앞에 서 있는 사람은 도대체 누구인가?" 그러자 노인은 말했다. "예. 저는 사람이 아닙니다. 옛날 가섭 부처가 계실 때 저는 이 산에 주지로 있었습니다. 당시 어느 학인이 제게 물었습니다. '크게 수행한 사람도 인과(因果)에 떨어지는 경우는 없습니까?' 저는 '인과에 떨어지지 않는다'라고 대답했다가 500번이나 여우의 몸으로 거듭 태어나게 되었습니다. 화상께서 제 대신 깨달음의 한마디 말을 하셔서 여우 몸에서 벗어나도록 해 주십시오." 마침내 노인이 "크게 수행한 살마도 인과에 떨어지는 경우는 없습니까?"라고 묻자, 백장 화상은 대답했다. "인과에 어둡지 않다." 백장의 말이 끝나자마자 노인은 크게 깨달으며 절을 올리면서 말했다. "저는 이미 여우 몸을 벗어서 그것을 산 뒤에 두었습니다. 화상께서 죽은 스님의 예로 저를 장사 지내 주시기를 바랍니다."

백장 화상은 유나에게 나무판을 두들겨 다른 스님들에게 알리도록 했다. "공양을 마친 후 죽은 승려의 장례가 있다." 그러자 스님들은 서로 마주보며 쑥덕였다. "스님들이 모두 편안하고 열반당에도 병든 사람이 없는데, 무엇 때문에 이런 분부를 내리시는 것인지?" 공양을 마친 후 백장 화상은 스님들을 읶르로 산 뒤쪽 큰 바위 밑에 이르러 지팡이로 죽은 여우 한 마리를 끌어내어 화장(火葬)을 시행했다.

백장 화상은 저녁이 되어 법당에 올라가 앞서 있었던 사연을 이야기했다. 황벽 스님이 바로 물었다. "고인이 깨달음의 한마디 말을 잘못해서 500번이나 여우 몸으로 태어났습니다. 매번 하나하나 틀리지 않고 말한다면, 무엇이 되겠습니까?" 그러자 백장 화상은 말했다. "가까이 앞으로 와라. 네게 알려 주겠다." 가까이 다가오자마자 황벽 스님은 스승 백장의 뺨을 후려갈겼다. 백장 화상은 박수를 치면서 말했다. "달마의 수염이 붉다고는 이야기하지만, 여기에 붉은 수염의 달마가 있었구나!" <무문관> 2칙, '백장야호(百丈野狐)'  154-155

죽어서 천국을 꿈꾸는 것이 아니라 살아서 인간이 살아 낼 수 있는 가장 자유로운 삶을 영위하려는 것, 이것이 바로 불교의 정신입니다.  155

나가르주나(Nagarjuna, 150?~250?). .. 불교 역사상 가장 탁월한 이론가입니다. 나가르주나는 흔히 제2의 싯다르타이자 동시에 대승불교 여덟 종파의 시조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

그의 주저 <중론(中論)>에 보면 "어떤 존재도 인연(因緣)으로 생겨나지 않는 것은 없다. 그러므로 어떠한 존재도 공(空)하지 않은 것이 없다."  156

그저 인연이 맞아서, 혹은 인연이 서로 마주쳐서 무엇인가 생기는 것이고, 반대로 인연이 다해서, 혹은 인연이 서로 헤어져서 무엇인가가 소멸할 뿐입니다. 그러니 무엇인가 생겼다고 기뻐하거나 무엇이 허무하게 사라진다고 해도 슬퍼할 필요는 없는 겁니다. 이것이 바로 '공'이라는 개념으로 나가르주나가 우리에게 말하고자 했던 것입니다. .. 깨달은 사람은 모든 것을 공하다고 보기에 그것들에 집착하지 않는 것입니다.  157-158

핵심은 '있는 그대로'라는 말로 표현되는 불교의 강력한 현실주의입니다. 이것은 우리 인간 대부분이 사태를 '있는 그대로'가 아니라 무엇인가 색안경을 끼고 본다는 것을 전제하는 겁니다. 나가르주나에 따르면 색안경으로 사태를 보는 생각에는 크게 두 종류가 있습니다. 하나는 상견(常見 항상상 볼견)이고, 다른 하나는 단견(斷見 끊을단 볼견)입니다. 글자 그대로 상견이 모든 것에는 '불변하는 것(常)'이 있다는 견해(見)라면, 단견은 모든 것이 순간적으로 변해 '연속성이 없다(斷)'는 견해(見)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상견은 아주 강한 절대적인 인과론이고, 단견은 인과론에 대한 철저한 부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우리는 상견도, 단견도 버려야만 합니다. 그래야 있는 그대로 사태를 볼 수 있을 테니까 말입니다. .. 원인과 결과는 절대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도, 그렇다고 절대적으로 무관한 것도 아니라는 겁니다.  158-159



혜능 스님이 혜명 상좌가 대유령에까지 추적하여 자기 앞에 이른것을 보고 가사와 발우를 돌 위에 놓고 말했다. "이것들은 불법을 물려받았다는 징표이니 힘으로 빼앗을 수 있는 것이겠는가? 그대가 가져갈 수 있다면 가져가도록 하라!" 혜명은 그것을 들려고 했으니 산처럼 움직이지 않지 당황하며 두려워했다. 혜명은 말했다. "제가 온 것은 불법을 구하기 위한 것이지, 가사 때문은 아닙니다. 제발 행자께서는 제게 불법을 보여 주십시오." 혜능 스님이 말했다. "선(善)도 생각하지 않고 악(惡)도 생각하지 않아야 한다. 바로 그러한때 어떤 것이 혜명 상좌의 원래 맨얼굴인가?" 혜명은 바로 크게 깨달았는데, 온몸에 땀이 흥건했다. 혜명은 깨달았다는 감격에 눈물을 흘리며 혜능에게 절을 올리며 물었다. "방금 하신 비밀스런 말과 뜻 이외에 다른 가르침은 없으십니까?" 그러자 혜능은 말했다. "내가 그대에게 말한 것은 비밀이 아니네. 그대가 스스로 자신의 맨얼굴을 비출 수만 있다면, 비밀은 바로 그대에게 있을 것이네." 혜명은 말했다. "제가 비록 홍인 대사의 문하에서 수행을 하고 있었지만, 실제로는 제 자신의 맨얼굴을 깨닫지는 못했습니다. 오늘 스님에게서 가르침을 받은 것이 마치 사람이 직접 물을 먹으면 차가운지 따뜻한지 스스로 아는 것과 같았습니다. 지금부터 스님께서는 저의 스승이십니다." 그러자 혜능은 말했다. "그렇다면 나와 그대는 이제 홍인 대사를 함께 스승으로 모시는 사이가 된 셈이니, 스스로를 잘 지키시게." <무문관> 23칙, '불사선악(不思善惡)'  164-165

자신의 삶을 스스로 긍정하지 못하는 순간, 인간은 외적인 무엇인가를 통해서라도 자신의 가치를 인정받으려고 합니다. 권력과 지위를 추구하는 것도, 엄청난 부를 욕망하는 것도, 그리고 학위를 취득하려는 것도 다 이런 이유에서입니다.  165

"선과 악을 넘어. 이것은 적어도 좋음과 나쁨을 넘어선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니체의 주저 중 하나인 <도덕의 계보학>에 등장하는 구절입니다. 이 구절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선과 악(Good & Evil)'과 '좋음과 나쁨(Good & bad)'을 구별해야만 합니다. 핵심은 '선과 악'의 기준과 '좋음과 나쁨'의 기준이 다르다는 데 있습니다. '선과 악'의 기준은 외적인 권위에 의해 부가되지만, '좋음과 나쁨'은 우리 자신의 삶에서 판단하는 겁니다. 외적인 권위로는 종교적 명령이나 사회적 관습을 들 수 있을 겁니다. 결국 선악이라는 관념은 우리 자신의 삶에 기원을 두기보다는 외적인 권위에 굴복하고 적응할 때 발생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169

선악을 넘어서 좋음과 나쁨을 판단하는 맨얼굴을 회복한 사람, 그 사람이야말로 삶의 주인공입니다. 바로 이런 사람을 니체는 초인(Ubermensch)이라고, 혜능은 부처라고 불렀던 겁니다.  170



동산(東山)의 법연 스님이 말했다. "석가도 미륵도 오히려 그의 노예일 뿐이다. 자, 말해 보라! 그는 누구인가?" <무문관> 45칙, '타시아수(他是阿誰)'  172

구조주의 인류학자 레비스트로스(Claude Levi-Strauss, 1908~2009)는 1955년에 출간된 자신의 주저 <슬픈 열대>에서 말했던 적이 있습니다. 문자야말로 계급과 권력이 발생하는 기원이라고 말입니다. 다시 말해 문자가 출현하면서 문자를 독해할 수 있는 계층과 그렇지 않은 계층으로 사람들이 분화된다는 것입니다. 정신노동과 육체노동 사이의 오래된 위계적 분업 체계가 발생한 것도 사실 문자가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겁니다.  174



조주가 어느 암자 주인이 살고 있는 곳에 이르러 물어싿. "계십니까? 계십니까?" 암자 주인은 주먹을 들었다. 그러자 조주는 "물이 얕아서 배를 정박시킬 만한 곳이 아니구나"라고 말하고는 바로 그곳을 떠났다. 다시 조주가 어느 암자 주인이 살고 있는 곳에 이르러 물었다. "계십니끼? 계십니까?" 그곳 암자 주인도 역시 주먹을 들었다. 그러자 조누는 "줄 수도 있고 뺏을 수도 있으며 죽일 수도 있고 살릴 수도 있구나"라고 말하고는 그에게 절을 했다. <무문관> 11칙, '주감암주(州勘庵主)'  189

<서경(書經)>에도 나오지 않던가요. "성인도 망념을 가지면 광인이 되고, 광인도 망념을 이기면 성인이 된다."  195



어떤 스님이 "어떤 것이 부처입니까?"라고 묻자, 마조는 말했다. "마음도 아니고, 부처도 아니다." <무문관> 33칙, '비심비불(非心非佛)'  197

마조의 개성을 이해하려면, 그가 자신의 스승 남악(南岳, 677~744)에게서 무엇을 배웠는지 알아야만 합니다. 남악 스님은 바로 육조 혜능(六祖慧能)의 직제자이지요. 마조와 나악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에피소드가 전해옵니다. 어느 날 남악이 마조에게 물었다고 합니다. "그대는 좌선하여 무엇을 도모하는가?" 그러자 마조가 말했습니다. "부처가 되기를 도모합니다." 그러나 남악은 벽돌 한 개를 가져와 암자 앞에서 갈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기이한 풍경에 마조는 스승에게 물었다고 합니다. "벽돌을 갈아서 어찌하려고 하십니까?" "갈아서 거울을 만들려고 하네." 당황스런 얼굴로 마조는 물었다고 합니다. "벽돌을 간다고 어떻게 거울이 되겠습니까?" 그러자 남악은 퉁명스럽게 대답합니다. "벽돌을 갈아 거울이 되지 못한다면, 좌선하여 어떻게 부처가 되겠는가?" 마조의 이야기를 담은 <마조록(馬祖錄)>에 실려 있는 에피소드입니다.  198-199

더 좋다는 것을 추구하고 더 나쁘다는 것을 피한다는 것, 이것은 우리가 외적 가치의 노예라는 것을 보여 줍니다. 그러니 중요한 것은 이런 일체의 가치평가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것 아닐까요. .. 평생 남의 꽁무니마 ㄴ쫓아다녀서야 어떻게 자신의 의지대로 한걸음이라도 걸어 보는 경험을 할 수가 있겠습니까. 

부처란 무엇인가요. 어떤 것에도 집착하지 않는 자유로운 마음을 가지고 있는 사람입니다. 집착은 무엇인가에 집중해 마음을 빼앗기는 것입니다.  200

마조를 상징하는 명제, "평상심시도(平常心是道)"

평상시의 마음이 바로 부처가 되는 길이라는 의미입니다. 교종이 자랑하는 불겨엥 대한 지적인 이해도 아니고, 그렇다고 선종 전통에서 강조하는 좌선도 부처가 될 수 있는 길이 아니라는 겁니다. 다시 말해 그저 평상시의 마음만 유지할 수만 있다면, 바로 그 순간 누구나 부처가 될 수 있다는 것이지요.  203

물을 긷고 땔나무를 나를 때도, 제자들에게 몽둥이질을 할 때도, 최고 권력자를 만날 때도, 어느 경우나 '평'의 마음이 '지속'될 때 마침내 우리는 부처가 되는 것입니다.  204



어느 스님이 말했다. "저는 최근 이 사찰에 들어왔습니다. 스승께 가르침을 구합니다." 그러자 주조는 말했다. "아침 죽은 먹었는가?" 그 스님은 말했다. "아침 죽은 먹었습니다." 조주가 말했다. "그럼 발우나 씻게." 그 순간 그 스님에게 깨달음이 찾아왔다. <무문관> 7칙, '조주세발(趙州洗鉢)'  213

마음을 양파 껍질처럼 벗겨서 제거하려는 것 자체가 일종의 지박이라고 말입니다. 불교의 가르침, 즉 불법은 집착을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그렇지만 불법에 집착하는 것 자체도 집착일 수밖에 없습니다. ..  중요한 것은 내면이냐 외면이냐가 아닙니다. 핵심은 집착이 있느냐 없느냐의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217

무엇인가에 집착하는 순간, 아니면 무엇인가를 지나치게 의식하는 순간, 우리는 주인공이 될 수 없습니다.  219



운문 화상이 말했다. "세계는 이처럼 넓은데, 무엇 때문에 종이 울리면 칠조(七條)의 가사를 입는 것인가?' <무문관> 16칙, '종성칠조(種聲七條)'  221

벤야민의 주저 <아케이드 프로젝트(Arcades Project)>에는 "역사의 진보와 마찬가지로 학문의 진보도 항상 그때그때의 1보만이 진보이며 2보도 3보도 n+1보도 결코 진보가 아니다." ...

1보는 걷지 않고서 꿈꾸는 2보도, 3보도, 그리고 n+1보도 단지 백일몽에 불과할 수밖에 없습니다. 아니 현실적으로 말해 2보보다는 3보를, 3보다는 4보를, 아니 100보를 꿈꾸는 순간, 우리는 1보 내딛는 것의 중요성을 망각하게 됩니다.  222



'젊은 사람의 소중한 역할이란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일과 부딪히는 것, 그리고 '아무것도 아니야, 아무런 가치도 없어!'라고 환멸을 느끼는 사람들의 주장이 잘못되었으며 강압적이라는 걸 스스로 확신하는 데 있다. - 바디우(Alain Badiou, 1937~)  231



위산 화상이 백장 문하에서 공양주의 일을 맡고 있을 때였다. 백장은 대위산의 주인을 선출하려고 위산에게 수좌와 함께 여러 스님들에게 자신의 경지를 말하도록 했다. "빼어난 사람이 대위산의 주인으로 가는 것이다." 백장은 물병을 들어 바닥에 놓고 말했다. "물병이라고 말해서는 안 된다. 그렇다면 너희 둘은 무엇이라고 부르겠는가!" 수좌가 먼저 말했다. "나무토막이라고 불러서는 안 됩니다." 백장은 이어 위산에게 물었다. 그러자 위산은 물병을 걷어차 넘어뜨리고 나가 버렸다. "수좌는 위산에게 졌구나!"라고 웃으면서 마침내 위산을 대위산의 주인으로 임명했다. <무문관> 40칙, '적도정병(?倒淨甁)'  232

모든 사람이 주인공으로서 자신의 삶을 사는 것, 그래서 들판에 가득 핀 다양한 꽃들처럼 자기만의 향과 색깔로 살아가는 것이 바로 화엄세계입니다.  233

불교의 역사도 마찬가지지만 선종의 역사는 자기가 속한 학파를 극복하는 역사, 혹은 스승의 스타일을 부정하고 자기만의 스타일을 창조하는 단독화(singularization)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을 겁니다. 다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자기만의 스타일을 창조하는 순간이 바로 깨달음에 이른 순간.  233

스승을 통쾌하게 짓밟고 자신의 길을 가는 것, 이것이 바로 다른 종교나 사상이 범접하기 힘든 불교만의 정신이자 스타일입니다.  234

삶의 주인공은 죽이 되는 밥이 되든 스스로 당당하게 자신의 삶을 개척해야 합니다.  238



흑암 화상이 말했다. "서쪽에서 온 달마는 무슨 이유로 수염이 없는가?" <무문관> 4칙, '호자무수(胡子無鬚)'  240

<이입사행론>은 깨달음에 들어가는(入) 두 가지(二) 방법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하나는 '이입(理入)'이고, 다른 하나는 '행입(行入)'입니다. 이치로 드어가는 지적인 방법과 실천으로 들어가는 실천적인 방법, 이 두 가지로 깨달음에 이를 수 있다는 겁니다.  242



어느 스님이 노파에게 "오대산으로 가는 길은 어느 쪽으로 가면 되나요?"라고 묻자, 노파는 "똑바로 가세요." 스님이 세 발짝이나 다섯 발짝인지 걸어갔을 때, 노파는 말했다. "훌륭한 스님이 또 이렇게 가는구나!" 뒤에 그 스님이 이 일을 조주에게 말하자, 조주는 "그래, 내가 가서 너희들을 위해 그 노파의 경지를 간파하도록 하마"라고 이야기했다. 다음 날 바로 노파가 있는 곳에 가서 조주는 그 스님이 물었던 대로 묻자, 노파도 또한 대답했던 대로 대답했다. 조누는 돌아와 여러 스님들에게 말했다. "오대산의 노파는 내가 너희들을 위해 이제 완전히 간파했다." <무문관> 31칙, '조주감파(趙州勘婆)'  266

용기가 있어서 번지 점프를 하는 것이 아니라, 번지 점프를 하는 것이 바로 용기가 있는 겁니다. 근기도 마찬가지 아닐까요? 상근기여서 부처가 되려는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끈덕지게 부처가 되려고 노력하는 사람이 상근기인 겁니다. 그러니까 산사에는 상근기가 많이 모이는 것이 아니라, 산사라는 좋은 조건 때문에 부처가 되려는 열망이 쉽게 식지 않아서 사람들이 끈덕지게 수행할 수 있다고 하는 것이 정확한 표현일 겁니다.  268-269



향엄 화상이 말했다. "가령 어떤 사람이 나무에 올랐는데, 입으로는 나뭇가지를 물고 있지만 손으로는 나뭇가지를 붙잡지도 않고 발로고 나무를 밟지 않고 있다고 하자. 나무 아래에는 달마가 서쪽에서부터 온 의도를 묻는 사람이 있다. 대답하지 않는다면 그가 질문한 것을 외면하는 것이고, 만일 대답한다면 나무에서 떨어져 생명을 잃게 될 것이다. 바로 이런 경우에 어떻게 대답할 것인가?" <무문관> 5칙, '향엄상수(香嚴上樹)'  282

불교에서는 행동을 업(業, Karman)이라고 합니다. 행동은 그에 걸맞은 결과를 낳는다는 것, 바로 이것이 불교의 업보(業報, karma-vipaka)이론입니다. 타인에게 좋든 그르든 강한 결과를 남기는 업을 불교에서는 전통적으로 세 가지로 이야기합니다. 바로 삼업(三業)이지요. 몸으로 짓는 업을 신업(身業), 말로 짓는 업을 구업(口業), 생각으로 짓는 업을 의업(意業)이라고 부릅니다.  283

말할 수 없는 것에 침묵해야만 하고, 말할 필요가 없는 것에도 침묵해야만 합니다. 침묵할 수 있는 사람만이 제대로 말할 수 있는 사람입니다. 반대로 말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제대로 말할 수 있는 사람은 침묵할 수도 있는 사람이라고 말입니다.  286



어느 날 덕산 화상이 발우를 들고 방장실을 내려갔다. 이때 설봉 스니이 "노스님! 식사 시간을 알리는 종도 북도 울리지 않았는데, 발우를 들고 어디로 가시나요?"라고 묻자, 덕산 화상은 바로 방상실로 되돌아갔다. 설봉 스님이 암두 스님에게 이 이야기를 하자, 암두 스님은 말했다. "위대한 덕산 스님이 아직 '궁극적인 한마디의 말'을 알지 못하는구나!"

덕산 화상은 이 이야기를 듣고 시자(侍者)를 시켜 암두 스님을 불러 오라고 했다. 덕산 화상은 암두 스님에게 물었다. "그대는 나를 인정하지 않는 것인가?" 암두 스님이 아무에게도 안 들리게 자신의 뜻을 알려 주자, 덕산 스님은 더 이상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다음 날 덕산 화상이 법좌(法座)에 올랐는데, 정말 평상시와 같지 않았다. 암두 스님은 승당 앞에 이르러 박장대소하며 말했다. "이제 노스님이 '궁극적인 한마디의 말'을 이해하게 되었으니 기뻐할 일이다. 이후 세상 사람들은 그를 어쩌지 못하리라." <무문관> 13칙, '덕산탁발(德山托鉢)'  298

누구나 알고 있듯 불교는 자비를 슬로건으로 합니다. 보통 자비는 불쌍한 사람에게 베푸는 연민이나 동정의 뜻으로 쓰이지만, 산스크리트어를 살펴보면 우리는 흥미로운 사실을 하나 알게 됩니다. 우정을 뜻하는 '마이트리(maitri)'라는 말과 연민을 뜻하는 '카루나(karuna)'로 구성된 합성어가 바로 자비(maitri-karuna)니까요. 여기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은 바로 마이트리, 즉 우정 혹은 동료애라는 의미 아닐까요. 자비라는 말에는 근본적으로 높은 사람과 낮은 사람이라는 수직성보다는 동등한 두 사람이라는 수평성이 함축되어 있기 때문이지요. 우리가 연민을 느끼는 사람일지라도, 그 역시 우리와 동등하다는 사실이 중요합니다.  299



오조 법연 화상이 말했다. "길에서 도(道)에 이른 사람을 만나면, 말로도 침묵으로도 대응해서는 안 된다. 자, 말해 보라! 그렇다면 무엇으로 대응하겠는가?" <무문관> 36칙, '노봉달도(路逢達道)'  323

'왜 부처와 같은 사람을 만나면 말로도 침묵으로도 대응해서는 안 되는 것일까?' 깨달은 사람, 그러니까 주인공으로 삶을 당당히 영위하는 사람은 타인의 평판, 즉 타인의 말이나 침묵에 동요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327



조산 화상에게 어느 스님이 물었다. "저 청세는 고독하고 가난합니다. 스님께서는 제게 무언가를 베풀어 주십시오." 조산 화상은 말했다. "세사리!" 그러자 청세 스님은 "네"라고 대답했다. 이어 조산 화상은 말했다. "청원의 백 씨 집에서 만든 술을 세 잔이나 이미 마셨으면서도, 아직 입술도 적시지 않았다고 말할 셈인가!" <무문관> 10칙, '청세고빈(淸稅孤貧)'  334

생면부지의 남이나 혹은 미워하는 사람에게 소중한 것을 주는 행위, 즉 보시는 생각처럼 그렇게 단순하지만은 않습니다. 바로 여기에서 보시라는 실천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행위가 아니라 엄청난 의지를 수반하는 수행 행위라는 것이 분명해집니다. 사랑하든 그렇지 않든, 나와 관계가 있든 없든 타인에게 무엇인가를 주는 것, 바로 그것이 보시이기 때문이지요.  337



점심 공양 전에 스님들이 법당에 들어와 앉자 청량(淸?)의 대법안 화상은 손으로 발을 가리켰다. 그때 두 스님이 함께 갓 발을 걷어 올렸다. 그러자 대법안 화상은 말했다. "한 사람은 옳지만, 다른 한 사람은 틀렸다." <무문관> 26칙, '이승권렴(二僧卷簾)'  343

세상 사람들은 모두 같은 상태에 있지 않고, 최소한 세 가지 마음 상태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주객(主客) 관계에 사로잡힌 마음 상태를 가진 사람들입니다. 예를 들어 번데기는 맛있는 대상이고 자신은 번데기를 좋아하는 주체라고 믿는 사람이거나, 혹은 반대로 번데기는 혐오스러운 대상이고 자신은 번데기를 싫어하는 주체라고 믿는 사람의 경우입니다. 두 번째는 자신이 바라보는 대상들의 특징은 모두 자신의 과거 습관 때문에 발생했다는 것을 아는 마음 상태를 가진 사람입니다. 번데기가 먹음직스럽거나 혐오스러운 것은 모두 자신의 과거 습관 때문이라는 것을 아는 사람들이 이 경우에 속할 겁니다.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이런 메커니즘을 알고는 있지만, 그들은 현실에서 여전히 번데기를 좋아하거나 혐오하리라는 점입니다. 마지막 세 번째는 자신의 과거 습관을 버리고 있는 그대로 세상을 보는 마음 상태를 가진 사람입니다. 번데기를 기호 식품으로도 혐오 식품으로도 보지 않고 있는 그대로 보는 사람들, 이들이 바로 깨달은 사람, 즉 부처라고 할 수 있을 겁니다.  344-345



남전 화상이 말했다.

