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목록'에 해당되는 글 971건

  1. 2010.11.16 인문학으로 광고하다 -박웅현 강창래 알마 2009 1
  2. 2010.11.15 아웃라이어 - 말콤 글래드웰 김영사 2009
  3. 2010.11.12 인생에서 승리하는 세 가지 비결 - 자주 적성 적응
  4. 2010.11.11 (방배동 김선생의) 공부가 희망이다. - 김종선 이다미디어 2007
  5. 2010.11.10 인문의 숲에서 경영을 만나다 - Chapter10. 역사, 흥륭과 쇠망의 이중주_쇠망사
  6. 2010.11.10 인문의 숲에서 경영을 만나다 - Chapter9. 모험, 패배 앞에 무릎 꿇지 마라
  7. 2010.11.09 인문의 숲에서 경영을 만나다 - Chapter8. 전쟁, 먼저 사람을 얻어라
  8. 2010.11.09 인문의 숲에서 경영을 만나다 - Chapter7. 매너, 마음의 문을 여는 열쇠
  9. 2010.11.09 인문의 숲에서 경영을 만나다 - Chapter6. 유혹, 소리 없는 점령군
  10. 2010.11.08 인문의 숲에서 경영을 만나다 - Chapter5. 욕망, 결코 포화되지 않는 시장
  11. 2010.11.08 인문의 숲에서 경영을 만나다 - Chapter4. 스토리, 미래 사회를 사로잡는 힘
  12. 2010.11.07 인문의 숲에서 경영을 만나다 - Chapter3. 디지털, 그 감각의 제국을 지배하라
  13. 2010.11.06 인문의 숲에서 경영을 만나다 - Chapter2. 창의성, 새로운 문화를 만드는 힘
  14. 2010.11.06 인문의 숲에서 경영을 만나다 - Chapter1. 역사, 흥륭과 쇠망의 이중주_흥륭사
  15. 2010.11.05 창업특강이라는 주제하에 지루한 총론만이 있었던 곳
  16. 2010.11.05 인문의 숲에서 경영을 만나다 - 서문
  17. 2010.11.02 내 책은 하루 한 뼘씩 자란다 - 양정훈 헤리티지 2010
  18. 2010.11.01 책 읽기의 달인 호모부커스 - 이권우 그린비
  19. 2010.10.30 독서아카데미 1기를 마치고
  20. 2010.10.29 여자라면 힐러리처럼
  21. 2010.10.27 사이코패스 테스트 1
  22. 2010.10.27 미치도록 나를 바꾸고 싶을때 - 자극이 필요해!
  23. 2010.10.19 독서 마라톤에서 연락와서는 한다는 소리가...쩝 ㅡ.ㅡ
  24. 2010.10.19 아침5분이 인생을 바꾼다.
  25. 2010.10.18 정품이라 구입한 배터리 알고보니 아니네..쩝..불신의 인터넷 쇼핑..
  26. 2010.10.17 독서 마라톤 7만Km
  27. 2010.10.17 노자의 인간 관계 5계명
  28. 2010.10.12
  29. 2010.10.11 나의 이런 게으름은 언제나 후회와 손해를 가져온다
  30. 2010.10.08 이 코너를 만들고... 첫글을 오분 안에 쓰다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박웅현의 창의성과 소통의 기술이라는 부제로 책이 출간되었다. 
강창래 씨가 박웅현ECD(Executive Creative Director) 와의 인터뷰와 박ECD의 강의들을 듣고 글을 적어 나갔다.
둘다 인문에 대한 믿음과 통찰로 잘 통한듯하고 그들의 생각에 공감도 하며, 재밌게 글을 읽었다.
당신도 이 내용들에 자신만의 글을 달아 보라... 재밌을 것이다.