"마음은 부처가 아니고, 앎은 도가 아니다." <무문관> 34칙, '지불시도(智不是道)'  351

참선과 같은 치열한 내성을 거쳤다고 할지라도, 자신이 불성을 파악했다고 생각하는 것과 실제로 스스로 불성을 실현하며 사는 것 사이에는 커다란 간극이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354

임제의 말처럼 "이르는 곳마다 주인이 되어야" 부처입니다. 홀로 있을때는 주인으로 살 수 있지만 타인과 만났을 때 바로 그 타인에게 휘둘리는 사람이 어떻게 부처일 수 있겠습니까. 결국 혼자 있을 때도 주인이고, 열 명과 함께 있을 때도 주인이고, 만 명과 함께 있을 때도 주인일 수 있어야 우리는 진정한 주인이 되었다고 할 수 있을 겁니다.  358

자신이 부처가 되었다고 확신하는 것과 실제로 부처가 되었다는 것 사이에는 건널 수 없는 심연이 가로놓여 있는 법입니다.  358



석상 화상이 말했다. "100척이나 된느 대나무 꼭대기에서 어떻게 한 걸음 나아갈 수 있겠는가!" 또 옛날 큰스님은 말햇다. "100척이나 된느 대나무 꼭대기에 앉아 있는 사람은 비록 어떤 경지에 들어간 것은 맞지만 아직 제대로 된 것은 아니다. 100척이나 되는 대나무 꼭대기에서 반드시 한 걸음 나아가야, 시방세계가 자신의 전체 모습을 비로소 드러내게 될 것이다." <무문관> 46칙, '간두진보(竿頭進步)'  360

실연을 당한 사람만이 실연한 사람을 제대로 위로할 수 있고, 음악을 제대로 들을 수 있게 된 사람만이 음악을 들으려는 사람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것.  361

키에르케고르(Soren Kierkegaard, 1813~1855) "대부분 사람들은 자신에 대해서는 주관적이지만 모든 타인들에 대해서는 객관적, 때로는 지나칠 정도로 객관적이다. 그렇지만 우리에게 주어진 임무는 정확히 자신에 대해서는 객관적이고 모든 타인들에 대해서는 주관적일 수 있는 것이다." 그의 주저 중 한 권인 <사랑의 역사>에 등장하는 유명한 구절입니다. .. '주관적'이라는 말은 'subjective'를 번역한 겁니다. 잘 알다시피 철학에서 ' subject'는 주관이자 주체를 의미하는 말입니다. 그러니까 "자신에 대해서는 주관적"이라는 말은 자신을 하나의 주체로, 그리고 주인으로 의식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면 '객과적'이라는 뜻을 가진 'objective'는 사물이나 대상을 뜻하는 'object'라는 말에서 유래한 겁니다. 그러니까 "타인드에 대해서는 객관적"이라는 말은 타인을 하나의 주체가 아니라 대상으로 본다는 것을 말하는 셈이지요.  364-365

키에르케고르의 주장은 아주 단순합니다. 보통 우리는 자신을 주체로 생각하지만, 타인들은 하나의 대상으로 생각하기 쉽다는 겁니다. 그러니까 타인들을 내가 통제할 수 있는 물건처럼 생각한다는 겁니다. 타인을 물건처럼 내 마음대로 좌지우지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우리가 타인을 사랑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입니다. 이것은 타인을 노예로 부리는 것에 다름 아니니까요. 당연히 타인을 사랑한다는 것은 우리가 타인도 나와 마찬가지로 주체이고 주관이라고 생각하는 것을 전제하고 있어야만 합니다. 그래서 키에르케고르는 사랑하는 사람의 이무에 대해 이야기했던 겁니다. "정확히 자신에 대해서는 객관적이고 모든 타인들에 대해서는 주관적일 수 있는 것이다." 타인이 나를 어떻게 보고 있는지 고민하니까 자신을 객관적으로 보게 된다는 것이고, 이것은 물론 타인을 주관으로, 즉 당당한 주체로 보아야만 가능한 겁니다. 키에르케고르는 바로 이것이 사랑을 하려는 사람이 반드시 수행해야 할 임무라고 생각했던 겁니다.  365-366



외도(外道)가 세존에게 물었다. "말할 수 있는 것도 묻지 않고, 말할 수 없는 것도 묻지 않으렵니다." 세존은 아무 말도 없이 자리에 앉아 있었다. 그러자 그 사람은 감탄하며 말했다. "세존께서는 커다란 자비를 내려 주셔서, 미혹의 구름에서 저를 꺼내 깨닫도록 해 주셨습니다." 그리고는 그의 예의를 표하고 떠나갔다.

아난이 곧 세존에게 물어보았다. "저 사람은 무엇을 깨달았기에 감탄하고 떠난 것입니까?" 그리저 세존은 말했다. "채찍 그림자만 보아도 달리는 좋은 말과 같은 사람이다." <무문관> 32칙, '외도문불(外道問佛))'  376

지적인 허영에 빠진 학생에게는 그 허영을 충족시켜 줄 지적인 대답을 해 줄 필요가 전혀 없습니다. 학생에게 전혀 도움이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선생과 지적인 대화를 한다는 허영심만 가중시킬 테니까요. 제가 아무리 친절하게 대답을 해도 그 학생은 제 이야기를 그냥 지적으로 납득할 뿐, 자신의 삶으로 흡수하지 않을 겁니다.  378

삶의 차원에서 매순간 중요한 문제는 오직 하나일 뿐입니다. 만일 두 가지의 문제가 다 중요하다고 말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는 삶의 차원이 아니라 머리로만 생각하고 있는 것입니다. 한마디로 말해 그는 자신의 삶을 살아 내지 못하고, 그저 관조하고 있을 뿐입니다.  379

무문 스님은 서른두 번째 관무을 마무리하면서 흥미로운 이야기를 합니다. "계단이나 사다리를 밟지 않아야 하고, 매달려 있는 절벽에서 손을 떼야 한다"고 말입니다. 그렇습니다. 계단이나 사다리에 의존해 절벽에 매달려 있다면, 우리는 스스로 설 수가 없을 겁니다. 아이러니하게도 계단이나 사다리가 우리의 당당한 삶을 막고 있었던 셈입니다. 무언가에 의존한다는 것, 그건 우리가 그것에 좌지우지된다는 말입니다. 스스로 말하고, 행동하고, 나아가야 합니다. 아무리 도움이 되어도 그것이 외적인 것이라면, 어느 순간 반드시 우리는 그것을 버려야만 합니다. .. 계단과 사다리로 상징되는 일체의 외적인 것에 의존하지 않고 온몸으로 깨닫지 않는다면, 그건 깨달음일 수도 없는 법이니까요. 깨달음은 스스로 주인으로 삶을 영위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382



어떤 스님이 "사람들에게 이야기하지 않은 법(法)이 있으신가요?"라고 묻자, 남전 화상은 "있다"라고 대답했다. 그러자 그 스님은 물었다. "어떤 것이 사람들에게 이야기하지 않은 법인가요?" 남전 화상은 말했다. "마음(心)도 아니고, 부처(佛)도 아니고, 중생(物)도 아니다." <무문관> 27칙, '불시심불(不是心佛)'  400

디테일에 빠지지 말고, 그 핵심을 보아야 합니다.  401



오조 법연 화상이 말했다. "비유하자면 물소가 창살을 통과하는 것과 같다. 머리, 뿔, 그리고 네 발굽이 모두 창살을 통과했는데, 무엇 때문에 꼬리는 통과할 수 없는 것인가?" <무문관> 38칙, '우과창령(牛過窓櫺)'  409

창이 있는 방을 생각해 보세요. 그곳에 자유를 잃고 갇혀 있는 물소들이 살고 있었습니다. 그중 한 마리는 남달랐습니다. 구속에 적응하기보다는 구속에서 벗어나려고 노력했으니까요. 자유를 되찾으려는 열망과 노력이 마침내 결실을 맺어서 인지, 그 물소는 창살을 지나 바깥으로 나오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제 아무런 거리낌이 없는 자유의 대로가 펼쳐진 겁니다. 이제 그냥 아무 곳이나 뛰어가면 됩니다. 잊지 마십시오. 몸통이 창살을 통과했다면, 꼬리는 어렵지 않게 나올 수 있다는 사실을요. .. 무엇일까요. 창살을 통과하지 않은 그 물소의 꼬리는? 자유를 되찾은 그 물소는 혼자서 자유를 만끽할 수가 없었던 겁니다. 자신이 탈출한 방에는 아직도 동료 물소들이 갇혀 있으니까 말입니다.

바로 이것입니다. 모든 물소들이 탈출할 수 있을 때까지, 그는 탈출구를 동료들에게 알려 주고 싶었던 겁니다. 그러니 꼬리를 창살에 남겨둘 수밖에요. 이것이 자비의 마음, 다시 말해 이타의 마음이 아니면 무엇이겠습니까.  416



도솔 종열 화상은 세 가지 관문을 설치해, 배우려는 사람에게 물었다. "깨달은 사람을 찾아 수행하는 것은 단지 자신의 불서을 보기 위함이다. 그렇다면 지금 그대의 불성은 어디에 있는가? 자신의 불성을 알았다면 삶과 죽음으로부터 해탈할 수 있다. 그렇다면 죽음에 이르렀을 때 어떻게 그대는 삶과 죽음으로부터 해탈하겠는가? 삶과 죽음으로부터 해탈할 수 있다면 바로 가는 곳을 알게 된다. 그렇다면 육신을 구성하는 네 가지 요소가 흩어질 때, 그대는 어디로 가는 것인가?" <무문관> 47칙, '도솔감관(兜率三關)'  418

<무문관>의 48개의 관문을 지키고 있는 선사들은 가혹하게 자신이 들고 있는 등불을 꺼 버리면서 제자들이 스스로 불을 켜기를 촉구합니다.  420

새끼들을 절벽에 던지는 호랑이와 같습니다. 아무런 준비도 갖추어지지 않았는데, 천 길이나 되는 낭떠러지로 제자들을 무자비하게 밀어붙이니까요.  421

Posted by WN1
,


한 사람이 참으로 보기 드문 인격을 갖고 있는가를 알기 위해서는 여러 해 동안 그의 행동을 관찰할 수 있는 행운을 가져야만 한다. 그 사람의 행동이 온갖 이기주의에서 벗어나 있고, 그 행동을 이끌어 나가는 생각이 더없이 고결하며, 어떤 보상도 바라지 ㅇ낳고, 그런데도 이 세상에 뚜렷한 흔적을 남겼다면 우리는 틀림없이 잊을 수 없는 한 인격을 만났다고 할 수 있다.   9



아주 단순하게 자신이 할 일을 고집스럽게 해 나갈 뿐이었다.  43

Posted by WN1
,



마흔 무렵의 우리들은 잊은 것이 많다. 우리의 시간, 우리의 추억, 우리의 꿈, 모두 어디로 갔는지 알 수가 없다.

우리는 그저 하루하루 허덕이며 살 뿐이다. 상처를 입으며 버틸 뿐이다. 문제는 상처를 입고서도 상처를 입었는지 모른 채 살아가는 것이다.  12


글을 쓰자. 글쓰기는 당신이 잊은 것이 무엇인지 보여준다. 당신의 상처가 무엇인지 가르쳐준다.

글쓰기는 당신이 잊어버린 시간들을 알려준다.  13



글을 쓴다는 것은, 자신과 일대일로 만나는 행위다.  26


내 마음과 이야기하는 방법으로 글씨기만 한 것이 없다.  28


부딪히면서 배워요. 배운다는 건 그런 거예요. 온몸을 내던지는 것. (오소의 외 <지금은 서툴러도 괜찮아>)  41



바르게 글을 쓰기 위한 기본 실천 사항

1. Cut : 문장 자르기 - 긴 문장 쓰기 말 것.

2. Easy : 쉬운 말 쓰기 - 어려운 어휘, 난해한 수식을 피할 것.

3. Read : 소리 내서 읽어 보기 - 읽을 때 자연스럽지 못한 표현을 지울 것.

4. Rewrite : 고쳐 쓰기 - 잘 썼다고 생각이 들 때도 반드시 다시 써볼 것.  94



사실 글을 쓴다는 행위는 곧 사전을 찾는 행위다.  109


스토리, 즉 이야기는 다음과 같은 원칙이 있어야 한다.

1. 사건은 충분히 일어날 수 있는 일이어야 한다. 즉, 개연성이 있어야 한다.

2. 앞 사건에 대하여 뒤의 사건이 일어난 이유가 분명해야 한다. 즉, 인과관계가 있어야 한다.

3. 결말이 있어야 한다. 즉, 글쓴이가 하고 싶은 말이 있어야 한다.  142


스토리텔링 글쓰기를 잘하기 위한 왕도는 없다. 좋은 연습 방법 중 하나는 카메라를 들고 거리로 나가는 것이다. 그리고 쇼핑몰, 고궁, 뒷골목에서 찍은 사진 파일들을 출력해놓고 한 편의 이야기를 만드는 것이다. 12장의 사진으로 이야기 한 편을 만들어보고, 24, 36장의 사진으로 이야기를 만들어보라. 저 위의 원칙을 염두에 두고 말이다.(142 페이지의 원칙)  143-144


우리가 글을 쓰기 위해선 글의 재료가 있어야 한다. 글 재료는 오랜 시간 동안의 자료 찾기에서 나온다. 자료 찾기는 연구, 관찰, 사색의 총합이다.  145


무조건 자료를 많이 찾는다고 좋은 게 아니다. 자기만의 잣대, 룰이 있어야 하며 그 룰을 찾기 위해 질문을 던질 줄 알아야 한다.  149


아무 종이나 한 장 펼쳐놓고 자신의 프로필을 써보자. 내가 책을 내서 그 책에 넣을 프로필을 쓴다고 가정하고.  150


자신의 프로필을 써보면 많은 걸 깨닫게 된다. 내가 이렇게 보잘것 없는 사람인가? 내가 이렇게 내세울 게 없는 사람인가? 나는 뭐하며 살았나?...  151


쓰려면 생각해야 한다. 쓰려면 관찰해야 한다. 내 괴로움에 대해 쓰려면 그 속에 빠져 허우적대는 대신에 내 눈앞에 갖다놓고 요모조모 뜯어봐야 한다. 일이 이러저러하게 되어서 내가 이렇게까지 되었다고 쓰려니 저절로 인과관계, 개연성을 따지게 되었다. '가만있자, 이건 좀 오버인데? 응? 이건 그거랑 아무 상관없는 일이잖아.'

글을 쓰면서 자신이 객관화되는 경험을 하게 된 것이다.자기에 대해 글을 쓰면 자기를 바라보게 된다. 바라보면 보인다.  170


글을 쓰면 다른 사람도 바라보게 된다. 보여야 쓸 수 있다. 가족도 바라보고 친구도 바라본다. 주변 사람들을 가만히 관찰하다 보면 그들이 좀 더 입체적으로 보인다. 왜 그런 행동을 하는지, 왜 그런 어이없는 말로 사람 염장을 지르는지, 왜 사사건건 시비를 걸며 나를 복장터지게 하는지 그 사람을 총체적으로 바라보고 느끼고 이해하려는 노력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 상처도 덜 받는다.  171


글쓰기는 내가 살아버린 인생, 살고 있는 인생에 의미를 준다.  173

Posted by WN1
,


지금 우리를 묶어 주는 것은 인권의 보편적 실현, 민주적 참여, 모두를 위한 복지의 원칙에 부합하는 전 지구적 평화라기보다는 악(惡)과 고통.  5


모든 지구민들은 자신의 행동을 책임져야 합니다.  10


이 시대의 정점에서 의식 있게 살기! 그것이 스페탄 에셀의 요구다.  14


바뀌어야 할 것들을 생각하게 하고, 유토피아에 대한 관심을 키우고! 우리는 꿈꿀 수 있고 꿈꾸어야 합니다! 셰익스피어는 "우리가 실패한 것은 꿈꾸기를 시작하지 않았기 때문이다"라고 했어요. 멋진 말이죠. 우리는 꿈꾸어야 하고, 또한 우리의 꿈이 우리가 바라는 만큼 실행되지 않았다는 걸 알아야 합니다.

대다수의 사람들은 스스로 행동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습니다. 그들은 이미 이룬 것으로 살아가고, 그로써 충분하다고 생각하죠. 그러므로 우리는 분노하고 참여하는 소수를 필요로 합니다. 역사의 시기 시기마다 그런 소수가 있었어요.  50


오늘날 참여할 수 있는 방버은 최소 두 가지라고 생각합니다. 한 가지는 비정부기구, 즉 NGO에 참여하는 방법이죠.  54


지정부기구에 참여하는 것으로만 그쳐서는 안 됩니다. 

정당으로 들어가 정부에 더 효과적으로 영향을 끼칠 수 있어야 합니다.  55


나는 요즘 지구상에 곡물과 식수가 부족해지면 얼마나 위험해지는지, 기후 변동이 심해지면 어떻게 되는지를 다루는 책들을 많이 읽고 있습니다. 우리는 그런 이슈에 관심을 갖게 하는 책들을 더 많이 읽어야 합니다. 그러면 우리는 깨어나게 될 겁니다.  74





분노하라


참여하라 


정신의 진보를 위하여 


멈추지 말고 진보하라





Posted by WN1
,



바보 ZONE

저자
차동엽 지음
출판사
여백 | 2010-11-15 출간
카테고리
자기계발
책소개
바보처럼 꿈꾸고, 바보처럼 상상하며, 바보처럼 모험하라!무지개 ...
가격비교


책 내용 기록 보기


바보zone 은 새 책 코너에서 보았다. 그리고 어느 사이트에서 서평이벤트한다고도 본 적이 있다. 
무지개원리의 저자인 차동엽 신부의 책이기도 한데, 자꾸 이 책을 접하게 되면서 호기심을 가지고 있었다.
도서관에 비치되면 한번 읽어 봐야겠다는 생각을 하기도 했으나 도서목록에는 올려 놓지않고 있기도 했다.
그런데 이 책이 얼마전 어느 모임에서 나의 품에 들어왔다. 
참 신기하게 들어왔다.
하지만 읽어야 할 목록들이 밀려 있어서 뒤로 제쳐 두고 있었는데, 어제(2011년 1월 4일) 영등포 타임스퀘어에있는 교보문고에서 계발서 인기도서에 1위로 올라 있는것을 보고 두껍지 않은 책이니 읽어보자는 생각을 하고는 ... 읽게되었다.

바보의 영역에는 과연 무엇이 있을까?
바보의 정의는 어떻게 하는것이 옳을까?
지금 우리에게 바보의 의미는 무엇이라 하는것이 좋을것인가/

이 책은 그러한 질문에 답을 해 주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자기계발서의 함정이나 단편적이고 막연한 조장이라는 표현을 하는것을 볼 수 있는데, 개인적으로는 그런 생각을 하지는 않는다.
자기계발도서를 1000권 넘게 읽어 보았다.
그 많은 도서들의 내용이 얼마나 나에게 도움이 되는가?
얼마나 많은 내용들이 머릿속에 남아 있는가?  라는 질문에 애써 답변하라면 얼마되지 않을 지도 모른다. 
개인적인 경험을 말해 보라고 하면 첫번째로는 의식의 변화라고 표현하고 싶다.
계발서들은 삶의 의미를 생각조차 하지 않는 사람들에게 의식을 가지게끔 도와주는 효과가 있음에 틀림없다고 생각한다.
의식이 있지만 패배주의까지는 아니더라도 의욕이 없는 사람에게는 많은 이들의 실 생활을 접하면서 의욕을 가지게끔 해주는 것이다.
두번째로는 생각의 가지라고 표현하고 싶다.
계발서들을 많이 읽어가면서 몇가지의 부류로 나누게 되었는데, 우선 인문고전들을 많이 읽은 사람들의 책과 그렇지 못한 사람들의 책, 그리고 자신의 경험에서 우러나온 책과 조합하여 나온책... 등으로 구분해 보았는데, 나에게는 결국 인문고전에 더욱 생각이 꽂히게끔 해준 부류에 계발서들이 포함된다. 그렇기에 생각의 가지들을 새로이 뻗어가게 해주는 역학을 하였다.
이렇게 말하면 혹자는 애둘러 왔다고 할 수도 있다. 맞는 표현이다. 하지만 계발서들의 장점이 이러한 것들만이 있는것이 아니기에 굳이 애둘러 왔다고 표현하고 싶지는 않다..ㅎㅎ 혼자만의 착각일지라도...

두서없는 서두가 진행되었는데, 책으로 돌아오면 .. 개인적으로 이 책의 첫 장들에서 나는 큰 매혹을 느꼈다. 
첫 장의 첫 내용은 노자의 표현인 '대지약우(大智若愚)'로 시작한다. '큰 지혜는 어리석음과 같다.' 임팩트 있게 들어갔다. 임팩트로 인해 잡은 손을 놓지 않고 모두 읽어버렸다.
간결한 내용으로 전개하면서 여러 내용들을 넘나들면서 내용을 전개하며, 앞서 언급한 질문들에 대한 답변을 찾아 낼 수 있었다.
재미있었다. 간결하였다. 임팩트도 있었다.
하지만 우리가 아는 내용들이다. 그렇기에 좀 실망스러울 수도 있다. 
계발서들을 보면 정말 하나같이 거기서 거기를 말하기도 한다. 
그러면 왜 그렇게도 같은 말을 서로 다른 표현들을 해대는것일까?
계발이란것에 아주 많은 방법이 있는 것이 아니라 어떠한 것을 하든지 맥은 상통하다는 이야기 아니겠는가!!!
그렇다면 많은 도서를 읽을 필요가 없기도 하다.
개인적으론 무지하기에 많이 읽는것을 선택하였다. 한 권을 읽어도 잘근잘근 씹어먹을 수 있다면 좋을것이다. 사람마다 통하는 사람이 있고 통하지 않는 사람이 있듯이 .. 어쩌면 나는 나와 잘 통하는 계발서를 찾고 있는지도 모른다. 
헐~~ 아직도 못찾았다는건가??  결론을 말하면, 찾았다..그것도 꽤나 오래전에 
그러면 왜 계속찾으려 하는가? 글쎄...굳이 표현하자면 더 잘 통하는 책이있을 수도 있을것이고 내 뒤통수를 때려주는 책도 나올것이기에 ...친구가 단 한명 두명뿐일 필요가 있는건 아니지 않는가....ㅎㅎ

Posted by WN1
,



브리다

저자
파울로 코엘료 지음
출판사
문학동네 | 2010-10-21 출간
카테고리
소설
책소개
당신은 이번 생에서 무엇을 찾고 있나요?연금술사로 세계적인 베스...
가격비교


책 내용 기록 보기


마녀, 마법사 

중세시대에서나 등장하던 단어이며, 현대에서는 '마녀사냥'이란 특수단어가, 판타지 소설등에서나 사용되는 단어이다.

판타지적 요소를 통해 저자가 하고자 하는 말은, 자신을 찾아가는 과정이지 않을까..


저자는 수행중에 알게 된 한 여성의 경험을 통해 영감을 받고 내용을 집필했다고 한다.

다양성의 시대에 한 측면에서는 마녀, 마법사 같은 단어들이 자신에게 적용된다고도 생각을 한다.

그것이 어떠한가를 떠나 우리는 자신을 찾아가는 여정 그 자체에 존중심을 가지리라.


우리가 지금 시점에서의 나이가 어떠하든 우리는 자신을 찾는 과정에 대해 늦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기에는 아직 어리다고 생각지 않나?"

"저는 스물한 살이에요." 브리다가 대답했다. "지금 발레를 배우겠다고 나서면, 한물간 취급을 받을 나이일걸요." 

책의 표현처럼 어떠한 기준을 가지고 보느냐에 따라 시기는 달라진다. 

무언가를 시작할때 우리는 잡념에 사로잡혀 안되는 이유들을 찾게된다. 그때마다 늘 등장하는것이 지금은 좀 늦은감이 든다는 것이다.

이 생각은 매우 크게 작용하여 우리가 정말 늦은 것이 되게 만들어 버린다. 


"감정은 야수와 같아서, 그것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지혜가 필요하다."

과연 늦었을까? '늦었다 생각할 때가 가장 빠른것이다'라는 말의 의미를 새삼 생각해 보게 된다.

우리가 생각해야 하는 것은 그것을 할 수 있다는 믿음과 잡념들을 이겨낼 지혜로운 용기 뿐이다. 


"삶이란 이런 것일세." 마스터가 말했다. "실수의 연속이지. 수백만년 동안 세포는 정확히 똑같은 방법으로 번식해왔어. 그런데 그중 딱 하나가 실수를 저질러서 그 끝없는 반복 속에 변화가 생겨난 것이야."

"실수가 세상이 움직이도록 추동한 거야." 마스터가 말했다. "실수를 결코 두려워하지 말게."  

우리가 믿음과 지혜로운 용기를 가지고 해야 하는 것은 경험이다. 실수이든 성공이든 그것은 해 보았을 때만 알게 되는 결과인 것이다.

어떤 결과가 되었든 무언가에 대한 결과가 나오는 것은 자신의 과정이며, 자신을 찾아가는 자신의 여정이기 때문이다.


"절대 부끄러워하지 마시게." 그가 계속 말을 이었다. "생이 그대에게 주는 것은 모두 받아들이고, 그대 앞에 놓인 잔은 모두 마시게. 포도주란 모두 맛보아야 하는 것이지. 어떤 것은 한모금만 마시고, 또 어떤 것은 병째 마셔야 하네." 

"그걸 제가 어떻게 구별할 수 있을까요?"

"맛으로. 나쁜 와인을 맛본 사람만이 좋은 와인의 맛을 아는 법이지."

우리는 가능하면 맛이 있는 집을 찾게 된다. 그것을 찾기 위해서는 경험해 봐야 하는것이지 않겠는가?

광고에 현혹되어 가보니 그집이 광고와는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되는 것처럼 광고에 현혹되든 아니든 실제 해봐야지만 알 수 있는 것은 해보아야만 알 수 있는 것이다.


브리다는 자신을 찾아가는 과정을 밟았다. 그것이 어떠한 결과이든 그것을 두려워하기 보다는 용기를 가지고 있었기에 그것은 의미가 있는 것이다. 

지금의 우리에게 사실이 아니라 진실이기에 저자는 그것을 말하고자 한 것이 아니겠는가...











Posted by WN1
,

개인적으로 저자의 책은 <철학, 삶을 만나다>였다.
이 책을 읽으면서 철학자들과 그 내용들에 대새 새로운 관점으로 바라볼 수 있다는 점에 대해 신선함을 느꼈다.
그 책을 읽으면서 저자의 책을 모두 읽고 싶다는 생각이 드는 정도였다.
책을 모두 읽고 인터넷 서점에서 저자의 도서들을 모두 검색해 보았고, 도서관에서도 검색을 해 보았다.
인기가 있는지 대출중인 책들도 있었다.
철학자의 철학적 해설서가 대출 중이라는 것은 그리 쉽게 보기 쉽지는 않다. 그런면에서 인기가 있나보다란 생각을 하게 된 것이다.
그 후에 우연하게 저자의 강의를 들을 기회가 있었다.
첫 느낌은 생각하던 것 보다는 젊어보인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그의 스타일은 자유로움 이었다. 
젊은 진보적인 철학자라는 것을 한 눈에 알아볼 수 있었다.
그의 강의 스타일 역시 첫인상처럼 이었다.
신선하고 깔끔했으며 말의 힘이 논리적이며 설득적인데 크게 치우침이 있다는 느낌을 받지는 않았다. 

다음으로 읽은 책은 <상처 받지 않을 권리>이다. 정신적 스트레스를 제대로 풀지 못하는 오늘날의 사람들에게 철학자들의 표현을 빌어 그의 해설을 통해 우리가 무엇을 놓치고 있는것인지에 대해 언급해 주고 있다. 이 책 역시 즐겁게 읽었다.

이후로 <철학vs철학>이나 <철학적 시읽기의 즐거움>과 <철학적 시 읽기의 괴로움>도 발췌독하기도 하였다. 이 책들도 앞으로 정독을 하려 생각중이다.

이 책은 세 번째로 읽은 책이다. 또한 최근에 나온 책중 하나이다.
위에서 언급한 다섯권의 책들보다는 가볍에 접근하고 있었다.
물론 해설서에 가까운 책들이기에 철학책으로 보기에는 모두 가벼운 내용들이기는 하지만 지금까지 본 책들 중에서만 보면 가장 가벼운 책이라는 것이다.

물론 저자의 스타일은 그대로 묻어났다.
새로운접근방법이라든지 가볍에 읽으면서도 생각을 자극해 주는 책이었다. 책을 읽으면서 즐거운 시간이었다.
48명의 철학자가 언급되면서 그들에 대한 철학중에 한 부분을 발췌하는 내용이기에 어렵지 않다. 그리고 다양한 철학자들을 만날 수 있었다. 
여기에 언급된 내용들이 철학자들의 주된 내용은 아닐것이다. 하지만 조금씩은 더 근접해 갈 수 있는 방법이라는 측면에서 즐거운 시간이 될 것이라 생각이 된다.


머리말
저는 책을 읽는 독자이면서 동시에 책을 집필하는 저자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그런지 저는 책이란 무엇ㅇ니가에 대해 자주 생각하는 편입니다. 어린 시절부터 저는 책이란 알지 못하는 누군가로부터 받은 편지와 같다는 생각을 자주 하곤 했습니다. 지금도 그렇지만 서점에 들러 새롭게 출간된 책들을 뒤적이가닥, 제 마음을 동요시키는 책을 만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물론 모든 책들이 저를 설레게 하는 것은 아닙니다. 아주 소수의 책만이 저를 흔들어 깨웁니다. 이런 경우 누가 저의 마음을 엿보기라도 하듯이 저는 서둘러 책을 구입하여 서점을 빠져나옵니다. 그리고 조용한 카페에 가서 커피를 마시며 한 장 한 장 두근거리는 마음으로 책장을 넘기곤 합니다. 
삶의 고뇌가 쌓인 민큼 타인의 고뇌가 읽힌다고 했던가요? 페이지 마다 절절하게 아로새겨진 알지 못하는 저자의 고뇌가 스펀지가 물을, 흡수하듯이 제 마음에 젖어듭니다 저자는 1,000여 년 전의 사람일 때도 있고, 어느 경우에는 저와 같은 시대에 살고 있으나 아주 먼곳에 살고 있는 사람일 때도 있습니다. 엄청난 시공간을 넘어 책이란 매체를 통해서 저자가 저와 접속되었다는 사실이 기적처럼 느껴지기도 합니다.  5-6

라캉(Jacques Lacan 1901-1981)은 이렇게 말했다. '나는 내가 존재하지 않는 곳에서 생각한다. 그러므로 나는 내가 생각하지 않는 곳에서 존재한다.' 쉽게 풀어보도록 하자. 여러분은 누구나 자신은 어떤 사람이라고 생각하고 있거나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라캉에 따르면 불행히도 여러분이 생각하고 있는 여러분의 모습과 실제로 살아가고 있는 여러분의 모습은 일치하지 않는다. 전자가 페르소나(persona)라면, 후자는 맨 얼굴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페르소나를 찢어버리고 맨얼굴이 드러나도록 해야 한다. 오직 그럴 때에만 우리는 자신의 삶을 연기가 아니라, 삶으로서 살아낼 수 있기 때문이다.
... 거짓된 인문학은 진통제를 주는 데 만족하지만, 참다운 인문학적 정신은 우리 삶에 메스를 들이대고, 우리의 상처를 치유하려고 한다.  14-15
 

후회하지 않는 삶은 가능한가 - 니체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자유를 꿈꾸며 사는 사람만이 자신을 옥죄고 있는 담벼락과 조우할 수 있을 뿐이다.
니체... 그는 갇혀 있지만 갇혀 있는 줄 모르는 이웃들, 혹은 갇힌 줄 알지만 그것에 익숙해진 이웃들의 정신을 깨우는려고 무던히도 애썼던 철학자이다.  21
세계관이라는 것이 있다. 어떤 세계관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우리의 삶은 완전히 달라지기 마련이다.  22
니체의 가르침을 따른다면, 우리가 순간의 굴욕과 비겁을 선택할리는 없다.
들뢰즈(Gilles Deleuze retour 1925-1995)는 영원회귀로 응축되는 니체의 가르침을 다음과 같은 윤리적 강령으로 해석했다.
'니체의 영원회귀는 이렇게 말한다. 네가 무엇을 의지하든 그것의 영원회귀를 의지하는 방식으로 그것을 의지하라.' -<차이와 반복>  25
온갖 억압과 고통을 극복하여 현재 자신의 삶을 긍정적으로 영위해야만 한다. 자신의 삶을 수단으로 삼아서는 안 된다.
자유롭고 싶은가? '지금 인생을 다시 한 번 완전히 똑같이 살아도 좋다는 마음으로 살아라!'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26

나의 욕망은 나의 것인가 - 라캉 <에크리>
우리는 금지된 것만 욕망한다.  30
라캉은 정신분석학의 사명을 '세상에 태어날 때 주체는 타자(the other)로부터 욕망되는 자로서건 아니면 욕망되지 않는 자로서건 간에 타자의 욕망의 대상으로 존재한다. 자신이 욕망하는 것이 진실로 자신이 소망하는 것인지 혹은 소망하지 않는 것인지를 알기 위해서, 주체는 다시 태어날 수 잇어야만 한다. 정신분석의 방법을 고안함을써 프로이트가 밝인 진리의 본성은 바로 이런 것이었다.' - <에크리>
'당신이 욕망하는 것이 진실로 당신이 소망하는 것인가?'
지금 내가 욕망한다고 생각하는 것이 사실은 과거 타자가 욕망했던 것, 혹은 금지일 수 있기 때문이다.  31

페르소나와 맨얼굴 - 에필테토스 <엥케이리디온>
페르소나(persona)라는 말이 있다. 아주 오래전 로마 시절 연극 무대에서 배우들은 가면을 쓰고 연기를 햇다고 한다. 바로 이 가면이 페르소나이다.  33
언제쯤이면 우리는 페르소나를 벗고 자신의 맨얼굴을 보여줄 수 있을까? 그렇지만 맨얼굴이라고 믿었던 것도 사실 또 하나의 페르소나에 지나지 않은 것은 아닐까?
도대체 우리의 맨 얼굴은 얼마나 많은 페르소나를 벗겨야만 찾을 수 있는 것일까? 아니 맨얼굴이라는 것이 있기는 한 것일까?  34
'존재하는 것들 가운데 어떤 것들은 우리에게 달려 잇는 것들이고, 다른 것들은 우리에게 달려 있는 것들이 아니다. 우리에게 달려 있는 것들은 믿음, 충동, 욕구, 혐오, 한마디로 말해서 우리 자신이 행하는 모든 일이다. 반면에 우리에게 달려 있지 않은 것들은 육체, 소유물, 평판, 지위, 한마디로 말해서 우리 자신이 행하지 않는 모든 일이다.' - <엥케이리디온>  38
에픽테토스는 우리가 통제할 수 있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구분한다.
잊지 말자! 맨얼굴이 없다면, 페르소나를 쓰는 일도 없다는 사실을, 페르소나에 지나치게 신경 쓰는 우리에게 맨열굴의 관리는 매우 중요한 일이다. 맨얼굴이 건강하다면 우리는 다양한 페르소나를 쓸 수 있는 힘을 얻을 것이다. 불핸히도 맨얼굴을 관리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자신이 쓰고 있는 페르소나를 벗으려고 하지 않을 것이다.  39

개처럼 살지 않는 방법 - 이지 <분서>
진정한 인문학자는 일체의 허영과 가식을 걷어내고 인간과 사회의 진면목을 볼 수있는 아이와 가은 눈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41
'나는 어려서부터 성인의 가르침을 읽었으나 성인의 가르침을 제대로 알지 못했으며, 공자를 존경했으나 왜 공자를 존경해야 하는지를 스스로 알지 못했다. 그야말로 난쟁이가 광대놀음을 구경하다가 사람들이 잘한다고 소리치면 따라서 잘한다고 소리를 지르는 격이었다. 나이 오스비 이전의 나는 정말로 한 마리의 개에 불과했다. 앞의 개가 그림자를 보고 짖으면 나도 따라서 짖어댔던 것이다. 만약 남들이 짖는 까닭을 물으면 그저 벙어리처럼 쑥스럽게 웃기나 할 따름이었다.' - <속분서(續焚書)> 성교소인(聖敎小引)  43
이지의 글을 읽다 보면 니체를 떠올리게 된다.
니체를 알고 있는 사람이라면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의 첫 대목, 즉 정신의 자기 변형을 다루고 있느 대목을 기억할 것이다. 니체는 말한다. 우리 정신은 세 단계를 거치게 된다. 첫 번째는 '낙타'로 비유되는 정신이다. 아무런 반성 없이 일체의 사회적 관습을 맹목적으로 딸는 정신이다. 마치 낙타가 주인이 등에 짐을 올리면 아무런 저항 없이 실어 나르는 것처럼 말이다. 
두 번째는 '사자'로 비유되는 정신이다. 낙타와 달리 사자의 등에는 그의 의지를 무시하고 어떤 짐도 올릴 수가 없다. 짐을 올리려면 사자를 죽여야 할 것이다 사자의 정신은 일체의 억압을 부정하는 자유정신을 상징한다. 
세 번째는 정신의 마지막 단계, 즉 인간이라면 반드시 도달해야 하는 '아이'의 정신이다. '아이'는 과거를 맹목적으로 답습ㅎ기보다 새로운 것을 창조할 수 있는 힘을 가진다.  44

자유인의 당당한 삶 - 임제 <임제어록>
죽은 아이 때문에, 그리고 미래의 부와 명성 때문에, 현재를 살지 못하는 두 사람에게 과연 행복이 가능할까?
스님 임제(臨濟 ?-867)sms '이미 일어난 생각은 이어지지 않도록 하고 아직 일어나지 않은 생각은 일어나지 않도록 하면 그대들이 10년 동안 행각(行脚)하는 것보다 좋을 것이다. 나의 생각에는 불법에는 복잡한 것이 없다. 단지 평상시에 옷 입고 밥 먹으며 일 없이 시간을 보내는 것이다.' - <임제어록>  47
'안이건 밖이건 만나는 것은 무엇이든지 바로 죽여버려라. 부처를 만나면 부처를 죽이고, 조사를 만나면 조사를 죽이고, 나한을 만나면 나한을 죽이고, 부모를 만나면 부모를 죽이고, 친척을 만나면 친척을 죽여라. 그렇게 한다면 비로소 해탈할 수 있다.' - <임제어록>  50

쇄락의 경지 - 이통 <연평답문>
'일찍이 저는 '사태를 만났을 때 고체(固滯)가 조금도 없다면, 곧 쇄락(灑落)의 경지'라고 생각했습니다. 즉 이 마음이 확연히 크게 공정해져 남과 나라는 편벽되거나 치우친 생각이 없게 되면, 아마도 도리에 대해 하나로 꿰뚫게 될 것입니다. 가령 일에 당해 꿰뚫지 못하여 마음속에 편벽되거나 치우친 바를 조금이라고 벗어나지 못한다면, 곧 고체와 관련된 것이니 모두 옳지 않은 것입니다. 그대는 어떻게 생각할지 모르겠습니다. - <연평답문>  54
누군가와 관계할 때, 충돌과 대립으로 힘든 경우가 있다. 물론 그것은 상대방이 자신의 생각만이 옳다는 자만심을 가지고 잇어서 벌어진 일일 수도 잇따. 그러나 이 경우 우리는 이토의 가르침을 떠올리며 자신을 점검해볼 필요가 있다 혹시 상대방이 아니라 내가 얼음처럼 고착된 마음 상태에 있는 것은 아닐까? 공정함을 잃어버리고 남과 나를 구별하고 있는 것은 상대방이 아니라 나인가?
우리가 할 수있는 최선은 부단히 자신의 마음이 좁아져 있지 않은지 반성하는 일일 것이다. 이것만으로도 우리의 마음과 삶은 이전보다 더 나아지지 않을까?  56

공이란 무엇인가 - 나가르주나 <중론>
모든 집착은 자신이 소중하다고 생각했던 것이 사라져 버렸거나 혹은 부재하게 될 때 발생한다.  57
불교는 이런 우리의 집착을 제거하기 위해서 공(空)의 지혜를 알려준다. 공이란 순야타라는 산스크리트어를 한자어로 옮긴 말이다. 불교에서는 공을 깨닫게 된다면, 모든 집착을 버리고 외부 사태를 있는 그대로 바라보게 된다고 한다. 이런 경지를 진여(眞如 tathata)라고 표현한다.  58
'내가 없는데 어찌 나의 것이 있을 것인가. 나와 나의 소유가 없으므로 그는 나라는 의식도 없고 소유하려는 의식도 없는 자가 된다 .... 안으로나 밖으로나 나라는 새악이 없고 나의 것이라는 생각이 없다면 집착은 없어질 것이다.' - <중론>
'나'는 아트만이라고 불리는 불변하는 자아를 말한다.  61
나이 들어 주름진 얼굴을 만족스럽게 바라볼 수 있는 사람만이 젊음에 대한 집착으로부터 자유로운 사람이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 자신의 주름을 보면서 자신이 마주쳤던 수많은 인연들을 떠올리는 삶, 그것은 젊고 탱탱한 얼굴보다 더 아름다운 삶이 아닐까?  62

해탈의 지혜 - 혜능 <육조단경>
기억은 우리의 마음을 고통으로 몰아넣는 집착을 낳는 경우가 많다. 집착은 항상 부재에 대한 기억으로부터 발생하기 때문이다.  63
잃어버린 것에 대해서든 집착은 우리로 하여금 타자와의 소통을 가로막는 주범이라고 할 수 있다. 마음을 닦느라고 타인의 마음을 읽고 위로하지 못한다면, 불교가 강조했던 자비(慈悲)가 무슨 소용이 있다는 말인가? 집착은 우리 자신을 고통에 빠뜨릴 뿐만 아니라, 고통에 빠진 타인에 무관심하도록 만든다.  68

습관의 집요함 - 라베송 <습관에 대하여>
'만들어진 습관은 우리가 지속적으로 존재하는 방식이라고 할 수있다. 변화가 지나가버린 것이라면, 습관은 그것을 낳은 변화를 넘어서 존속하는 것이다. 게다가 습관은 그것이 습관인 한에서 그리고 그 본질 자체에 의해 그것을 낳는 변화에만 관계될 뿐이라고 했을 때, 그것은 더 이상 그런 변화가 존재하지 않아도 존속하는 것이다 ... 바로 이것에 의해 습관이냐 아니냐가 가려진다. 습관은 따라서 단지 어떤 상태일 뿐만 아니라 어떤 경향이자 어떤 능력이기도 하다.' - <습관에 대하여>  76
우리의 동일성(identity)을 규정하는 제일의 원리가 습관이라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이미 습관이 된 것, 지금 의식적으로 노력하고 있는 것, 그리고 나중에 습관으로 획득하게 될 것, 이것이 바로 삶의 전부이기 때문이다.  80

생각의 발생 - 하이데거 <존재와 시간>
우리가 항상 생각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언제 생각하게 되는 것일까?
생각은 오직 기대하지 않았던 사건(event)과 조우할 때에만 발생하는 것이다.  82-83

관점주의의 진실 - 마투라나 <있음에서 함으로>
'관찰자는 모든 것의 원천입니다. 관찰자가 없으면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습니다. 관찰자는 모든 지식의 기초입니다. 인간 자신, 세계 그리고 우주와 관계 되어 잇는 모든 주장의 기초입니다. 관찰자의 소멸은 우리가 알고 있는 세계의 종말과 소멸을 의미할 것입니다. 지각하고, 말하고, 기술하고, 설명하는 사람이 아무도 남아 있지 않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 <있음에서 함으로>  93
관찰자로서 내가 존재하는 한 내가 보는 세계도 존재하는 것이고, 관찰자로서 내 친구가 존재하는 한 그가 보는 세계도 엄연히 존재하는 것이다. 누가 보고 있는 것이 진짜 세계일까?  95

언어 너머의 맥락 - 비트겐슈타인 <철학적 탐구>
'"나는 당신이 무엇을 생각하고 있는지 안다"고 말하는 것은 옳다. 그리고 "나는 내가 무엇을 생각하는지 안다"고 말하는 것은 잘못이다.' - 철학적 탐구
우리는 '나느 내가 무엇을 생각하는지 안다'라는 표현을 사용했던 적이 있을까?  100
'어떤 낱말이 어떻게 가능하느냐는 추측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그 낱말의 적용을 주시하고, 그로부터 배워야 한다.' - <철학적 탐구>  101
욕쟁이 할머니의 식당에서 느끼기 쉬운 불쾌감이나 거부감을 반복하지 않으려면, 우리는 자신과 대화하는 사람이 어떤 삶의 문맥을 가지고 이야기하고 있는지 섬세하게 읽어내야 한다. 자신의 문맥에 따라 상대방의 이야기를 재단하는 순간, 오해와 갈등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104

마음을 다한 후에 천명을 생각하다 - 맹자 <맹자>
'사람의 일을 모두 다 하고, 천명을 기다린다' 진인사대천명(盡人事待天命)  106
'천명'이란 무엇이며, 나아가 그것을 '기다린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  107
자신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하고 난 뒤, 조용히 그 결과를 기다리는 태도, 어떤 결과가 나오든 기꺼이 수용하는 태도!  110

죽음을 두려워하지 말라! - 에피쿠로스 <메노이케우스에게 보내는 편지>
'가장 두려운 악인 죽음은 우리에게 아무것도 아니다. 왜냐하면 우리가 존재하는 한 죽음은 우리와 함께 있지 않으며, 죽음이 오면 이미 우리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죽음은 산 사람이나 죽은 사람 모두와 아무런 상관이 없다. 왜냐하면 산 사람에게 아직 죽음이 오지 않았고, 죽은 사람은 이미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 <메노이메우스에게 보내는 편지>  112


자유가 없다면 책임도 없다 - 칸트 <실천이성비판>
누군가에게 책임을 묻는다는 것은 그 사람에게 자유가 있다는 것을 인정했을 때에만 가능한 일이다. 자유가 없다면 책임도 있을 수 없다. 사실 '자유=책임'의 논리는 이미 우리의 일상적 삶 깊숙이 들어와 있다.  121
칸트는 인간의 윤리적 행위는 인간이 자유로울 때에만 의미가 있다고 주장햇던 철학자이다.
'이성이 자신의 행동에 대한 순수하고 실천적인 법칙을 수립할 수 있다는 것이 적극적 의미에서의 자유다. 그러므로 도덕 법칙은 다름 아니라 순수 실천 이성, 다시 말해 자유의 자율을 표현한다.' - <실천이성비판>  122
어떤 행위가 사회적 통념에 맞느냐 그르냐가 쟁점이 아니라, 행위자가 자율적인 선택을 했느냐 타율적 선택을 했느냐가 쟁점이기 때문이다.  123
칸트는 인간처럼 자율적인 주체를 '목적'이라고 부르고 자동차나 컴퓨터처럼 타율적인 사물을 '수단'이라고 부른다.  124

집단의 조화로부터 주체의 책임을 - 레비나스 <시간과 타자>
'타자를 자신과 얼굴을 맞댄 존재로 보는 것이 아니라 단지 자신과 나란히 서 있는 자로 인식하는 집단성이다. - <시간과 타자>  128

자유와 사랑의 이율배반 - 사르트르 <존재와 무>
상대바이 현재 나를 사랑하는 것도 그가 자유로운 인간이기에 가능한 일이다. 마찬가지로 그가 나를 버리는 것도 역시 그의 자유 때문에 가능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사르트르는 '지옥, 그것은 타자이다'라고 햇던 것이다.  138

타인에 대한 배려 - 공자 <논어>
자공이 물었다. '평생동안 실천할 만한 한 마디 말이 있습니까?'
공자가 말했다. '바로 서(恕)다! 자기가 바라지 않는 일은 남에게 행하지 말아야 한다.' - <논어> 위령공편  142

사유의 의무 - 아렌트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자신의 개인적인 발전을 도모하는 데 각별히 근면한 것을 제외하고는 아이히만은 어떤 동기도 갖고 있지 않았다. 그리고 이런 근면성 자체는 결코 범죄적인 것이 아니다. 그는 상관을 죽여 그의 자리를 차지라혀고 살인을 범하려 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이 문제를 흔히 하는 말로 하면 그는 단지 자기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 결코 깨닫지 못한 것이다. ... 그는 어리석지 않았다. 그로 하여금 그 시대의 엄천난 범죄자들 가운데 한 사람이 되게 한 것은 (결코 어리석으모가 동일한 것이 아닌) 순전한 무사유(sheer thoughtlessness)였다. .. 이처럼 현실로부터 멀리 떨어져 잇다는 것과 이러한 무사유가 인간 속에 아마도 존재하는 모든 악을 합친 것보다 더 많은 대파멸을 가져올 수 있다는 것, 이것이 사실상 예루살렘에서 배울 수 있는 교훈이었다.' - <예루살렘 아이히만>  154
아렌트는 더불 어 살아가는 삶에서 '사유'란 하지 않아도 상관이 없는 '권리'가 아니라 반드시 수행해야만 할 '의무'라고 강조한다.  155
아렌트는 우리에게 묻는다. 
'지금 당신은 근면과 성실이란 미명 아래 사유의 의무를 방기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지금 당신은 생각해야 할 것을 생각하고 있는가?'  156

기쁨의 윤리학 - 스피노자 <에티카>
삶에서 만날 수박에 없는 타자와의 관계. 그리고 그로부터 발생하는 자신의 감정을 회피하지 말고 정면으로 응시해야 한다. 그리고 이런 삶의 현장에서 기쁨과 유쾌함을 지키기 위한 노력도 게을리해서는 안 될 것이다.  162

선물의 가능성 - 데리다 <주어진 시간>
'선물이 주어지는 조건으로서의 이런 '망각'은 선물을 주는 쪽에서만 근본적인 것이 아니라, 선물을 받는 쪽에서도 근본적인 것이다. 특히 선물을 주는 주체에게 선물을 되갚아지거나 혹은 기억에 남겨지거나, 아니면 희생의 기호, 다시 말해 상징적인 것 일반으로 남아 있어서는 결코 안 된다. 상징은 즉시 우리를 또 다른 상환으로 이끌어가기 때문이다. 사실 선물은 주는 쪽에게 의식적이거나 무의식적인 측면 모두에서 선물로 드러나지도, 선물로 의미되지도 않아야만 한다. - <주어진 시간>  166

사랑의 지혜 - 장자 <장자>
철학적으로 말한다면, 타자란 우선 나와는 다른 삶의 규칙을 가진 존재를 의미한다.
소통(疏通)이란 단어를 많이 들어보았을 것이다. 흔히 소통이란 의사소통을 상징하는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의 번역어 정도로 이해되고 있다. 그렇지만 '트다'라는 뜻의 '소(疏)'와 '연결하다'는 뜻의 '통(通)'이란 글자로 구성되어 있는 소통이란 개념은 더 심오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소통은 구체적으로 막혔던 것을 터서 물과 같은 것이 잘 흐르도록 하는 작용을 나타내는 개념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통'이라는 개념보다 '소'라는 개념이 더 중요하다고 하겠다. 막혔던 것을 터버리지 않는다면, 무로가 같은 것이 흐를 수 없다. '소'라는 개념은 우리 마음으로 선입견을 비운다는 것, 그러니까 장자가 말했던 '비움'이나 '잊음'과 같은 맥락에서 사용된다. 마음으로부터 선입견을 비워야만 타자와 연결될 수 있는 희망을 품을 수 있을 것이다.  
타자에 대한 선입견은 나와 타자 사이의 연결을 가로막는 것, 그래서 타자와 연골되기 위해서 반드시 제거되어야 한다. 그렇지만 잊지 말아야 할 것이 하나 있다. 그것은 마음을 비운다고 해서 타자와의 소통이 저절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나 자신의 마음을 비운다는 것은 타자와 소통하기 위한 필요조건일 뿐 결코 충분조건은 아니기 때문이다. 오직 우리는 자신이 할 수 있는 것, 즉 타자에 대한 선입견을 비우는 데 최선을 다할 수 있을 뿐이다. 그리고 기다려야 한다.  194-195

웃음이 가진 혁명성 - 베르그송 <웃음>
'유연한 것, 끊임없이 변화하는 것, 생동적인 것에 반대되는 경직된 것, 기성적이 ㄴ것 그리고 집중에 반대되는 방심, 요약하자면 자유스러운 활동성에 대립되는 자동주의, 이것이 결국 웃음이 강조하고 교정하려고 하는 결점이다. - <웃음>  219
누군가 우리의 행동을 보고 웃는 다면, 분명 그것은 불쾌한 일일 것이다. 그렇지만 이때 우리는 자신의 삶이 기계적이고 무반성적으로 영위외고 있는 것은 아닌지 반성해야 한다. 상대방의 웃음을 통해 유연하고 활동적인 삶을 회복할 수도 있으니까 말이다.  220

운명은 존재하는가 - 왕충 <논형>
낚싯줄을 던지지 않느다면, 물고기를 잡을 수 있는 가능성마저도 사라질 테니까 말이다. 불확실한 결과가 충분히 예견될지라도 과감하게 낚싯줄을 던질 수 있어야만 한다. 그것이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이기 때문이다. 잡으려고 했던 물고기를 잡았다고 해서 지나치게 오만할 일도 아니고, 잡지 못했다고 해서 지나치게 비관적일 필요도 없는 일이다. 
진인사대천명(盡人事待天命)! 자신이 할 수 있는 모두 일을 하고서 조용히 결과를 기다려라!  259

미꾸라지의 즐거움 - 왕간 <왕심재전집>
'도를 얻으려는 사람이 어느 날 우연히 시장을 지나가게 되었다. 생선 가게에서 그는 우연히 드렁허리가 잔뜩 들어있는 대야를 보았다. 드렁허리들은 서로 얽히고 눌려서 마치 죽은 것처럼 보였다. 바로 그 순간 그는 미꾸라지 한 마리를 보았다. 미꾸라지는 드렁허리들 속에서 나와 아래로 위로, 혹은 좌측으로 우측으로, 혹은 앞으로 뒤로 움직이고 있었다. 쉬지 않고 생생하게 움직이는 것이 마치 신묘한 용과 같았다. 그러자 드렁허리들은 몸을 움직이고 기운이 통해서 '삶의 의지'를 회복하게 되었다. - <왕심재전집> 추선설  261
'드렁허리들의 몸을 움직이도록 하고 그들의 기운을 소통시키고 그들의 삶의 의지를 회복시키고 그들의 삶의 의지를 회복시킨 것은 모두 미꾸라지의 공이었다. 미꾸라지가 즐겁게 움직인 이유는 드렁허리들을 동정해서 그런 것도 아니고, 드렁허리들의 보답을 바라서 그런 것도 아니다. 단지 미꾸라지는 자신의 본성에 따라 그렇게 햇을 뿐이다.' - <왕심재전집> 추선설
그저 미꾸라지는 역동적으로 움직이고 싶은 자신의 본성에 충실했을 뿐이다. 
소통과 공감은 동정심이나 혹은 일체의 보답 의식으로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우리가 자연스러운 삶을 가장 즐겁게 영위할 때 소통과 공감은 기대하지 않아도 이루어질 것이라는 점을 말이다.  263
지금 우리는 의식적인 노력만으로 소통과 공감의 세계를 만들려고 노력하고 있다. 그렇지만 모든 의식적인 노력은 어느 순간 우리를 지치게 하고 무디게 만들 수 있다. 왕간이 걱정했던 것은 바로 이 점이다. 지속 가능한 소통과 공감의 세계를 꿈꾸기 위해서라도 자신의 삶과 자신의 내면을 더 치열하게 성찰해야 한다. 타인과 공감하며 공존하는 것이 바로 우리의 본성에 부합되는 일이라는 사실을 자각할 때까지 말이다. 바로 그 순간 우리는 세계에 삶의 의지를 가져다주는 즐거운 미꾸라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264-265

결혼은 미친 짓이다 - 헤겔 <법철학>
결혼을 했든 아이를 낳았든 간에 상대방의 자유를 긍정하지 않늗다면, 사랑은 그만큼 사라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네 고통은 나뭇잎 하나 푸르게 하지 못한다>에서 이성복 시인은 이렇게 말했다. 
'사이'라는 것, 나를 버리고 '사이'가 되는 것. 너 또한 '사이'가 된다면 나를 만나리라.
결국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의 일은 자신을 버리고 누군가를 사랑하는 것이다. 그렇지만 우리는 항상 기다릴 수밖에 없다. 사랑하는 '너'가 자유로운 결정으로 나를 사랑할 때까지 말이다. 이런 기다림을 유지한다면, 다시 말해 사랑하는 타자의 자유를 긍정한다면, 두 사람의 사랑이 항상 푸르게 유지될 가능성은 매우 커진다.  295

우발성의 존재를 위하여 - 들뢰즈 <천 개의 고원>
'사랑'은 '마주침' 이전에 결정되어 있는 숙명적인, 혹은 필엱거인 것일까? 아니면 사랑은 마주침이 일어난 뒤에 지속적인 만남을 통해 사후적으로 만들어지는 것일까?
이런 물음은 철학적으로 다음과 같이 추상화될 수 있다. '의미가 마주침에 선행하는가? 아니면 의미는 마주침 뒤에 오는가?' 혹은 다음과 같이 풀 수도 있다. '필연성(necessity)이 우선적인가? 아니면 우발성(contingency)이 우선적인가?'  298
사랑을 숙명적이라고 본 다는 것은 나무의 이미지를 따른다는 것이다. 이 경우 우리는 10년 동안 매주 토요일 떠나간 연인을 기다릴 수 잇는 아름드리 고목과도 같은 삶, 확신에 가득 차 있는 삶을 영위하는 사람이 될 것이다. '그가 오지 않더라도, 아니 오기 전에 내가 죽더라도, 그 사람은 나의 사랑이야.' 반면 사랑을 우발적인 것이라고 본다면, 우리는 들뢰즈가 제안햇던 리좀의 이미지를 딸고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우리는 수많은 사람들과 마주치는 여행을 계속 시도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우리에게 기쁨을 주는 누군가를 만나서, 자신의 기쁨이 지속되는 한 그 사람과의 마주침을 끈덕지게 될 것이다. 물론 기쁨이 사라지는 순간, 우리는 한때 기쁨을 주었던 그 사람에게 결별을 고하게 될 것이다.  300-301

잃어버린 놀이를 찾아서 - 하위징아 <호모 루덴스>
하위징아는 소중한 교훈을 준다. 지금 자신이 하고 있는 행동이 수단이면서 목적일 때 우리는 기쁜으로 충만한 현재를 살 수 있는 반면 자신의 행동이 무엇인가를 위한 수단에 불과하다면 고단함으로 충만한 현재를 견디고 잇다는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바로 '현재'가 두 가지 의미로, 혹은 두 가지 가치로 우리에게 다가올 수 있다는 점이다. 하나는 놀이에서 분명해지는 것처럼 그 자체로 향유되고 긍정되는 현재이고, 다른 하나는 노동의 경우처럼 미래를 위해 소비되어야 하고 견뎌야 하는 현재이다. 우리에게는 첫 번째 현재, 즉 긍정적인 현재가 필요하다. 오직 이런 현재로 충만한 삶만이 행복한 삶이기 때문이다.  303-304

진정한 진보란 무엇일까- 마르크스 <포이어바흐에 관한 테제>
진정한 진보는 지금 여기에 살고 있는 우리만이 아니라 앞으로 여기에 살게 될 후손들에 대한 관심이 있느냐의 여부로 결정될 수 있다.
'인간이 환경과 교육의 산물이며, 따라서 변화된 인간은 다른 환경과 변화된 교육의 산물이라는 유물론적 학설은 변화시키는 것이 바로 인간이며 교육자 자신도 교육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잊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 학설은 필연적으로 사회를 두 가지 부분-이 가운데 어느 한 부분은 사회를 초월해 있다.-으로 나눌 수밖에 없게 된다. - <포이어바흐에 관한 테제>  316


에필로그
독서라는 여행을 위하여
사람들은 여행을 좋아한다. 그러나 불행히도 여행을 제대로 다녀온 사람은 그렇게 많지 않은 것 같다. 일상생활이 바빠서인지, 그들은 무엇인가에 쫓기는 듯이 여행지를 다녀온다. 그러나 과연 이것은 제대로 된 여행일까? 참다운 여행은 배움의 과정이어야 한다. 여행으로부터의 배움은 이중적일 수밖에 없다. 
첫 번째 배움은 여행지와 그곳 사람들의 삶을 배우는 것이다. 처음에는 말도 음식도 그들의 행동도 모두 낯설게 느껴질 테지만, 애정을 갖고 그들과 살을 부대끼다 보면, 어느 사이엔가 우리는 그들 곁에서 편안함을 느끼는 자신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여행으로부터 배우는 두 번째 배움은 첫 번째 것보다 더 심오하다. 여행지에서 삶이 충분히 편하게 느껴질 때, 우리는 자신이 떠나온 일상이 낯설게 다가올 것이다.  320
진정한 여행을 떠난 사람은 자신이 도착한 낯선 곳에 익숙해질 때까지 그곳에 머물러야 한다. 
그래서 여행은 차이의 경험이라고 할 수 있다. 낯선 여행지와 익숙한 일상 사이의 차이, 혹은 이제는 익숙해진 여행지와 낯설게 느껴지는 일상 사이의 차이. 이 두 가지 차이를 동시에 겪어내야만, 여행을 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책을 읽는다는 것은 여러모로 여행을 가는 일과 유사하다. 여행과 마찬가지로 독서를 통해 이중적인 배움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처음에는 책의 내용과 저자의 속내가 어렵고 낯설게 느껴질 것이다. 차츰 책과 저자에게 충분히 익숙해진다면, 우리는 자신의 삶을 돌아볼 수 있는 차이에 대한 감각을 얻게 될 것이다.  321
진정으로 아무것도 배운 것이 없는 독서도 있을 수 있고, 자신의 삶까지 변화시킬 정도로 강력한 배움의 경험을 제공하는 독서도 있을 수 있다.
영민하고 섬세한 철학자 들뢰즈는, 두 가지 종류의 독서법이 있다고 전한다.
첫 번째 독서법을 '우선 책이란 속을 보여주는 하나의 상자라고 생각하고서, 그 속에 담긴 의미를 찾아보든가 혹은 썩고 타락한 사람들이라면 어휘들을 찾아 나선다. 그리고 그 다음에 읽는 책은 전번 상자에 담긴 상자, 혹은 그것을 담는 상자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리고 주석을 담고, 해석을 하고, 설명을 요구하고, 결국 책에 대한 책을 쓰게 되고, 같은 식으로 끝없이 반복하는 것이다.' - <대담>
첫 번째 독서법은 놀이보다는 노동에 가까운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책을 읽는 또 다른 방식은 책을 어휘나 의미를 찾는 것과는 무관한 하나의 기계(machine)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그것은 작용을 하는가, 어떻게 작용을 하는가?" 하느 것만이 문제가 된다. 그것이 어떤 작용을 하는가? 만일 작용이 없으면, 감응이 없으면, 그럼 다른 책을 집어 들면 된다. 바로 이것이 강렬한 독서이다. 무엇인가 발생하든가 아니면 아니든가, 그뿐이다. 아무런 설명할 것도, 이해할 것도, 해석할 것도 없다.' - <대담>
스페인 안달루시아 지방이 좋다는 말을 듣고 그곳 명승지를 하나하나 둘러보며 사진을 찍을 수도 있다. 그렇지만 이럴 때 안달루시아와 감응하고 있는가? 만약 안달루시아가 우리에게 작용을 한다면, 우리는 그곳에 머물면 된다. 반면 주변 사람들이 뭐라고 해도 안달루시아가 어떤 작용도 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과감히 그곳을 떠나야 한다. 안달루시아로부터 삶의 변화를 체험하지 못한다면, 안달루시아를 갔어도 가지 않은 것과 다름이 없기 때문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나의 삶을 흔들어버리는 책이 있다. 나의 허영을 부수고 내 맨얼굴을 보도록 만드는 책이다. 혹은 내가 고뇌하는 것의 실체를 때로는 절망적으로, 때로는 희망적으로 보여주는 책일 것이다. 이런 책을 읽을때 우리는 노동하는 독서가 아니라 감응하는 독서를 하고 있는 중이다. 이것이 바로 들뢰즈가 말한 '강렬한 독서'법이다.  322-325

Posted by WN1
,
나는 조금 더 움직일 테니 ......
너는 그만 좀 움직여.




참 생각이 많다. 참 고민도 많다.
하고 싶은 것도 많다.
해야 할 것도 많다.  그래서 걱정도 많다.....

그러나 피하고 싶다. 하기 싫다
알면서도 하기 싫다
막상 하려 들면 겁도 많이 나며 무슨 핑계거리는 그리도 많을까.
근데 시작하면 말이야
걱정하던것 모두다 의미없다는 것을 알게 돼.
그리고 어렵다 하더라도 행동하면 이상하리만치 답을 찾아가게 되고 결국은 찾아내게 된다.
그러니 마음은 잡아서 움직이지 못하도록
그 녀석은 할거리 걱정거리 무지하게 늘어놓는게 특기고 하려할땐
못하게 하는 그럴듯한 이유들이 세배쯤 나오게 하는 녀석이야.
해야 하는 것이 생기면 그때 무조건 마음을 잡고 무조건 해보는 것이 필요하다.
그렇지..!!
정말 쉽지 않지 ..!!
말은 쉬우나 이게 하는게 쉽지 않아 그러니까 그 마음까지 잡아야해.
 

'나를 쓴다 > 숟가락 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입이 할 수 있는 최고의 일  (0) 2012.01.11
서산에지는 해를 끄집어 올리는 방법  (0) 2012.01.09
문제와 답  (0) 2012.01.04
내가 접었지만 내가 접지 않은  (0) 2011.10.19
지름길  (0) 2011.10.18
Posted by WN1
,


꿈꾸는 것과 
행하는 것은 같은 것이 아니다.


이상은 우리를 꿈꾸게 할 뿐 아니라 
행동하도록 부추기는 것이어야 한다.


내일 무엇이 될 수 있는가에 대한 생각이 
오늘 우리가 무엇을 할 수 있도록 
인도해야 한다.

                              - 윌키 오의《마음의 길을 통하여》중에서 -



wn1 - 생각좀 하고 삽시다.. 라는 주제는 현재에 사는 성인이라면 한 번 이상은 들어보면서 살아왔습니다.

그런데 우리는 대체 어떤 생각을 해야 하는지를 몰라서 생각을 하지 못하고 살아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떤 생각을 하면서 살아야 합니까?

딱히 정해져 있는 생각은 없습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어떤 생각을 해야 하는지 조차 모르겠다는 막막함을 호소하는지도 모릅니다.

그런데 사람은 누구나 생각을 하고 삽니다.. 

자신이 하는 것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잘 알고 있습니다.

자신이 하고 싶어하는 것도 한가지 정도는 있습니다. 물론 무수한 변경거리들이 우리를 가로막고 있는 것은 압니다..

문제는 생각을 하고 산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앞선 질문자체가 의미가 없을 수도 있습니다.

이런 질문을 하면 좀더 좋은 표현일까요..

어떤 목적의 생각을 하고 삽니까?


이런 질문에는 자신이 살아가는 이유에 대해서부터 생각을 해나가야 합니다.

막막하긴 하지만 어떤 생각을 해봐야 하는지를 알게 되는군요..


거기서 부터 하나하나 풀어나가면 더 좋고 더 깊은 생각들을 하면서 지내게 됩니다.

그래서 근래 인문학이란 화두가 인기를 끌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인문학은 '사람에 대한 통찰'을 다루는 학문입니다.

굳이 '학'이라니 학문을 생각할 필요는 없습니다.

인문 즉, 사람에 대해 생각해 보는것입니다.

그것은 우리를 생각하게 해주기 때문입니다.

자신을 성찰하고, 타인을 이해하고 배려하며 스스로에게 도움을 베푸는 자세를 키운다고 할까요..

인문학은 원래 있던것입니다. 다만 근래 필요성에 의해 대두되는것일 뿐입니다.


어떤 생각을 하면서 살아야 할까요?  우리 깊이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져 봅시다.

그렇게 하면 깊은 생각으로 인해 의지가 강해져 행동으로 이어짐이 빠를것입니다.

꿈꾸는 것과 행동하는 것은 다릅니다.

꿈이 현실에 가깝고 또한 의지를 불태울 수 있으려면 이상적이어야 하는데,,,저는 그 이상적인것에 인문적인 성찰과 통찰을 대입해 봅니다.


'마음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을 살기로 해요.  (0) 2010.12.21
완벽 하고픈 생각의 욕심들  (2) 2010.12.16
해야만 한다고 느끼는 일은 미루지 말라  (0) 2010.12.08
습관의 결과  (1) 2010.12.02
집중력을 강화하는 방법  (0) 2010.12.01
Posted by WN1
,



마음의 소리를 들어라

삶을 살아가면서


언제나 중요하게 다가오는 것은

마음의 평화에 대한 문제다.

우리는 곧잘 삶의 고통에 대해
외부의 것들에 그 원인을 돌리지만


사실 그것은 전적으로 우리의 마음에 달려 있다.
틱낫한은 우리의 마음을 "밭"에 비유한다

그 밭에는 기쁨. 사랑. 이해. 즐거움. 희망과 같은
긍정적인 씨앗이 있는가 하면



두려움과 분노. 미움. 절망. 시기. 외로움.
그리고 건강치 못한 집착 등과 같은


부정적인 씨앗이 있다.


과연 내가 무엇을 원하는지 알길 원하는가?

그렇다면 조용히 자신의 마음에 귀를 기울여라.
혼자만의 시간을 가지는 것도 좋고
일기를 쓰는 것도 좋다.



평소에 무엇인가에
마음이 자꾸 끌리거나 관심이 있다면


무시하지 말고 잘 관찰하고
당신과의 연관성을 찾아보아라.



그것은 당신이
한 평생을 바쳐 간절히 원하는


무엇인가를 찾기 위한
열쇠일 가능성이 높다.


wn1 - 자신이 자신을 위한 시간을 투자하는 것 만큼 중요하면서도 필수적인것은 없을 것이라 생각한다.

삶이 바빠서 ...무엇에 그리바쁜지 그것들 때문에 자신을 위한 것은 없는 그런 사람이 되어서는 안될것이다..

그러지 말자.,

자신을 위해 살아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중요한것 부터..하자..

사람만나는것..영화보기..차마시지..수다떨기..TV 보기.. 인터넷 열어보기..게임하기 ..등등...이런것이 자신에게 얼마나 중요한지 곰곰이 생각해보자..

정말 자신에게 중요한것은 무엇인가?

Posted by WN1
,

꿈꾸는 다락방 2

이지성 국일출판사 2008

"꿈이 준비되면 기회가 나타난다."

"나는 매일 새롭게 전진하고 있다"고 대답할 수 없다면 꿈을 가져라. 그리고 그 꿈에 미쳐라.

===> 새로운 삶을 살게 될것이다.

바램을 꿈과 혼동하지 말라. 바램은 단순한 소망이다. 바램은 흔히 '~가 되고 싶다'이다.

꿈은 결단이다. 꿈은 '반드시 ○○가 되고야 말겠어!'이다. 바램은 이루어지지 않지만,

꿈은 반드시 이루어진다.

===> 바램을 이루고 싶다면 꿈으로 전환해야 한다. 바램은 저절로 꾸어지지만, 꿈은 만드는 것이다.

wn1 - 실제로 사람들은 자신이 꿈이 있고 비전이 있다고 착각하는 경우가 많다..그럴때 자신에게 꿈이 뭔가? 라는 질문이 오면 서슴없이 말을 하지만 ...스스로는 뭔가 찜찜함을 느낀다.. 왜냐하면 자신의 꿈이나 비전이 아니라 막연히 어디선가 들었거나 보았던것을 '나도 저러면 좋겠다'라고 생각했을 뿐 그 이상으로 무언가든 해보지 않았기 때문이다.. 저자가 말하는 바램이다..

이것은 자신에게 도우이 되질 않는다.. 

사람들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착각을 하고 있다.

도대체 그러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사고의 과정이 없었기 때문이다..

즉 나도 그러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을때 그것에 대한 생각이나 정보라도 얻으려는 노력을 취했다면 그것은 자신의 꿈이 될 수도 있을 텐데..사람들은 그 순간 즉, 찰나의 부럼움만을 가지기 때문에 꿈이 되질 않는것이다.

그리고 그것을 관리하는 것은 차후에 이루어지는 것이다.


사람에게 꿈은 근육과도 같다. 규칙적으로 관리해주지 않는다면 처지게 된다.

박정희

윤정수

박경림

메리 케이 애시

테리 폭스

전광열

정주영

이건희

아인슈타인

피카소

빌 클린턴

베토벤

존 크리시

마이클 조던

타이거 우즈

꿈은 이루어 질 때까지 꾸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은 열심히 노력하면 무조건 성공하는 줄 안다. 그런 것이 아니라 꿈을 향해 열심히 달릴때 성공하게 된다.

wn1 - 열심히 하는것과 성과를 내는 것은 어느정도의 차이를 가지고 있다.

공부하는 학생들이나 직장인이나 심지어는 주부들마저도 뚜렷이 구분되어 있는 것을 조금만 관찰해보면 알 수 있다.

막연히 열심히 하는 것은 누구나 하는 것이다...물론 그것 마저도 하지 않는 경우는 거론해 봐야 무슨 소용이겠는가...

공부하는 학생은 열심히 공부는 하는데 하는만큼 결과가 나오지 않는경우.

열심히 회사일을 하지만 성과가 다른이보다 좋거나 진급이 빠르지도 않는 경우.

집안일을 하루종일 이것저것 열심히 하지만 거의 표가 나지 않는경우.

(솔직히 개인적인 생각은 .. '집안일은 고대지만 표는 나지 않는다'는 말에 반정도만 동감하고 반은 그렇게 생각지 않는다...분명 집안일은 여러가지이며 그것을 모두 한다는 것은 힘든일이라고 생각하며.. 그렇기에 표가 쉽게 나지 않는다는 것에도 인정한다..

하지만 그런 집안일도 잘 계획하고 가꾼다면 분명 표나게 집안을 관리할 수 있다고 생각하며, 그러한 사람들을 많이 보아오기도 했다.)

열심히 하는데 별다른 결과가 없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우선 목표의식이 없기에 지금하는것에 의미를 두지 않는 경우일 수 있다.

이런경우는 오래도록 열심히 하기가 힘들다...

다음으로는 계획이 없는 경우일 수 있다...이것도 전자의 경우와 비슷한 맥락이지만 목표가 있어도 계획이 없는 경우일 수 도 있다.

또한 방법자체가 좋은지 아닌지 전혀 생각지 않는 경우이다.

이런 경우는 정말 열심히는 한다..자신이 공부하는 일이 좋은 방법인지 아닌지가 중요한게 아니라 그냥 열심히 한다는 자체만으로 만족하기 때문이다..

전혀 생각을 하지 않는다..결과를 보면서도 다음에도 계속 그러고 있다..

이러다 보면 자신은 이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는 스스로의 틀을 형성하게 되어 더 이상 무언가에 도전을 해보는 마음마저도 사라지게 된다.

자신이 하는것이 어떤것이든 그것에 대해 생각하고 더나은 방법에 대해 고민해 보는 시간이 필요하다..그렇게 할때 발전과 성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두려움이야 말로 가장 강력한 부정적인 사고방식이다. 두려움은 성공을 가로막는 가장 큰 요인이다.

물리적 노력으로는 무의식의 변화를 시킬 수 있다. 하지만 진정 성공하려면 물리적 노력에 정신적 노력까지 해야 한다.

===> 진정한 확신을 갖게 되고 어떤 어려움에도 두려움이 아니라 확신을 유지 자신의 운명자체를 바뀌게 할 수 있다.

이명박 "꿈만 있고 실천력이 없으면 백일몽이다. 꿈 없이 일만 벌이는 것은 악몽이다."

거대한 확신을 만들어 내지 못하는 단순한 노력은 절대로 인생을 크게 변화 시킬 수 없다. 당신의 인생을 걸고 정신적 노력과 물리적 노력을 하라.

우리가 겪는 어려움은 너무 많은 꿈이 실패해서가 아니라 꿈을 꾸지 않기 때문이다. 꿈이 있는 사람들 절대 지지 않는다.

꿈이 당신을 미치게 할 때 원하는 것을 이루게 된다. 그 꿈을 찾기 위해서는 '결단력'과 '집중력'이 필요하다.

정주영 "아무 생각 없는 사람에게 전진이란 있을 수 없다. 생각하는 사람과 생각 없는 사람의 차이는 일을 해보면 질적인 면에서나 능률적인 면에서나 하늘과 땅 차이다."

여기서의 생각이란 무엇인가? 일반적인 생각 그 이상이다. 즉 꿈을 가지고 이루기 위한 고심.

"긍정적으로 사고하고 향상된 미래를 꿈꿔라"

"충실한 삶을 살고 싶으면 일찍 일어나 생각하는 시간을 갖고 일에 임해야 할것이다."

===> 정주영 회장의 추진력은 이미 그전에 모든 생각으로 계획을 세운 뒤에 있다.

헨리포드 "생각하는 것은 가장 힘든 작업이다. 생각하는 사람이 매우 적은 이유는 그 일이 힘들기 때문이다."

wn1 - 헨리포드의 말에 고개가 절로 끄덕이는 느낌이다.. 이것만 잘 풀어낸다면 누구나 잘 할 수 있기 때문이라서 그런가 보다..

생각의 유희를 가지기 위해 아직도 많은 사람들은 고전독서를 즐기리라...

개인적으로 고전독서를 여러번 시도해 보았지만 그때마다 중도에 포기하였다...하지만 시도마다 조금씩의 발전을 가졌다... 그러면서 고전독서의 방법을 알아가고 있는 중이다..물론 이것역시 자료들을 찾으며 고민했다면 더 빨리 찾아졌을 것이다..

근래는 고전독서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글을 남기기에 쉽게 해 나갈 수 있는것 같다..


에디슨 "한 가지 생각이 열매를 맺으려면 평균 5-7년이 걸린다. 때로는 25년 이라는 시간이 필요할 수도 있다." 에디슨은 발명 중에 막히는 일이 발생하면 '에디슨 침대'라 명명한 침대로 올라가 반수면 상태에 빠져 영감을 얻었다. "천재는 1%의 영감과 99%의 땀으로 이루어진다."

===> 아무리 노력해도 1%의 영감이 없으면 99% 노력은 아무것도 아니다.

그는 "영감이 없으면 아무리 노력해도 신통한 결과를 얻지 못한다. 무조건 노력만 하는 사람은 쓸데없는 에너지 낭비하는 꼴"


이건희 " 미래에 대한 꿈과 비전이 있어야 한다."

"전략 경영이란 미래에 대한 비전을 명확히 설정하고, 이를 단정하기 위해 지금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계획하여 수립하고 실천하는 것이다."

1. 과거와 현재의 나는 잊어라. 오직 미래의 나만 생각하라.

2. 환경이나 현실 탓을 하기에 앞서 네 마음의 에너지를 믿어라. 네가 꿈꾸는 성공에 걸맞은 마음의

에너지를 갖기 위해 노력하라.

3. 네 상상력을 물감 삼아 새로운 미래를 마음껏 그려라.

4. 누구보다 열심히 노력해라.

양자론은 눈에 보이지 않는 세계 중에서도 극단적으로 미세한 세계. 원자나 분자 크기의 세계. 1,000만분의 1일 리이터 이하의 세계를 다룬다.


존 크리시는 출판사에서 753번의 거절을 받았다. 그러나 그는 언제나 생생한 꿈을 꾸었다. 총 563권의 소설을 발표하고 세상을 떠났다.

내가 스스로 만든 나의 한계라는 감옥을 탈출하려면 맹목적인 VD를 해야 한다. 하루 평균 6만 가지의 생각 중에 95% 즉 5만 7천 가지는 별 의미가 없거나 부정적인 생각 즉 자신의 한계속에 갇혀 있는 생각이란다. 다시말해 3천개정도가 의미 있거나 긍정적이다.


목표가 불명한 사람은 지금 현재 꿈을 이루기 위해 가장 필요한 행동이 무엇인지 빨리 찾아내고 실행에 옮기며 여러 번 실패를 거듭하면서 생긴 노하우를 이용해 실행 방법을 더욱 효율적으로 개선하는 장점도 보유하게 된다.


이지성이 말하는 통합 VD 5단계

1. 혼자만의 조용한 공간, 의자에 앉거나 침대에 누워라.

2. 눈을 감고 꿈의 나래를 펼쳐라.

3. 입을 열어서 꿈을 선포하라.

4. 펜을 들어라. 종이에 꿈을 적어라.

5. 종이에 적은 것을 다시 큰 소리로 읽어라.

Posted by WN1
,




우리는 '성공하기 위한 00가지 전략(지혜)' 따위의 글을 읽거나 스크랩하길 즐긴다.

그런 글을 읽으면 금세 성공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러나 그 좋은 '조언'이 실제 우리의 일상을 바꾸어 주지는 못한다.

돌아서면 자신의 실제 삶과 상관없는 '지식'이기 때문이다.

지식 그 자체가 행동을 변화시키고 삶을 바꾸는 것이 아니다.

지식이 곧 성공을 만드는 마스터 키도 아니다.

 

서점에 가 보면 또 수많은 성공을 다룬 서적들이 쏟아져 나온다.

큰 꿈을 키워야 성공한다는 주장도 있고, 인맥이나 미소 혹은 칭찬의 말 등을 활용해야 성공한다는 내용도 있으며, 믿으면 된다거나 긍정적으로 살면 모두 이루어진다.  아이디어가 좋거나 상대의 감성을 울려야 목표에 도달할 수 있다는 책들도 있다.

저마다 논리적이고 합리적이다. 고개를 끄덕이게도 한다.

그러나 그런 성공가이드가 사람들의 실제 삶에 크게 도움이 될까?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어느새 새 책을 찾는 중독증만 심해간다.

 

성공을 가이드 하는 지식은 행동의 변화를 가져오는 것이 아니며, 특히 성공이란게 따지고 보면 어떤 한 특정 요소로 이뤄낼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다음과 같은 성공 명언들을 살펴보자.

[성공명언]

1. 꿈을 꾸는 사람은 성공할 것이다.

2. 자신의 끼를 발견하는 사람은 성공할 것이다.

3. 아이디어 하나만 있으면 성공할 것이다.

4. 인맥이 풍부한 사람은 성공할 것이다.

5. 추진력이 뛰어난 사람은 성공할 것이다.

6. 이미지를 잘 가꾸는 사람은 성공할 것이다.

7. 열정이 있으면 성공할 것이다.

 

어떤가?  누구나 이런 말에 동조하게 마련이다. 그러나 이 말들을 다음과 같은 문장으로 조금 바꾸어 다시 읽어보자.

 

[실패명언]

1. 무조건 꿈만 꾸는 사람은 반드시 실패한다.

2. 자신의 끼만 믿는 사람은 반드시 실패한다.

3. 머리 속에서 아이디어만 생각하는 사람은 반드시 실패한다.

4. 인맥만 활용하려는 사람은 반드시 실패한다.

5. 막무가내로 밀어붙이기만 하는 사람은 반드시 실패한다.

6. 이미지만 포장하려는 사람은 반드시 실패한다.

7. 열정만 믿고 아무 전략 없이 준비되지 않으면 반드시 실패할 것이다.

 

성공을 위한 조언은 이렇게 동전의 양면처럼 성공명언도 되고 실패명언도 된다. 

우리는 성공요소라고 주장하는 것들에 반(反)하여 그속에서 진정한 성공의 길을 찾아내지 않으면 안 된다.

수 많은 성공서들이나 성공 자들의 조언은 '성공명언'에 대해서만 집중 부각시킨다.

그래서 사람들의 공감을 쉽게 이끌어 낸다.

하지만 동시에 다른 면이기도 한 '실패명언'에 대해서는 결코 말해 주지 않는다.

이 때문에 일반인은 성공명언에 매달려 실천해도 현실에서 목표를 이뤄내기 힘들어진다.

우리 주변을 둘러보라. 성공하는 이보다 실패하는 이들이 더 많은 이유가 뭘까?

나는 사람들이 바로 '~만 있으면 성공할 것이다'라고 믿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성공을 부르는 최고의 전략인 "감칠맛 전략 꿈 끼 꾀 꼴 깡 꼴 꾼"도 자칫 잘못 이해하면 실패명언이 된다.

 

 

 

[실패유형]

 
〔꿈〕만 꾸는 유형

자신의 조건과 상황,자본,노동력,전문성 등

아무것도 생각하지 않은 채 무조건 거창한 꿈을 꾸다 실패하는 사업가.

 
〔끼〕(재능)만 믿는 유형

타고난 재능 하나만 믿고 자신의 실력을 갈고 닦지 않다가

 금세 대중에게 외면 받는 스타.

 
〔꾀〕(이번 아이디어는 대박)만을 외치는 유형

 반짝이는 아이디어를 늘 내지만 한 번도 실행해 보지 않는

 입으로만 벤처 준비생.

 
〔끈〕(인맥)만 믿는 유형

 네트워크의 풍부한 인맥을 형성해 놓고도

 전혀 실제 자신의 목표에 적용할 줄 모르는 이들.

 
〔깡〕만 믿는 유형

 아무런 전략도 준비도 없이

 무조건 깡다구만 있으면 된다는 운동선수.

 
〔꼴〕(겉포장)만 중요시하는 유형

 알맹이 없이 겉으로만 멋지게 이미지 포장을 해놓고

 왜 내 것은 예쁜데 안 팔리느냐는 쇼핑몰 상품판매자.

 
〔꾼〕이지만 진정한 프로는 아닌 유형

    올바른 비전도 없이, 긍정적인 목표도 없이

    세상에 도움 되지 않는 수많은 꾼들.

 

원대한 꿈만으로, 넘치는 끼만으로 반짝 떠오른 아이디어 하나만으로풍부한 인맥이나 깡다구 하나만으로 성공에 이를 수 있다는 이야기는 사실 처음엔 그럴 듯해 보인다.

 

하지만 한 번만 더 깊이 생각해 보면 ‘그 성공비결은 여러 성공요소 중 그저 한 가지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우리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성공요소 중 자신에게 없는 요소는 무엇인지, 내게 부족한 것이 어떤 것인지 끊임없이 찾아내야 한다.
그리고 그것을 채우고 만회해 나가야 한다.
그게 진짜 실제로 우리 자신이 성공할 수 있는 길이다.

 

1단계 [꿈]

비전이자 목표. 자신이 진정 무엇을 하고 싶은지를 찾아내고 목표를 분명히 정하는 것이 바로 꿈이다.

 

感2단계 [끼]

타고난 능력. 이것은 자신만이 가지고 있는 재능이나 주무기를 뜻한다. 어떤 꿈을 이루기 위해서는 반드시 자신만의 차별화된 끼를 발견해내고 시대의 트렌드를 잘 읽어야 한다.

 

3단계 [꾀]

기획력. 무엇을 어떻게 진행할 것인가를 구상하여 성공으로 가는  설계도를 그리는 작업이다.

 

4단계 [끈]

과거엔 끈이라고 하면 부정적인 의미의 이나 연줄을 뜻했다. 하지만 이제는 인간관계, 폭넓은 사회성, 네트워크십 등을 가리킨다바로 신 인맥을 뜻하는 공존지수다.

 

5단계 [깡]

실행력 또는 추진력이 깡이다. 구상에 머물지 않고 몸으로 부딪쳐 실제에 적용시켜보는 단계다 이 단계에서는 배짱과 오기가 요구된다.

 

6단계 [꼴]

모양이나 생김새를 뜻한다. 친밀한 얼굴, 개성 있는 이미지, 멋지고 세련된 제품 디자인, 시대의 흐름을 이끄는 감각. 꼴은 이 모든 것을 의미한다.

 

7단계 [꾼]

전문가 정신을 의미한다자 신의 장점을 파악하고 다양한 아이디어로 무장해 자신을 성장시켜 나가다 보면 어느 새 전문가가 돼 있을 것이다.

 


진짜 성공을 만드는 법칙은 어느 하나의 힘이나 지식이 아니라
바로 꿈->->->->->->꾼 이란 성공을 이루는 7가지 요소를 단계별로 갖추어나갈 때 만들어진다는 사실을결코 잊지 말라.
'~
'있으면 된다는실패법칙 7가지의 믿음을 깨뜨려라.

 
그것이 바로 성공법칙 7가지인 ' 감칠맛전략  꿈 끼 꾀 끈 깡 꼴 꾼 ' 의 가장 중요한 핵심 메시지다



 


Posted by WN1
,

습관의 힘

마음에 2010. 8. 19. 23:26




습관의 힘

 

성공한 사람들은

남보다 더 노력하고, 인내하고,

효과적으로 준비하는 습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가 알지 못하는

우리 내부의 낯선 것을 일깨우고

변화시키려면 습관부터 바꾸어야 하는데

그 습관을 변화시키는 것은 사람입니다.

 

생각하고, 말하고, 계획하고, 액션하고, 체크하는

그 모두를 행동으로 옮기고 실천하는 사람을 성공으로 이끌고,

꿈만 꾸는 사람을 실패로 끄는 힘은 바로 습관입니다.

 

목표를 세웠다면

당장 실천하고 꾸준히 반복하십시오

새 습관이 몸에 배려면 꾸준한 훈련이 필요합니다.

 

신중하게 새로운 좋은 습관을 찾으십시오

습관은 버려지는 것이 아니라 교체되는 것입니다.

최고가 되는 것은 재능보다 연습하는 습관에서 비롯 됩니다.

Posted by WN1
,




좋은 느낌을 갖게 된 일이 있다면,
거기서부터 시작하라.

아무 생각도 하지 말고 내일로 미루지도 말라.

 

내일 하겠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진정으로 그 일을 하고자 하는 사람이 아니다.

어떤 일을 내일 하겠다고 남겨놓는 사람은
그 일을 영원히 끝낼 수 없다.

 

"좋은 일은 급하게 하고 나쁜 일은
뒤로 미루라"는 말을 가슴에 새겨두어라.

Posted by WN1
,

PET(Parent Effectiveness Training)

양철북 토머스 고든 2002

1장 부모 역할에도 훈련이 필요하다.

- 부모 역할 훈련(Parent Effectiveness Training) 십대의 반항기는 당연하고 피할 수 없는 일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하지만 P.E.T.를 통해 우리가 얻은 경험은 이러한 생각이 잘못된 것임을 보여 주었다.

Q. 이 방식은 자유방임주의 교육법의 일종인가?

A. 그렇지 않다. 지나치게 관대한 부모들은 지나치게 엄격한 부모만큼이나 문제가 될 수 있다.

- P.E.T.는 혁명적이다. 하지만 혁명을 불러일으키는 것이 아니다. 부모들이 자기 자리를 유지할 수 있게 하고, 가정의 불화를 방지하고, 부모는 부모들끼리, 아이들은 아이들끼리 결탁하여 적대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더욱 친밀하게 만드는 것이다.

- 부모는 '승자형', '패자형', '동요형' 이렇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 번째 부류는 아이에게 권위나 권력을 행사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하고, 구속하고, 한계를 정하고, 특정 행동을 요구하며 명령을 내리고 복종을 요구한다. 부모가 원하는 것과 아이가 원하는 것 사이에 갈등이 발생하면 부모는 늘 부모의 의견을 관철하는 쪽으로 갈등을 해결한다.


두 번째 유형 '패자형' 부모는 거의 언제나 아이들이 마음대로 하도록 내버려 두는 타입이다.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것은 이 두가지 방법중 하나만을 꾸준히 사용하기가 불가능하다고 생각하는 부모들이다. 엄격함과 관대함, 까다로움과 편안함, 구속과 자유, 이기기와 지기 사이에서 계속 왔다 갔다 하게 된다.

세 번째 유형인 '동요형' 인 부모들이야 말로 가장 많은 혼란을 겪고 있는 사람들이며, 이런 부모의 자녀들이 문제를 가질 가능성이 가장 높기도 하다.

2장 부모도 감정을 지닌 사람이다.

- 어떻게 하면 부모들은 아이들에게 '사람'일 수 있을까? 어떻게 아이들에게 있는 그대로를 보여 줄 수 있을까?

- 아이가 할 수 있는 모든 행동을 다음과 같은 직사각형(행동의 창-Behavior Window)안에 넣어 보자.

사각형 안에 금을 그어 이 둘을 구분하기로 하자. 사각형 위쪽에는 수용할 수 있는 행동을, 아래쪽에는 그렇지 않은 행동을 넣는다. 수용할 수 있는 행동이 많다면 상대적으로 '너그러운'부모이고, 수용할 수 없는 행동이 많다면 상대적으로 '너그럽지 않은' 부모이다.

부모는 때로는 이랬다저랬다 할 수밖에 없다. 늘 일관성을 유지하려고 한다면 그것은 진심에서 우러나온 행동일 수 없다. 부모 양쪽이 아이에게 같은 입장을 취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엄마가 실제로는 수용하지 않으면서도 수용하는 것처럼 행동할 때 어떤 문제가 있을 수 있을까? 아이는 혼란에 빠질 수밖에 없다. 행동으로는 자지 않고 있어도 좋다고 말하면서 표정을 보면 엄마가 별로 좋아하지 않는 것 같다. 아이는 혼란에 빠졌다. 자고 싶지는 않지만, 또 한편으로 사랑도 받고 싶다. 아이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은 아이의 정신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부모는 늘 말을 부드럽게 하고 너그럽고 잔소리를 하지 않지만 실제로는 수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은연중에 드러내면서 수용하는 듯이 행동하는 부모이다. 거짓 수용을 할 때에는 심각한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며, 길게보면 아이와 부모의 관계를 오히려 악화시킬 소지가 있다. 부모와 자식의 관계처럼 친밀하고 오래 지속되는 관계에서 진짜 감정을 숨기기란 어려운 일이다. 실제 감정과 태도 이상으로 수용의 범위를 넓혀서는 안 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부모는 솔직한 감정을 감출 수도 있지만 감추어서도 안된다.
wn1 - 한국인 부모에게 가장 많은 것 중에 하나이지 않을까..!!
굳이 한국의 부모만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한국의 부모에게 사실 많은 편이다.
이것은 사회적인 요인들과 현상들로 인해 그럴 수 밖에 없었을지도 모른다..하지만 이젠 변화될 수 있고 변화되어야 하기도 한다. 지금까지의 한국은 식민시절과 남북전쟁으로 인해 피폐해진 나라안에서 전체의 어려움을 극복하는것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고..
그 부모님들을 통해 교육을 받기 어려운 시절을 겪어낸 50-60대의 부모 그리고 그 자녀들 역시도 안정을 찾기 위해 열심히 뛰어다니는 부모님에게서는 많은 부모역할을 받지 못하였다.. 하지만 지금의 어린 자녀를 둔 30대 정도라고 보았을때 부모에 대한 역할이 어떻게 진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해서 깊게 고찰해 보아야 할 시기이다.
혹 외국 영화를 보면서 우리내와는 다른 부모와 자녀의 관계를 찾아 보았는가?
그들과 여러가지 다르긴 하지만 큰 한 가지는 자녀의 독립정신을 부모가 길러준다는 것이다. 그것이 생활에서 보이는 것은 .. 부모가 자녀를 어린자녀로 보는 것이 아니라 한 개인으로서 인정하고 존중한다는 것이다.
잘 관찰해 보면 볼 수 있다... 그들은 자녀를 복종의 대상으로 여기는 것이 아니라 그들 역시도 한 개인으로서 인정하고 그들의 생활을 인정해 줌으로 다원화된 사회에서 자녀들이 자신의 가치관을 확립시킬 수 있도록 해 주고 있다..
물론 유교의식이 아직도 자리잡고 있는 한국 사회에서 그것이 좋지 않아 보일 수도 있지만 인정할 것은 인정해야 하지 않겠는가..!!
그렇기 때문에 그들은 자녀들과의 대화에서도 부모로서 복종시키려는 것이 아니라 어른으로서 생각하는 바를 말해주고 결정은 가능하면 자녀가 스스로 할 수 있도록 해주고 있다...물론 이러한 일은 가정만이 아니라 학교와 사회에서도 그러한 문화의 가치를 같이 교육하기에 가능해 보일 수도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지금 우리의 부모 역할은 자녀가 가치관을 가지고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해줘야 하기에 ... 가정에서부터 그러한 모습을 보여 주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P.E.T. 모델의 핵심 개념은 누가 문제를 해결할 것인가 하는 원칙이다. 먼저 수용할 수 없는 행동은 부모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부모가 원하는 것을 하지 못하게 방해해서 부모가 받아들일 수 없는 행동을 가리킨다. 나머지 수용할수 있는 행동은 아이가 해결해야 할 문제의 영역에 속한다. 문제가 아닌 행동은 아이와 부모 모두 아무런 문제 없이 함께 있을 수 있고, 같이 놀고 이야기하고 일할 수 있는 행복한 순간들이다. 아이가 스스로 문제를 자기 것으로 인식하고 해결하게 한다. 때로는 아이가 문제 해결에 도움을 필요로 할 때도 있지만, 멀리보면 가장 좋은 형태의 도움은 역설적이게도 돕지 않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스스로 문제를 찾을 수 있게끔 책임을 지게 돕는 방법이다. 이것을 '듣는기술(Iistening skills)'이라한다. 부모에게 문제가 된다면 '대면 기술(confrontation skills)'이라고 한다. 부모에게 문제가 생긴다면 '얘야, 문제가 있으니 좀 도와주렴." 아이가 문제를 안고 있을 경우엔 "너한테 문제가 있는 것 같구나. 도움이 필요하니?"라고 말해야 한다. 중요한 것은 아이와의 관계에서 각각의 상황을 구분하여 적극적으로 아이의 말을 들을 것인지, 아니면 대면하여 해결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이것은 누가 해결해야 할 문제인가?'라는 질문을 지속적으로 스스로에게 던지는 습관을 기르면 아주 좋을 것이다.


3장 부모와 자녀 사이에도 대화의 법칙이 있다. - 수용 화법

- '수용 화법(language of acceptance)'이란 상대방을 진정으로 받아들인다는 느낌을 전달할 수 있는 사람은 상대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사람이다. 다른 사람이 자기를 진정으로 받아들인다는 것을 알게 되면, 많은 사람들이 새로운 변화를 추구하고 성장하여 어떻게 좀더 나은 사람이 될 수 있을지를 궁리하기 시작한다는 점이다. 받아들인다는 것을 흙을 제공하는 것처럼, 아이가 자신의 잠재력을 실현시킬 수 있게 해 주는 것이다. 그래도 받아들이면 아이가 더 이상 성장하지 않고 지금 상태로 정체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더 발전하기를 기대한다면 아이에게 지금의 모습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말해야 한다고 믿는 것이다. 실제로 유능한 치료사와 상담가란 방문한 의뢰인에게 자기를 받아 주고 있다는 믿음을 주는 사람들이라고 할 수 있다. 사람들을 개선시키고 변화시키는 '성공비결'이란 모든 것을 받아들이고 수용한다는 것이 진심으로 느껴질 수 전달하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다른 사람을 '있는 그대로'받아들인다는 것은 사랑에서 우러난 행동이며, 받아들여진다는 느낌을 사랑받고 있다는 느낌과 다를 바 없기 때문이다. 다른 사람을 감화시키기 위해서는 적극적으로 전달하고 표현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심리학에서는 이러한 대화를 '대화 치료(therapeutic communication)라고 부른다. 먼저 부모들이 자신의 대화 습관을 해부하여 왜 이것이 해가 되거나 도움이 되는 방식이 되지 못하는지를 살펴보아야 한다.


- 비언어적 메시지로 의사를 전달하는 법

불간섭: 아이의 행동을 방해하지 않음으로써 수용을 표현할 수도 있다. 아이가 무언가에 몰두하고 있을 때 가만 두는 것만으로도, 부모가 아이의 행동을 수용한다는 것을 강력하게 전달 할 수 있는 것이다.

침묵, 소극적 듣기: 침묵, 혹은 소극적 듣기 역시 수용을 표현하는 강력한 비언어적 메시지의 하나이고 진정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는 느낌을 줄 수 있다. 전문 상담가들도 환자와 면담할 때에 침묵을 자주 사용한다.


- 언어적 메시지로 의사를 전달하는 법

1) 명령, 지시

2) 경고, 주의, 위협

3) 훈계, 설교

4) 충고, 해결책 제시

5) 논리적으로 따지기

6) 비판, 비난

7) 칭찬, 동의

8) 매도, 조소, 모욕

9) 해석, 분석, 진단

10) 격려, 공감, 달래기, 편들기

11) 탐문, 질문

12) 한 발 물러서기, 비위 맞추기, 주의를 딴 데로 돌리기

이러한 방식으로 부모가 자기 고민을 털어놓았을 때, 이러한 방식으로 친구가 대응하면 친구와의 관계가 서먹해졌다고 밝혔다.

- 아이가 자기 감정이나 문제를 이야기할 때 응대하는 가장 효과적이고 발전적인 방법 중 하나로 '말문열기'가 있다.

간단하고 별 뜻이 없는 표현들의 예

좀더 적극적으로 이야기를 끌어내기 위한 표현들의 예

"그렇구나."

"어."

"응."

"저런."

"정말?"

"그렇군."

"진짜?"

"그랬구나."

"그래?"

"그 얘기 좀 해 봐."

"듣고 싶은데."

"얘기 좀더 해 봐."

"그거 재미있는 생각이네."

"얘기 좀 해 보자."

"네 생각을 듣고 싶어."

"계속 해봐."

"그것에 대해 할 말이 있지?"

'"너한테 아주 중요한 문제라는 생각이 들어."

이 말문을 트는 표현들은 아이에 대한 수용과 존중을 표현하는 것이기도 하다.

어른들이라도 자기가 존중받고, 가치 있고, 중요하고, 받아들여지고 있고, 흥미 있는 사람이라고 느끼면 기분이 좋을 것이다. 아이들도 마찬가지다.

'청자(廳者-듣는 사람)'를 '화자(話者-말하는 사람)'와 연관시키는 방법인 적극적 듣기는 소극적 듣기(침묵)보다 훨씬 효과적이다. 대화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은 화자의 메시지가 청자에게 제대로 받아들여지지 않았는데 청자나 화자 어느 쪽도 그 사실을 알지 못하는 것이다. 처음에 자기가 이해한 것을 아이에게 말했을 때 아빠는 적극적 듣기를 하고 있었던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적극적 듣기란 결국 청자가 화자의 감정이나 화자가 하는 말의 의미를 이해하려고 애쓰는 것을 말한다. 청자는 자기가 이해한 것을 자기의 말로 전단하여 화자가 확인하게 한다. 단지 자기가 받아들인 화자의 말이 무슨 의미인지 만을 말하는 것이다.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

감정을 터놓고 표현할 수 있을 때 쉽게 괴로운 감정에서 벗어날 수 있다. 이와 같은 감정해소를 적극적 듣기를 통해 유도할 수 있다. 누가 자기 말을 귀 기울여 들어주고 이해해 주면 이야기를 한 사람은 굉장한 만족감을 느끼고 말을 들어준 사람에 대해 따뜻한 감정을 가지게 된다. 적극적 듣기는 편하게 말할 수 있게 해 주는 방법이기 때문에 문제의 실마리를 쉽게 찾아 준다. 적극적 듣기는 아이가 부모의 의견과 생각을 듣고 싶게끔 만드는 방법이다. 누군가 자기 입장에 귀 기울여 주면 상대방의 입장에 대해 듣는 것도 쉬워지는 법이다. 적극적 듣기는 아이가 스스로 생각하고, 문제를 스스로 진단하고, 스스로 해결책을 찾아내게 만든다. 적극적 듣기는 따라서 자발적이고, 책임감 있고, 독립적인 아이를 길러 내는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

- 적극적 듣기는 몇 가지의 기본적 태도를 실행하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1) 아이가 하려는 말을 듣고 싶어해야 한다.

2) 그 순간에 아이의 특정한 문제에 관해 진정으로 도움이 되기를 바라야 한다

3) 어떤 것이든 문제에 관해 진심으로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한다.

4) 자기 감정을 다스리고 문제를 해결할 만한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에 대해 깊은 신뢰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5) 감정은 일시적인 것이지 영원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밖으로 드러난 감정에 대해 염려할 필요가 없다. 이 감정들은 아이들의 마음에 영원히 남아 있을 감정이 아니기 때문이다.

6) 아이를 하나의 독립된 인격체로 볼 수 있어야 한다. 자신으로부터 아이를 분리해서 생각할 때에만이 아이에게 쓸 만한 조력자가 되어 줄 수 있는 것이다. '함께' 있어야 하지만, 아이와 '하나'가 되어 있어서는 안 된다.

감정을 억누를 필요가 있다 정확한 이해가 반드시 필요하다. 아이의 입장이 되어야 한다. 융통성 있는 사람은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는다.


4장 듣는 것도 기술이 필요하다.

- 적극적 듣기를 시도해 보고, 그 효과에 스스로 감탄하는 부모가 많긴 하지만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정말 삶에 변화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실제로 뛰어들어 실천을 해야만 한다. "일단 최선을 다해 시도해 보세요. 노력이 아깝지 않은 성과가 있을 겁니다."

- 아이가 무언가 만족하지 못하고 있을 때에는 아이가 해결해야 할 문제를 가진 것임을 기억하자. 적극적 듣기는 아이에게 문제가 있을 때에는 유용하지만, 문제가 부모한테 속할 때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아이들의 좌절, 당황, 박탈감, 고민, 실패는 부모가 아니라 아이들 자신에게 속한 것이다. 대부분 부모들이 아이들 문제의 너무 많은 부분을 자기 것으로 받아들인다. 전문 상담가들은 상담을 받는 아이들을 진정으로 염려하고 관심을 가진다. 하지만 문제를 해결해 나가야 하는 책임감은 온전히 아이에게 남겨 두는 것이다. 적극적 듣기는 '아이들이 스스로 자기의 문제에 대해 해결책을 찾도록' 영향을 주는 방법이다. 아이와 이런 종류의 대화를 할 때 부모들은 반드시 어떤 결론을 내리거나 마무리 지으면서 대화를 끝마쳐야 한다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실제로 전문가들의 상담도 이처럼 미완으로 끝나는 경우가 많다. 적극적 듣기가 일련의 사건들을 촉발할 수는 있지만, 그 결말이 어떻게 날지는 부모들도 짐작하기 어려울 것이고, 또 한참 동안은 결과가 뚜렷이 드러나지 않을 수도 있다. 불평해봤자 상황이 바뀌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있으면서도 누군가 공감하고 받아들여 주는 사람 앞에서 자신의 감정을 쏟아 놓을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도움이 되는 것이다. 감정을 존중해 주라. 자기가 얼마나 아픈지, 얼마나 놀랐는지 일단 부모가 알아준다는 것이 확실해지면 아이는 울음을 그치는 것이다. 아이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바로 자기 감정을 이렇게 이해받는 것이기 때문이다. 아이들은 오직 자기가 얼마나 기분이 좋지 않은지를 부모가 알아주기를 바란다. 아이들이 보통 질문의 형태로 까다롭게 암호화된 메시지를 보내는 것은 아이가 마음 속 깊이 고민하는 문제가 있음을 의미할 때가 많다. 선량한 의도에서 과시하기 위한 12가지 대화 방법을 한두 가지씩 사용할 수박에 없으며, 그러다 보면 아이가 대화에 관심을 잃게 되거나 말싸움이 시작되어서 서로 심한 말을 하고 감정을 다치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 적극적 듣기를 활용할 때 흔히 나타나는 실수들

1) 부모가 원하는 대로 이끌기 위해 적극적 듣기를 이용하는 경우

2) 아이의 말을 끝까지 듣지 않고 미리 판단하는 경우

3) 적극적 듣기를 잘못 이해하고, 아이의 말만 앵무새처럼 따라 하는 경우

감정을 해석하지 않고 아이가 하는 말의 내용을 그래도 따로 읊다가 실패하는 부모들이 많이 있다. 그 의미는 부모가 해석해 내야 한다.

4) 듣는 것에만 치중하여 아이의 감정을 읽지 못하는 경우

모든 사람들은 이야기할 때 상대방이 자신의 이야기를 단지 듣기만 할 뿐 아니라 자신의 감정까지 이해해 주기를 바란다. 감정은 삶의 필수불가결한 부분이지 비이성적이고 위험스러운 것이 아니다. 감정이 사라지게 하려면 부모가 그것을 받아들이고 인식한다는 사실을(공감을 담은)적극적 듣기를 통해 아이에게 전달하는 것이 최선이다.

5) 적극적 듣기를 남발하는 경우

아이의 감정 세계에도 프라이버시가 필요하므로 말을 하라고 강요하면 안 된다. "모든 감정을 끝까지 다 들을 준비가 되어 있고, 시간이 있을 때가 아니라면 적극적 듣기를 시작하지 말라."고 말한다. 아이가 무언가 다른 형태의 도움을 바랄 때 적극적 듣기를 사용하려고 해서 아이가 저항하는 경우도 있다. 대게 아이를 관찰하면 언제 그만 두어야 할지를 알 수 있을 것이다. 전문 치료사들은 적극적 듣기는 단지 아이가 문제 해결의 첫 발을 디딜 수 있게 해줄 뿐이라고 한다. 감정을 분출하고 문제를 정의하는 것이 그 첫발인 것이다. 아이들은 거기에서 시작해서 결국 스스로 해결책을 찾아낸다.


5장 젖먹이 아이들과도 적극적 듣기를 할 수 있다.

- 아기를 가진 부모도 큰 아이의 부모가 그래야 하듯 아기의 말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법을 익혀야 한다. 아기들은 의사소통을 할 때 언어에 의존하지 않으므로 이것은 분명 다른 종류의 듣기 방법이 될 것이다.


6장 아이의 행동을 받아들일 수 없을 때 대처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 부모에게 아이가 문제를 안겨 줄 때에는 아이가 문제를 안고 있을 때와 전혀 다른 대화법이 필요하다.

- 문제가 부모에게 생길 때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1) 아이의 행동을 바로 잡으려 한다.

2) 환경을 바꾸어 보려 한다.

3) 자기 자신의 태도를 바꾸어 본다.

이 장에서는 첫 번째 방법만을 다룰 것이다. 행동을 바로 잡는 방법을 살펴보자

- 부모가 아이에게 해결책을 제시한다.

1) 명령, 지시

2) 경고, 주의, 으름장

3) 훈계, 설교

4) 조언, 제안, 해결책 제시

이러한 대꾸는 아이에게 부모의 해결책, 즉 아이가 어떻게 해야 한다고 부모가 생각하는 바를 전달하는 방법이다. 부모가 주도권을 쥐고 지배하고 조정하고 명령한다.

아이에게 문제의 해결책을 직접 지시하면 아래와 같은 결과를 가져 올 수 있다.

1) 아이들은 저항한다.

2) '나는 네가 스스로 해결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믿지 않는다.'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과 같다.

3) 부모의 욕구가 아이의 욕구보다 더 중요하다고 느끼게 된다.

아이들이 반항하거나 방어적이거나 적대적으로 응하는 것도 당연하다. 아이들이 기가 꺾이고, 창피를 당한 것 같고, 억눌림을 당한 것처럼 느끼는 것도 당연한 일이다. 체면이 깎였다고 생각하는 것도 마땅하다. 그리고 그러다 보면 누군가 다른 사람이 해결책을 제시해 주길 기대하는 순종적인 어른으로 자라나는 것도 놀랄 일이 아니다.

- 아이를 무시하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1) 비판, 비난, 나무라기

2) 매도, 조소, 망신주기

3) 해석, 분석, 정신분석

4) 가르치기, 교육하기

이런 메시지들은 어떤 효과가 있을까?

1) 죄책감과 가책을 느낀다.

2) 부모가 공정하지 않다고 느낀다.

3) "엄마가 날 미워해."라며 자기가 사랑받지 못하고 있다고 느낀다.

4) 반항하는 경우가 많다.

5) 부모에게 화살을 돌리는 경우도 많이 있다.

6) 풀이 죽고 자응심을 잃는다.

- 너-메시지가 아닌 나-메시지로 전달한다.

"피곤해서 놀고 싶지가 않아." "너 데리러 갔을 때 거기 없으면 아빠는 힘이 빠진다."

"부엌을 깨끗이 치워 놓았는데, 금방 다시 그렇게 어질러 놓으면 엄마는 정말 기운이 쏙 빠져."

- 나- 메시지의 세 가지 구성요소

나-메시지가 아래의 세 가지 구성요소를 잦추고 있다면, 아이가 자발적으로 자기의 행동을 수정할 가능성도 더 높아진다. 첫째 받아들일 수 없는 행동의 설명, 둘째 부모의 감정, 그리고 마지막으로 아이의 행동이 부모에게 미치는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영향이 그것이다. (행동+감정+영향)

1) 받아들일 수 없는 행동만을 설명한다.

아이의 행동의 단순한 묘사를 말한다. 부모를 성가시게 하는 아이의 행동을 그냥 그래도 전달하는 것이고, 부모의 평가나 판단은 들어가면 안 된다.

야단치지 않고 행동을 설명하기: "바로 집에 돌아오지 않았는데, 전화해서 늦을 거라고 말해 주지 않았다."

2) 아이 행동에 부모 감정을 그대로 표현한다.

너-메시지로 이야기할 때에도 부모의 감정이 받아들일 수 없는 아이의 행동에서 비롯되는 것이라는 인과 관계를 명확하게 하지 않는다. "바로 집에 돌아오지 않았는데 전화해서 늦을 거라고 말해 주지 않아서, 걱정했다."

3) 아이 행동이 부모에게 끼치는 문제를 설명한다

아이의 행동이 부모에게 미치는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영향에 대해 말해 줄 필요가 있다. "바로 집에 돌아오지 않았는데 전화해서 늦을 거라고 말해 주지 않아서 걱정했다 걱정이 되어서 엄마가 일을 못했어."

온전한 세 구성 요소를 갖춘 나-메시지는 부모에게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구체적 영향이 없다는 것을 발견할 때가 종종 있다. "나-메시지가 특히 유용하다고 느꼈던 것은 내가 아이들을 대할 때 얼마나 근거 없이 제멋대로였는지를 깨닫게 되었을 때였어요."

- 나-메시지는 받아들일 수 없는 행동을 바로 잡게끔 아이에게 영향을 미치는 데에 효과적일 뿐 아니라 아이의 성장과 부모와 아이의 관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나-메시지는 솔직한 표현이기 때문에 아이 쪽에서도 마찬가지로 솔직하게 감정을 전달하도록 영향을 주기도 한다. 졸직한 나-메시지를 전달하는 사람은 상대방에게 자기를 있는 그대로 드러낼 용기가 있는 사람이다. 감정을 드러내는 것은 상대방에게 자기를 열어 보인다는 의미이다. 정직성과 솔직함은 친근감을 높여 준다. 아이는 나를 있는 그대로의 모습으로 알게 되고, 그러다 보면 자기 자신도 솔직하게 터놓게 된다.


7장 나-메시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은?

- 행하기 쉬운 실수들.

1) 나-메시지를 가장한 너-메시지를 전달하지 않는다.

'내가 어떻게 느낀다'라는 말만 앞뒤로 끼워 넣어서 너-메시지를 마치 나-메시지인양 포장해 전달하는 실수이다. 그냥 어떻게 생각하고 느끼는지만 구체적으로 말하라고 한다.

2) 부정적인 감정을 강조하지 않는다.

'지금 현재'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으로 대화를 시작하라. 얼마나 아이를 사랑하는지, 아이가 다치거나 아이에게 안 좋은 일이 생기면 얼마나 고통스러울지 등 말이다. 약속한 것이 지켜지지 않은 것에 대한 실망감은 먼저 솔직한 자기 감정을 표현하고 난 후에도 얼마든지 이야기할 수 있다.

3) 부모의 솔직한 감정을 전해야 한다.

4) 화를 내기에 앞서 자기 감정을 체크한다.

분노는 언제나 어떤 사람을 향하는 것이다. '나 화났어'라는 메시지는 대개 '너한테 화났어' 혹은 '너 때문에 화났어'라는 의미인 것이다. 거울을 앞에 놓고 스스로에게 이런 질문을 던져 볼 것을 권한다. '지금 내 마음 속에 있는 것이 무엇인가?'라든가 '아이의 행동 때문에 나의 어떤 욕구와 필요가 위협받고 있는가?' 또는 '나의 일차 감정은 무엇인가?'

- 실례들

어른들과 달리 아이들은 자기 행동이 다른 사람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잘 모를 때가 많다. 아무 생각 없이 행동하던 아이도 자신의 행동이 다른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게 되면 바로 사려 깊은 아이가 되는 것이다. 어떻게 느끼는지 솔직하게 직접적으로 이야기를 해 주면 아이들이 얼마나 부모의 욕구를 잘 헤아려 주는지, 우리가 아이들의 이런 면을 너무나 과소평가해 왔음을 일깨워 주었기 때문이다.

- 문제 해결 방법

아이들이 부모의 나-메시지를 무시하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특히 처음 이 방법을 시도할 때 그렇다. 첫 번째 나-메시지에 아무 반응이 없다면 다시 메시지를 보내는 것이 좋다. 두 번째 메시지는 좀더 강한 감정을 담고 좀더 확고하고, 강하고, 크게 말해야 할 것이다.

아이들이 나-메시지에 대해 자기 자신의 나-메시지를 보냄으로써 대응하는 경우가 많다. 자기 행동을 바로 고치는 대신에 자기 감정은 무엇인지 부모가 알아주기를 바라는 것이다. 아이가 어떤 감정을 갖거나 문제를 가지고 있을 때는 적극적 듣기를 해야 하는 것이다. 이것을 '기어 변속'이라고 부른다. '맞서 대응하기'에서 '듣기'로 전환하는 것이다. 부모가 자기 감정을 알아준다는 것을 일단 알고 나면 아이가 자기 행동을 바로 잡을 가능성도 높아진다.

부모가 아이를 칭찬할 때에는 거의 예외 없이 너-메시지의 형태로 표현된다. 아이에 대한 판단과 평가를 담고 있음에 유의하자.


8장 환경 변화를 통해 아이의 행동을 바로 잡을 수 있다.

- 환경을 바꾸는 방법을 많이 사용하면 할수록 아이와 함께 사는 삶이 점점 더 즐거워질 것이고, 아이와 부딪히는 일도 줄어들 것이다.


9장 부모와 자녀 사이에는 불가피한 갈등이 있다. - 누구의 말을 들어야 하나?

- 갈등은 관계에 있어서 사실 가장 결정의 순간이다. 갈등을 좋아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사실 어떤 관계에서 한 사람의 욕구가 다른 사람의 것과 충돌하지 않기란 정말 힘든 일이다. 갈등이 일어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갈등은 관계의 현실이다. 부모와 자녀 사이에서 갈등이 일어나면 많은 부모들은 자기가 이기고 아이가 지는 방식으로 해결하려고 한다. 부모들이 겪고 있는 가장 큰 문제는 바로 이런 이기거나 지는 방법 밖에 모르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

방법1: 부모 뜻대로 밀어붙이는 방법

억지로 시키려고 하니 부모도 힘이 들고, 아이가 자율적으로 성장할 기회도 없게 된다. 이 방법은 복종과 순종을 이끌어낼 수는 있을지 모르나, 그에 대한 대가로 아이의 미움을 받게 되는 것이다. '방법1'을 쓰면 또 다른 값비싼 대가를 치러야 한다. 그것은 결정을 강제로 하고, 아이가 제대로 하고 있는지 감시해야 하고, 잔소리를 하고, 재촉을 하기 위해 시간이 많이 든다는 것이다. 힘과 권위를 이용해서 아이에게 무엇을 강요할 때마다 결국 자기 관리력과 책임감 있는 아이로 자라날 기회를 박탈하는 것이 된다.

방법2: 아이의 뜻에 따르는 방법

이런 아이들은 거칠고, 제멋대로이며, 말을 듣지 않고 충동적이다. 자기 행동을 잘 통제할 줄 모르게 되고, 자기 중심적이고 이기적이고 바라는 것이 많은 아이로 자라난다. 또한 다른 사람의 물건이나 욕구를 존중할 줄 모른다. 가장 심각한 문제는 아마 아이들이 부모의 사랑에 대해 마음 속 깊이 불안감을 가지게 된다는 점이다.

한 쪽 부모는 '방법1'에 많이 의존하고, 다른 부모는 '방법2'쪽으로 기우는 가정도 많이 있다. 이런 가정에서 자라난 아이들의 경우 심각한 정서적 문제를 가질 가능성이 크다. 극단적으로 어는 한 방법만 사용하는 것보다 일관성 없는 태도가 오히려 더 위험다다고 볼 수 있다.


10장 부모에게 권위가 반드시 필요한가?

- 아이들한테 결점이나 실수를 보여 주지 않으려고 하고, "너한테 가장 필요한 게 뭔지 제일 잘 아는 사람은 엄마 아빠야."라든가 "너도 나이 들면 부모님 말씀이 다 옳았다는 걸 알거다."등의 말로 이런 믿음을 더 굳게 한다. 아이가 자라면서 덜 무력하고, 덜 의존적으로 되어감에 따라 부모는 점차로 힘을 잃게 된다.

- 부모의 권위 행사에 대처하기 위해 어떻게 했는지를 적어보라고 했다.

1. 저항, 반항, 거부

2. 분개, 분노, 적대

3. 공격, 보복, 앙갚음

4. 거짓말, 숨기기

5. 다른 사람에게 책임전가, 고자질, 빠져 나가기

6. 지배하고 대장하려 들고, 괴롭히기

7. 이기고 싶어하고, 지지 않으려 함

8. 연대해서 부모에 대항

9. 복종, 순종

10. 비위 맞추기, 조르기

11. 순응적, 창의력 부족, 새로운 것을 시도하기를 두려워 함, 확인해주고 격려하지 않으면 아무 것도 하지 못함.

12. 도피, 물러서기, 공상에 빠지기, 퇴행

기성 세대의 권위에 대한 아이들의 도전과 반항은 수세대에 걸쳐 반복되어 왔다.

분개, 분노, 적대: 아이는 자기에게 힘을 행사하는 사람을 싫어한다.

- 아이들은 자기 행동에 대해 부모가 어떻게 느끼는가에 관한 정보를 필요로 한다. 그렇게 해야 부모에게 받아들여질 수 있게끔 자기 행동을 고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이가 기대하는 것은 어떤 행동에 대해 받아들이지 못할 때에는 항상 그렇다고 말해 주는 것이다. 부모가 일관성을 잃으면 아이는 '적합한'(보상을 받는)행동을 배우고 '바람직하지 않은'행동을 피할 기회를 가질 수 없다. 사실상 부모의 권력은 아이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다. 미리 지시한 방식으로 행동하라고 '강요'하는 것이다. 더 힘센 사람에 강요당하거나 금지를 당하면, 그것은 설득된 것이 아니다. 권위나 권력이 사라지면 바로 아이는 원래의 행동으로 돌아갈 것이다. 힘을 사용하는 부모는 사실상 아이에 대한 영향력을 점차 상실하게 된다. 권력은 저항을 불러일으키기 때문이다.


11장 '무패 방법'이 왜 효과적인가?

- '방법3'은 서로 비슷한 힘을 가지고 있는 개인 간의 갈등을 해결할 때에 자주 사용된다. 사람은 다른 사람에 의해 강요된 결정 사항보다는 의사 결정과정에 함께 참여하고 결정한 사항에 대해 더 강한 실천 의지를 느낀다. '방법3'은 아이가 생각하게 한다. 부모가 아이에게 "여기 문제가 있으니 함께 머리를 맞대고 고민해 보자. 좋은 해결 방법을 생각해 보자?"라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양쪽이 다 마음에 들어 하는 방법으로 갈등을 해결하고 나면 부모와 아이는 오히려 더욱 가까워진다. 갈등이 사라져서 기쁠 뿐 아니라, 자기가 손해 본 일이 없어서 또 기분이 좋다. 그리고 서로 욕구와 권리를 존중해 준 것에 대해 따뜻한 고마움의 감정이 샘솟게 된다. '방법3'을 사용하면 아이에게 억지로 시킬 필요가 없어진다. 일단 해결 방법에 동의하고 나면 아이들은 보통 결정된 사항대로 실천한다. 이기거나 지는 방법이 아니기 때문에 이 방법에서는 부모나 아이 어느 쪽도 힘을 쓸 필요가 없다. '방법3' 아이가 특정한 방식으로 행동하게 만드는 어떤 근본적인 문제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방법3'은 접근 방식을 통해 부모가 아이의 욕구를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것을 아이에게 전달할 수 있으며, 대신 아이도 부모의 욕구를 배려할 것임을 믿는다는 것 또한 말해 주게 된다.


12장 '무패 방법'에 대한 부모들의 두려움과 걱정은 무엇인가?

- 방법3'은 '회의'가 아니라 '방법'이다. 이 방법은 갈등이 일어나자마자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갈등은 보통 온 가족 모두와 연관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한 부모와 한 아이 사이에서 일어날 때가 많다. 다른 가족들은 옆에 있을 필요가 없다. 부모와 아이는 동등한 입장에서 참여하고, 그들 공동의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기 위해 머리를 맞대고 함께 고민하는 것이다.

- 타협이란 한 걸음 물러서고 자기가 원하는 것을 어느 정도 포기하는, '무기력한 방식'이라고 생각한다. "협상하기를 두려워하지 말라. 하지만 두려워서 협상하지는 말라."는 존F.케네디 대통령의 취임사가 생각이 난다. '방법3'은 협상하는 방법이지만, 아이의 욕구뿐 아니라 부모의 욕구도 충족시키는 해결 방법을 찾도록 밀고 나갈 용기 없이 무기력하게 협상하는 방법은 아니다.

실제로 갈등의 대부분은 해결하는 데 십 분 이상이 걸리지 않는 즉시 해결해야 하는 '눈앞에 닥친', '당면한'문제들이다. 되풀이하고, 잔소리하고, 다그치고, 억지로 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시간이 절약된다.

'방법3'은 부모와 아이가 각각 서로에 대해 이전과는 전혀 다른 태도를 가지게 한다. 자녀가 욕구가 생기면 부모에게 그 욕구를 표현하고 부모는 서로 조정할 방법을 찾아보게 된다.

수업을 진행하면서 가장 바꾸기 힘든 태도가 바로 부모가 권위를 사용하는 것이 마땅하고 심지어는 그것이 부모의 책무라고까지 생각하는 태도였다. 부모가 더 많이 알고, 더 현명하며, 더 성숙하고, 더 많은 경험을 했기 때문이라는 논리다. 부모가 아이들보다 현명한가? 아이에 관계된 많은 문제에 있어서는 반드시 그렇지는 않다. 취학 전 아이나 유아에게도 '방법3'이 놀랄 정도로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는 것은 사실이다. 아기들에게도 '방법3'을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실 이 방법은 아이가 어렸을 때에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빨리 시작하면 할수록 아이가 다른 사람과 민주적인 관계를 맺는 법, 다른 ㅏ람의 욕구를 존중하고 다른 사람이 자기 욕구를 존중해 줄 때 그것을 고맙게 받아들이는 법을 빨리 익히게 된다.

부모에 대한 존경심이 사라지지 않을까? 이 사실에 대해 곰곰이 생각해 보면 존경은 요구한다고 해서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 자기가 어떤 행동을 해서 얻어내야 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3장 '무패 방법'을 실천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 언제 시작하면 좋을까? 가장 무리 없이 시작하는 방법은 다 같이 둘러앉아서 아이들에게 이 방법이 어떤 방법인지를 먼저 설명해 주는 것이다. 아이에게 세 가지 방법을 모두 설명해 주고 차이점을 일러 준다.

'무패 방법'의 여섯 단계

1단계: 갈등을 확인하고 정의한다.

부모들은 실제 자신의 욕구가 무엇인지 생각해 보기 이전에 미리 머릿속에 들어 있는 해결책을 먼저 떠올리는 일이 많다. 욕구를 해결책과 구분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기술은 역시 적극적 듣기이다. 스스로 '나에게 어떤 영향이 있을까?'하고 질문을 던져 보자.

아이와 부모의 숨은 욕구가 명확히 이해하고 표현되지 않으면 문제 해결 과정은 교착되어 버릴 것이다.

1) 아이에게 분명하고 확실하게 자신의 감정을 이야기한다.

2) 아이의 욕구가 분명해지도록 적극적 듣기를 충분히 활용한다.

3) 갈등이나 문제를 이야기해서 해결해야 할 문제가 무엇인지 아이와 부모 모두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2단계: 가능한 여러 해결책들을 생각해 낸다.

1) 아이의 해결 방법을 먼저 듣는다. 부모의 것은 나중에 덧붙이면 된다.

2) 평가는 다음 단계에서 진행될 것이다. 어떤 아이디어든 간에 받아들인다.

3) 더 이상 아무 것도 나올 것이 없는 것처럼 느껴질 때까지 계속해서 다른 대안을 생각해 보게 격려한다.

3단계: 각 해결책을 평가한다.

보통 부모나 아이 양쪽 모두를 만족시키지 않는 것들을 제거해나가다 보면 한두 개 정도로 좁혀지게 된다. 부모는 가지 감정을 솔직하게 말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기억하자.

4단계: 가장 좋고 만족스러운 해결책을 결정한다.

1) 결정된 것이 최종적이고, 다시는 바꿀 수 없는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좋아, 이렇게 한 번 해 보고,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자."

"이 방법에 모두 동의하는 것 같은데, 이제 모두 다 같이 실천해 보고 우리 문제가 정말 해결되는지 보자."

5단계: 결정된 것을 실천할 구체적 방법을 마련한다.

결정된 사항을 어떻게 시행할 것인지에 대해 구체적인 사안을 명확하게 할 필요가 있다. 스스로에게 '누가 무엇을 언제까지 할 것인가?', '이것을 실천하려면 무슨 일을 해야 할까?'또는 '언제 시작하면 좋을까?' 등의 질문을 던져본다.

6단계: 이후에 결과가 어떠했는지를 확인한다.

이따금 아이에게 결정된 사항이 여전히 마음에 드는지 물어서 확인할 필요가 있다.

모든 갈등 해결 과정이 질서정연하게 여섯 단계를 거쳐 진행되지는 않는다.

부모는 적극적 듣기를 열심히 사용하고 나-메시지의 형태로 말해야 한다. 이 기술을 제대로 익히지 못했을 경우에는 무패방법에서도 좋은 성과를 거두기 힘들다. 이런 불신과 저항에 대처하는 최선의 방법은 일단 문제 해결은 잠시 미루어 두고 아이가 정말 하고 싶어하는 말이 무엇인지 공감하며 들으려 애쓰는 것이다.

'방법3'이 한계에 부딪혔을 때 '방법1'로 전환하는 경우 아이들은 속았다고 생각하고, 부모가 새로운 방법을 시도하고 있다고 믿었던 것에 대해 분노한다. '방법1'로 돌아가는 것만은 피해야 한다. '방법2'로 돌아가서 아이가 이기게 하는 것도 마찬가지로 위험하다.

'방법3'으로 결정된 것을 실행하고 약속을 지키기 위해서는 처벌을 연결시키지 않는 것이 훨씬 좋다. 아이가 먼저 벌을 정해 놓자고 제안하는 일이 있더라도 마찬가지이다. 벌보다는 신뢰를 통해서 얻어지는 것이 더 많기 때문이다. 무패 방법을 사용할 때에는 아이가 결정된 사항을 실천할 것임을 의심 없이 당연하게 여겨야 한다.

아이가 약속을 지키지 않았을 때에는 직접적으로 솔직하게 아이와 대면하는 것이 좋다. 이때에는 아이를 비난하거나 깎아 내리거나 위협하지 말고 나-메시지로만 이야기한다. 책임을 바로 아이에게 넘겨주지 않으면 아이는 계속해서 미숙하고 무책임한 상태로 남아 있을 것이다.

어른이 옆에 있을 때에는 아이들은 어른에게 의존하려 할 가능성이 높다. 어른의 권위를 이용해서 다른 아이를 누르고 자기가 이기려고 하는 것이다. 계속해서 아이들 사이의 다툼을 무패 방법으로 해결하도록 도와 주다 보면 말다툼이나 싸움이 생겼을 때에도 아이들이 부모에게 달려오는 일이 줄어든다.

세 가지 방법을 함께 사용하고 싶다고 하는 부모는 실제로는 정말 중요한 갈등이 있을 때에는 '방법1'을 사용할 권리를 유지하고 싶어하기 때문이다. 쉽게 말하면 "별로 중요하지 않은 문제에는 아이들 의견을 반영하겠지만, 정말 중요한 문제에 있어서는 내 뜻대로 결정할 권리를 계속 유지하고 싶다."라고 말하는 것과 같다.

wn1 - 13장에서의 내용을 비슷하게 적용하는 책이 있다..
앨리 골드렛 박사의 저서 'It's Not Luck'이다.
앨리 골드렛 박사는 물리학 박사이지만 경영학에 대한 실제적인 이론을 정리하고 실제 사용되고 있기도 한데.... 골이라는 책은 생산 시설에서 효과적인 방법을 찾아가는 과정을 다루고 있고 위에 언급한 행운은없다...는 사무직에서 갈등이나 문제들을 해결해 나갈 수 있는 방법을 소설식으로 전개하면서 보여준다.. 그것에 대해 전문적인 지식이 없더라도 충분히 개인이 활용해 볼 수 있다. 



14장 부모로서의 자격을 박탈당하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 아이가 청소년기에 접어들면서 부모를 해임하거나 자격을 박탈하고, 부모와의 관계를 아예 끊어 버리는 일이 생긴다. 어린 아이들은 부모가 자기를 괴롭히고 나무라서 자기가 소중히 여기는 생각과 가치관을 버리도록 할 때에 부모를 버린다. 청소년들은 기본적으로 인권을 무시당했을 때 부모를 버린다. 이러한 유형을 가치관 충돌이라고 한다.

이러한 가치관 충돌의 문제를 갈등 해결 과정을 통해 해결하려고 하다보면 열이면 열 전부 실패할 것이다. 부모가 자기에게 실제로 방해가 되지 않는 행동을 바꾸어 보려고 영향력을 행사하다 보면 결국 실제로 자기를 괴롭히는 문제에 있어서도 영향을 미칠 수 없게 되고 만다.

- 권리를 지키기 위해 싸우려고 드는 것은 어른이나 단체나 국가나 젊은이나 마찬가지이다. 자신의 자유나 자유성을 침해하려는 시도에 대해 온 힘을 다해 저항할 것이다. 부모가 아이의 권리를 무시하게 되는 이유 중 하나는 부모가 아이를 '소유'한다고 행각하는 뿌리 깊은 관념 때문이다.

- 부모가 상담가 역할을 해야 한다. 상담가가 상담을 받으러 온 사람에게 도움을 제공하듯이 아이들에게 생각과 지식과 경험을 나누어 주는 방법이다. 제대로 된 상담가라면 설교하는 것이 아니라 생각을 나누고, 강요하는게 아니라 제안하고, 요구하는 게 아니라 권한다. 상담가로 일할 때 가장 쓸모 있고 강력한 도구는 바로 적극적 듣기였다.

- 바꿀 수 없는 아이의 행동은 그대로 받아들여야 한다.


15장 부모가 변해야 한다.

- 부모의 양육이란 누구나 아이의 성장과 발달에 양향을 미치는 것이라고 생각하지 부모 스스로 성장하고 발달하는 일도 수반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자기 자신의 많은 부문을 마음에 들어 하지 않는 사람은 다른 사람에 대해서도 많은 부분을 참지 못한다. '내가 나를 얼마나 좋아하는가?'라고 질문을 던져보자. 독립적인 생산 활동을 통해 성취욕을 충족시키는 부모는 자신을 긍정하고 받아들일 뿐 아니라 아이를 통해서 자신의 성취욕을 충족시키려 들지 않을 것이다. 아이가 자신의 소유물이라고 생각하고 아이를 뜻대로 조형할 권리가 있다고 생각한다면 자기가 생각한 틀에 맞지 않게 아이가 행동할 때 못마땅해 할 가능성이 높다. 아이를 부모의 소유물이 아니라 독립적이고, 자기와는 구별되는 인간으로 바라본다면 아이의 행동에 대해서도 더 관대해지기 마련이다. 독립성을 많이 인정하면 할수록 상대방을 변화시키고자 하는 필요도 적게 느끼게 되고, 상대의 개성에 대해서도 관용적이 되며, 차이에 대해서도 쉽게 받아들일 수 있게 된다.

- 세상에 얼마나 다양한 아이들이 있고, 이 아이들이 살아갈 얼마나 다양한 삶의 모습이 있는지를 깨닫는다면 아이에게서 받아들일 수 없는 행동이란 그다지 많지 않을 것이다. '경험은 최고의 선생'이지만 경험은 언제나 옳은 것만을 가르치지는 않는다. 아는 것이 힘이라고 하지만 많이 아는 사람이라고 해서 언제나 현명한 것은 아니다. 자신의 가치와 신념이 옳다는 확신이 강하면 강할수록 아이에게(그리고 다른 사람들에게도) 그것을 강요할 가능성이 높다.

- 효과적인 부모는 아이와 좀더 가벼운 관계를 맺는다. 이런 부모는 부부관계를 최우선에 둔다. 그러면 아이의 행동이나 성취는 그렇게 중요하지 않을 것이다.

Posted by WN1
,




변화를 꿈꾸면서도 정작 과거의 행동과 사고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것은 익숙함, 게으름, 두려움 때문이다.

시인 폴 발레리는 "당신이 생각하는 대로 살지 않으면 머지않아 사는 대로 생각하게 된다"라 했다.

 일상의 생각이 삶의 방향을 결정하며, 삶의 의미와 열정은 스스로 찾아내는 것이다.

1. 스스로에게 질문해 보자.
   '나는 왜 이렇게 사는가, 왜 변화하지 못하는가, 왜 변화해야 하나'등
    자신에게 "왜"라는 질문을 끊임없이 던져 보자.
    그러면 내 삶에 있는 필요없는 주인들이 나가고 진정한 주인이 자리를 잡는다.

2. 목표를 확실히 정해라.
    목표는 사람을 끌어당기고 상황을 반전시키는 힘이다.
    목표가 있는 사람은 집중해야 할 것을 잘 알고,
    일의 우선순위를 정확하게 매겨 일사분란하게 움직인다.
    삶의 확실한 목표를 정해라.

3. 당장 행동하라.
    언제까지 때가 아니라고 핑계 대며 기다릴 것인가?
    적당한 때는 없다.
    때를 기다리는 것은 이 순간을 그저 꾹 참고 있는 것일 뿐이다.
    현재가 과거의 결과인 것처럼 미래는 현재 선택한 것들의
    결과인 것이다.
    지금 시작해야만 무언가를 얻을 수 있다.
    중요한 것은 '현재', 머릿속에 있는 비전을 실현하려면 지금 시작하라.

4. 아이의 마음을 가져라.
    인라인 스케이트를 배울 때 아이들은 타는 것 자체에 재미를 느끼지만,
    어른들은 넘어질 때마다 창피해 하고 상처를 겁내다 포기한다.
    지나치게 남을 의식하거나 실패를 두려워하면 원하는 것을
    놓치게 마련이다.
    균형 잡힌 자존심과 자기 믿음은 변화에 적극 대처하게 한다.

5. 절박함을 즐겨라.
    절박함은 미루어 왔던 행동을 이끌어 내는 중요한 동기가 된다.
    스스로 일의 마감을 정해 놓고 위기 상황을 예측한다면
    자신을 자극해 움직이게 만든다.
    일에 쫒기는 것을 스트레스로만 생각하지 말고
    자기 발전의 기회로 삼고 변화의 원동력으로 활용하라. 



Posted by WN1
,


18시간 몰입의 법칙

이지성 맑은소리 2004

"한국형 자기운명 창조공식"

첫째, 지금 네 상황과는 도무지 어울리지 않는 크고 높은 꿈을 품어라. 그리고 그 꿈을 죽어도 포기하지 마라.
wn1 - 몰입을 위한 가장 우선적으로 해야 할 것이다.. 자신이 열망하는 그 무언가가 몰입을 시켜준다.
굳이 그것을 표현하면 '목표'이다.. 하지만 그러한 표현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남녀노소 누구나 자신이 바라는 바가 생긴다면 그것으로 몰입을 하게 된다..
어린 아이를 관찰해보면 그들은 순순하게 몰입을 잘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자기가 좋아하는 것을 할때를 관찰하면 정말 몰입을 하고 있음을 알수 있다.
바로 그것이다. 몰입을 해야지 해야지 보다는 마음에서 진정 원하는것이 생긴다면 자연스럽게 누구나 몰입을 하게 되는 것이다.

둘째, '18시간 몰입의 법칙'과 '3(4)시간 수면의 법칙'을 실천하라.

셋째, 꿈의 성취를 돕는 마음의 기술을 사용하라.
wn1 - 위의 표현들은 어쩌면 기술적인 내용이다.. 물론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다시말해서 몰입을 더욱 잘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매개 역할을 할지언정 저것 만으로 지속적으로 한다고 보장할 수는 없지 않겠는가..
위에서 적은(빨간글씨)내용의 시작으로 그것을 지속시키기에 좋은 방법일 것이라 생각한다. 다시 표현하지만 개인적인 생각이다.

1부 한국 사회 성공 제1조건 "꿈을 가져라!"

심리학에서는 "인간의 진정한 자아는 10%의 의식 세계가 아닌 90%의 무의식 세계 속에 존재한다."

철학에서는 "인간의 내면에는 거대한 잠재의식의 세계가 숨겨져 있다."

과학자들은 "인간은 평생 자기 뇌의 10%도 쓰지 못한다."

인간이 잃어버린 태초의 완전성, 무의식 세계 속에 숨겨진 진정한 자아, 내면에 잠들어 있는 거대한 잠재의식, 의지대로 쓰지 못하는 90%의 뇌, 이 다양한 명칭들을 내 안에 존재하는 '또 다른 나'라는 명칭으로 통합 할 수 있다면, '꿈'은 '또 다른 나'가 알고 있는 진정한 자신의 모습입니다.

마음 속의 속삭임에 귀 기울이고 그것을 소중히 여기는 사람들은 '꿈'을 삶의 좌표로 삼습니다.

그들은 현실을 보는 대신 꿈을 봅니다.
wn1 - 현실 대신 꿈을 본다.. 이말은 무엇을 내포하고 있을까.. ??
현실을 무시하는것이라기 보다는 현실속에서의 부단한 도전과 압박들을 미래의 내 현실에 비추어 극복할 수 있는 힘과 용기를 표현한것이 아닌가 한다..

성공한 사람, 유명한 사람, 부자인 사람들을 볼 때마다, "저들이 해낸걸 너라고 왜 못해? 해봐! 너도 할 수 있어. 저렇게 될 수 있어, 아니 어쩌면 저들보다 더 크게 성공할 수 있어!" 하고 외치는 또 다른 나의 목소리를 듣고 있을 겁니다.
바로 그 목소리를 신뢰하십시오.

한국의 성공자들은 한 목소리로 말하고 있습니다. 아무리 터무니없어 보이는 꿈일지라도 사람이 꿈을 마음 속에 품으면, 바로 그때부터 기적의 씨앗이 싹트기 시작한다고.

언제나 '꿈'을 말하고, 어디에서든지 '꿈'으로 인해 불타오르고, 누구든 '꿈'으로 제압하고, 무엇이든지 '꿈'으로 점령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래야만 우리는 인생을 역전시킬 수 있는 기회를 잡을 수 있습니다. 그래야만 우리는 인생에 빛을 끌어들인 수 있습니다.

사람은 누구나 인생에서 눈물과 한 숨, 절망과 좌절만 계속되는 어려운 한때를 만납니다.

꿈과 함께 다시 일어나고, 희망과 더불어 앞으로 나갑니다.

'꿈'은 완벽하게 '꿈'만을 바라보며 갖는 것이라고. 눈앞에 닥쳐오는 현실의 모습이 어떠하든 그것은 허상에 불과하며, 오직 내 마음 속에 그리고 있는 '꿈'의 영상만이 진실이라는 태도를 갖는것이라고. 그 선택이 절대적으로 옳다는 믿음으로 갖는 것이라고. 돌덩이에 맞고 낭떠러지로 떨어진다해도 천진하게 웃는 얼굴로 일어나 다시 그 길을 간다는 자세로 갖는 것이라고. 완전히 고립된다 할지라도 여전히 '꿈'을 붙들겠다는 의지를 갖는 것이라고. 혼신의 노력을 기울이겠다는 각오를 갖는 것이라고...이런 마음가짐으로 자신의 꿈을 지킨 사람들

당신이 꿈을 가진 사람이라면, 가진 것이 비록 계란뿐일지라도 세상이라는 바위를 향해 그 계란을 끝까지 던지십시오... 그러면 반드시 바위는 깨어집니다.

당신이 할 수 없다고 생각하면 할 수 없게 되고, 할 수 있다고 생각하면 할 수 있게 됩니다.

당신이 '이것 때문에 ... ... .. 나는 안돼'라고 생각하는 것이 얼마나 심하든 더 심한 사람들이 많이 있다는 사실을 기억하고, 지금 바로 시작하십시오.... 당신은 할 수 있습니다.

'어떤 조건하에서도 포기하지만 않는다면 '꿈'은 이루어진다.'는 것.

꿈을 갖고 그것을 계속 추구할 용기만 갖는다면 누구라도 자신들과 똑같은 일을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콘래드 힐튼 "You have a dream! 꿈을 가져야 한단다. 사람들은 보통 능력과 재능이 성공의 절대 비결인 줄 알고 있지. 그러나 그것은 기본에 불과한 것이다. 꿈이 없는 노력과 재능이란 가장 열심히, 가잘 빠르게 도는 쳇바퀴라고나 할까"

사람은 가슴 속에 별을 가질 수 있는 유일한 존재입니다. 꿈이라는 별을 갖지 못한 사람은 아무리 높이 뛰어도 땅을 벗어날 수 없습니다.

콜래드 힐튼은 "성공의 크기는 꿈의 크기에 비례한다."

"꿈을 크게 가져라. 그러면 언젠가는 그 꿈을 이룰 수 있는 능력 또한 갖게 된다."
wn1 - '꿈 ..꿈..하는데 난 대체 왜 꿈이 없을까?' 이러한 마음을 가진 사람들이 생각보다 많았다.. 물론 내가 만나본 사람들중에..
여러 사람을 만나다 보면 별 생각 없이 있는것처럼 보이는 사람들도 많다.
그들은 왜 꿈을 가지지 않고 있으까?
.
.
경험이 없어서 무엇을 해야 하는지 모르는 것일까?.. 꿈에 대해 깊이 있는 생각을 해보지 않아서 일까? ..아니면 어떠한 이유에서 일까..?
혹 꿈이란것에 대해 너무 막연하게 또는 커야한다는 압박을 스스로에게 주고 있는건 아닐까?
대체 왜 꿈을 꾸지 못하는 것일까?
어릴 때로 돌아가보라 .. 그 어린 시절에는 궁금한것도 많았고 해보고 싶은것도 많았다.그러나 사회와 때론 가정이 우리가 경험하는 것 그리고 생각하는 것을 막기도 하였다.
그러다 보니 꿈을 가지기 위해 필요한 것들을 하나씩 잃어가게 되었고 .. 현재 까지 왔는지도 모른다..그렇다면 사회에 또는 부모님이나 스승에게 한탄만 하고 있으면 되는것일까?
누구나 이 질문에 아니라는 답을 한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한는 걸까?
자기 계발을 위한 내용들에 나오는 당연한 말은 생략하더라도 ..
'막연한 두려움' 이라도 버려야 할 것이다...자신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무언가를 찾으면 또 다른 나의 마음은 해서는 안되는 이유를 수십가지는 찾아보고 있고..그것을 나의 뇌로 전달해 주고 있다.. 결국은 호기심을 쉽게 무너뜨리게 된다.
사람이 걱정하는 것의 4%외에는 절대적으로 변경시킬 수 없다고 한다.. 96%의 비현실적인 내 망각에서 허우적 거리기 보다는 차라리 잘 되든 안되든 그것을 해보는것 만이 답을 알 수 있다..
사실 나 역시 많은 사람들은 '안된다' '어렵다' 결론내릴때 그것이 가능함을 실행해보았고 결과로 인해 많은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왜 막연한 두려움 때문에 자신을 가두려 하는가?
곰곰이 생각해 보라 ... 왜 나를 가두는 생각만이 내 머리속에 가득한지를..
지하철을 타기 위해 지하철역으로 갔다.. 그리고 선로옆을 걷다가 문득 별에 붙은 글을 보았다...
'정말 화가나서 한번 치고 싶을때, 이렇게 생각해 보라..."이러면 내가 행복해질까?"'
걸어가면서 순간적으로 본 짧은 글이었지만.. 지하철을 타고 가는 내내 머릿속에서 맴돌던 표현이었다.
정말 자신이 두려움을 가져 포기할때 '내가 이것을 포기하면 행복해 질까? 아니면 결과야 어떻든 해보는게 더 행복해 지게 할까?'를..


2부 한국에서 크게 성공한 사람들이 목숨 걸고 지키는 '18시간 몰입의 법칙'

실제로 꿈을 이룬 사람들과 그렇지 못한 사람들은 여러 가지 면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정신, 믿음, 의지, 노력 등등. 그런데 그 중에서도 가장 결정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은 꿈을 위해 흘리는 '땀의 양'입니다.

사람의 인생을 변화시켜 주는 근원적인 힘이 '꿈'이라면 '땀'은 그 꿈을 이루어 주는 실질적인 힘입니다.

우리가 흘려야 할 것은 '땀'입니다. 눈물이 아닙니다. 어제보다 더 많은 양의 땀, 영혼이 부서질 정도의 땀, 오직 그것 하나뿐입니다.

불가능해 보이는 모든 조건을 이기고 자신이 세운 '꿈'의 정상에 우뚝 선 사람들, 그들이 넘어진 때마다 흘렸던 것은 눈물이 아니라 땀이었습니다.

'18시간 몰입의 법칙'의 4가지 원칙

1. 눈뜨자마자 일을 생각하라.

- 마음의 에너지를 강력하게 쏟아붓는다

- 마치 전투에 임하는 병사처럼 혼신의 힘을 다해 오늘의 할 일과 만나야 할 사람들을 그리면서 하루 일을 마음속으로 미리 다 끝내버리는 것이다.

- 새벽과 아침에 자기 일에 관련된 생각과 행동을 하라.

2. 머릿속의 모든 생각을 언제나 일에 집중시켜라.

- 한국의 성공자들이라고 처음부터 일에 몰입했던 것은 아니다.

- 1년 혹은 5년 이상의 혹독한 자기수련 과정을 통해서 후천적으로 습득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 몸을 쉬고 있을 때조차도 머리로는 끊임없이 일을 생각하는 사람들이다.

3. 무조건 하루 18시간은 일을 하라.

- 무조건 하루 18시간씩 주기살기로 일을 붙들고 늘어지는 것

4. 꿈 속에서조차 일을 하기를 소망하라.

- 일에 치이는 사람이 아니라, 너무너무 기쁘고 감사하고 행복한 가운데서 일을 하는 사람들이다.

- 그 행복을 단 일초라도 놓치고 싶어하지 않는 것이고 바로 그 염원이 꿈속에서도 재현되는 것이다.

성공한 한국인 300여명이 말하는 최고최상의 성과를 내는 기술

1. 하루 18시간씩 매일 혼신의 힘을 다해 일을 한다. 그렇게 하면 저절로 조직 내에서 가장 뛰어난 성과를 내게 된다.

2. 가장 뛰어난 성과를 놓고 스스로에게 "이보다 더 잘할 수 있다!"라고 말하면서 다시 도전한다. 그러면 조직 내에서 가장 뛰어난 성과가 내가 해낼 수 있는 최선의 성과로 변한다.

3. 최선의 성과를 앞에 두고 "나는 이보다 훨씬 잘할 수 있다!"라고 외치면서 다시 도전한다. 그러념 내 능력으로 해앨 수 있는 최선의 성과가 최고의 성과로 바뀌게 된다.

4. 최고의 성과를 앞에 두고 " 이보다 좀 더 잘할 수 있다!"라고 말하면서 다시 도전한다. 그러면 최고의 성과가 인간의 힘으로는 도저히 이룰 수 없다고 생각되는 경지인 최고최상의 성과로 변하게 된다.

5. '18시간 몰입의 법칙'을 실천하면 보통 사람들과 똑같은 기간에 최고최상의 성과를 낼 수 있다.

'3(4)시간 수면의 법칙'은 과학적으로도 무리가 없는 법칙이다.

대뇌생리학자들이 하루 3시간 자는 사람과 하루 8시간 사람의 뇌파를 비교 분석해 본 결과 수면의 질은 거의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명실공히 각계 최고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내뱉은 말은 "나는 내 일에 목숨을 건다"는 것이었다.

3부 실패를 즐겨라

나폴레온 힐의 연구에 따르면, 나날이 성장하는 삶을 사는 사람들의 가장 큰 공통점은 '실패를 받아들이는 마음 자세'에 있었다고 한다.

원칙론적으로 따진다면 실패란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어떤 사람에게는 실패인 것이 다른 사람에게는 경험이며, 누구에게는 끝장인 일이 다른 누구에게는 새로운 도전이기 때문이다.

실패가 존재하든 존재하지 않든 그것은 현실세계가 아닌 마음세계에 있는 것이다.

실패란 우리에게 일어난 어떤 부정적인 사건 그 자체가 아니라 붖정적인 사건에 부정적으로 반응하는 우리 자신의 패배의식, 바로 그것이기 때문이다.

실패 앞에서 우리가 취해야 할 유일한 행동이 있다면 그것은 실패를 딛고 다시 벌떡 일어서는 일이다.

자기 안에서 피어나는 온갖 부정적인 생각, 두려움, 의심을 훌훌 털어버리고 다시 꿈을 향해 달려가는 것이다.

이미 과거나 되어버린 실패로 힘들어 하지 말고 가까운 미래에 반드시 이루어질 당신의 꿈을 생각하며 새롭게 힘을 내라.

4부 성공에도 기술이 있다.

로저 베니스터가 사용한 '상상훈련'은 '꿈 바라보기' 기법

1. 자신이 되기를 원하는 사람이나 자신이 도달하고픈 목표 또는 자신이 갖기를 원하는 무엇을 마음 속에 그립니다. 그림을 그릴 때 불가능한 이유는 절대로 생각하지 않습니다.

2. 마음 속의 그림이 반드시 현실이 될 거라고 매일 매순간 간절하게 믿습니다.

3. 어떤 일이 있어도 위의 믿음을 포기하지 않습니다.

카네기는 평생동안

1. 목표를 종이에 적는다.

2. 하루 두 번(기상후, 취침전) 종이에 쓴 목표를 큰 소리로 외친다는 두가지 원칙을 실천했는데, 그 결과 1주일에 1달러 20센트를 받던 면화공장 노동자에서 개인 재산만 4억달러 넘게 소유한 거부로 성장하게 되었다.

나폴레온 힐이 정리한 '꿈 쓰기' 기술

1. 바라는 꿈의 목표를 명확하게 정하라.

- 예를 들어 부자가 되고 싶다면 벌고 싶은 돈의 액수를 명확하게 숫자로 정하라.

단순히 '돈을 벌기를 원한다'는 식의 애매모호한 목표를 세워서는 안 된다.

2. 꿈을 이루기 위해 '어떤 행동을 할 것인가?'를 결정하라.

3. 꿈을 달성하는 '날짜'를 정하라.

4. 꿈을 성취하기 위한 치밀한 계획을 세우고 설령 아직 준비가 다 되지 않았더라도 상관하지 말고 즉시 행동에 들어가라.

5. 위의 4원칙을 종이에 상세하게 써라.

6. 종이에 적은 것을 1일 2회, 취침하기 직전과 아침에 깨어난 즉시 큰 소리로 읽어라.

이때는 종이에 적힌것을 당신이 이미 얻었다고 생각해야 한다.

부정적인 생각이나 질문은 긍정적이고 실천적이며 행동을 자극하는 질문으로 바꿔라.

'나는 왜 한 번도 성공하지 못하는 거야?' '왜 하필이면 나지? 어쩌다가 내가 이렇게 된거야?' '이런 것은 해서 뭐하지? 뭣하러 시도해?' '왜 나의 고마움을 모르는거야? 왜 내 마음을 알아주는 사람은 한 명도 없는거지?' '오늘 어떤 물건을 사지? 요즘 유행하는 최신 상품은 무엇이지?'

이러한 질문이 아니라..

"앞으로 내가 성공하기 위해서 지금 즉시 그리고 장기적으로 취해야 할 행동은 무엇이지?"

"이 끔찍한 기분을 벗어나기 위해 내가 지금 즉시 취해야 할 행동은 무엇일까?

그리고 앞으로 다시는 이런 상황을 겪지 않기 위해서 나는 무엇을 해야 할까?"

"어떻게 하면 내게 주어진 일을 즐거운 마음으로 할 수 있을까?"

"만일 지금 시도하지 않으면 미리에 내게 돌아오는 것은 무엇일까?

"이 사람이 내게 진심으로 고마움 느끼게 하려면 나는 어떤 말과 어떤 행동을 해야 할까?

사람들이 내 마음을 알 수 있게 하려면 나는 그들을 어떻게 대해야 할까?"

"재정적인 자립을 하려면 나는 얼마를 저축해야 하고 어떤 투자계획을 세워야 할까?"

==> 행동을 유발하는 질문을 스스로를 향해 끈질기게 던지고 있어야 한다.

질문 체계를 바꾼 바로 그 순간부터 자신의 삶은 극적인 변화를 맞이하게 된다.

아침 질문법

1. 지금 내 삶에서 행복하다고 느끼는 것은 무엇인가?

- 무엇이 나를 행복하게 하는가? 어떻게 그것이 나를 행복하게 하는가?

2. 내 인생에서 나를 들뜨게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

- 무엇이 나를 들뜨게 하는가? 어떻게 그것이 나를 들뜨게 하는가?

3. 내 인생엣 자랑스럽게 생각하는 것은 무엇인가?

- 무엇이 나를 자랑스럽게 하는가? 어떻게 그것이 나를 자랑스럽게 하는가?

4. 내 인생에서 감사하다고 느끼는 것은 무엇인가?

- 무엇이 나로 하여금 지금 감사한 마음이 들게 하는가? 어떻게 그것이 감사하다고 느끼게 하는가?

5. 지금 내 삼에서 가장 즐기고 있는 부분은 무엇인가?

- 지금 나는내 삶에서 무엇을 즐기고 있는가? 그것이 어떻게 나를 즐겁게 하는가?

6. 지금 당장 내가 결단을 내린 것은 무엇인가?

- 무엇에 대한 결단을 내렸는가? 그것이 어떻게 결단을 내리게 하는가?

7. 내가 사랑하는 사람은 누구인가? 누가 나를 사랑하는가?

- 무엇이 내가 사랑하는 마음이 들게 하는가? 그것이 어떻게 사랑하는 마음이 생기게 하는가?

저녁 질문법

-아침 질문법을 반복한다. 때로 다음 세 가지 질문을 더한다.

1. 나는 오늘 사회에 어떤 공헌을 했는가?

- 나는 오늘 어떤 면에서 '주는 사람'이 되었나?

2. 오늘 내가 배운 것은 무엇인가?

3. 오늘 내 삶에서 발전을 이룬 것은 무엇인가?

또는 내가 오늘 이룬 것을 어떻게 내일을 위한 투자로 활용할 수 있을까?

wn1 - 마음을 뚫는 질문은 사람들에게 매우 중요하다.
'코칭'은 그러한 질문을 하여 상대로 하여금 자신의 문제에대한 그리고 자신의 꿈에대한 해결 방안을 내게한다..스스로 답을 찾고 그것을 실천하게 하는 것이다...


5부 당신도 할 수 있다.

'이것 때문에 나는 안돼'라고 외치는 내 마음 속의 목소리는 진정 내가 할 수 없기 때문에 그렇게 말하는 것인지 아니면 내가 할 수 없을 거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그러는 것인지.

의심 대신 믿음을 가지면 모든 것이 가능해 진다.

Posted by WN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