프롤로그
이 책의 목적은 '박웅현이 가진 창의성의 비밀'을 캐내는 것이다. 16

창의성의 원천 가운데 하나가 인문학적인 소양이고, 그것은 좋은 책잘 읽음으로써 얻을 수 있다. 17

<보보스> '고대 그리스 용어인 메티스는 실천적인 지식이나 수완 혹은 육감적인 능력같은 것이다....메티스를 얻으려면 그냥 보는 것이 아니라 이해심으로 보아야 한다. 자세하게 관찰해서 사물의 실제적인 현상을 인식해야 한다. 그리고 과정에 대한, 사물의 상호관계에 대한 감각을 길러야 한다. 이것은 이론이 아닌 행동으로 배워야 한다.' 19

책을 가장 잘 읽는 방법도 읽는 것이 아니라 느끼는 것이다. 19

보보스의 시대에는 조직이 아니라 개인이 중요하고, 강압이 아니라 자발 적인 참여가 중요하고, 시스템이 아니라 관계가 중요하다.  21

1부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박웅현

감동은 특별한 사람이 만드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라면 누구나'가진 이타적인 유전자 때문이라고 말한다. 26

오늘날 모든 리더들이 크리에이티브 디렉터가 되어야 할 겁니다. 31

박웅현은 소통(communication)에 대해 '수신자 → 메시지 → 발신자'의 경로가 맞다고 한다. 제대로 소통하기 위해서는 발신자가 하고 싶은 말을 한다고 되질 않는다. 수신자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아야 소통이 쉬워진다. 36

2부 광고, 잘 말해진 진실

현대적인 광고는 설득하려는 것이 아니라 참여해 주기를 바라고 있다. 46
<광고, 욕망의 연금술> 377-378쪽 '사라고 설득할 필요가 없다. 다만 대중과 이야기하려고 노력할 뿐이다... 상품의 철학을 판다.' 48
광고는  한 기업이 그 시대와 사회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잘 보여준다. 49
어떤 광고가 성공한다면 그 사회가 그 광고의 메시지에 공감한 것입니다. 72

우리는 자주, 잘못된 본질은 두고 그 잘못된 본질의 현상을 희생양으로 삼습니다. 73

박웅현은 "사실 광고는 잘 말해진 진실입니다. 진실이 아니면 그처럼 사회적인 호응을 크게 얻을 수 없습니다. 그래서 인문학적인 소양이 필요하고, 통찰력이 필요한 것입니다." 74

부시는 대통령 후보로 나섰을 때까지도 알코올 중독자였습니다. 그것을 알게 된 한 기자가 이렇게 물었습니다. 당신이 20대 때 음주운전으로 단속된 적이 있다. 그것에 대해 할 말이 있느냐? 한국의 정치인이라면 아마도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그러나 이 사람은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저는 실수를 통해 많은 것을 배웠습니다. 83


3부 창의성의 비밀
확산적인 사고력을 가진 아이는 아이큐가 낮을지 모른다... 창의성에는 정답이 없다... 그러니 어떤 생각이, 또는 어떤 생각의 결과물이 창의적인지 아닌지는 판단하기 어렵다. ... 창의성이란 무엇인가? 를 규정하는 것은 너무나 어렵다. 109


창의성은 새로운 시선 찾기다. 
사람들은 자기가 보는 것을 본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사람은 보고 싶은 것을 보고 듣고 싶은 것을 듣는다. 117
눈은 생각만큼 외부의 정보만으로 이미지를 만들지 않는다. 외부만큼이나 내부의 지배를 받는다 . 우리는 현실에 고정관념을 버무려서 만든 상상의 세계에서 살고 있는 셈이다. 118


창의력은 직관에서 나온다.
창의적인 사고의 시작은 느낌에서 온다. 122
아인슈타인도 창의성은 "면밀한 의도나 계획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가슴으로부터 나온다."고 말했다. 123

창의력을 기르기 위해서 무엇을 해야 하는건 없습니다. 뭘 하든 안테나를 세우고 '잘' 하면 됩니다.... 책을 읽더라도 '잘 읽어야' 합니다. 잘 읽지 않으면 책이 하고 싶은 말을 제대로 들을 수가 없으니까요. 126

창의력은 경탄에서 나온다. 자주 경탄할수록 더 많은 창의력이 생긴다. "저는 제가 나를 놀라게 만들고 싶습니다." 133

"나를 놀라게 해봐!(Astonish me!) 언제나 이 말을 떠올리게. 그러면 자네가 하는 모든 일은 창의적인 것이 될 걸세."

스티브 제이 굴드는 <인간에 대한 오해(The Mismeasure of  Man)>에서 아이큐는 미국에서 발명된 것이라고 말한다. 단서는 프랑스 심리학자 알프레드 비네가 만들었지만 미국으로 건너가 완전히 다른 것이 되었다는 말이다. 
비네는 자신의 테스트 방법을 이용할 때 새겨야 할 점으로 세 가지를 강조했다.
첫째, 수치는 어떤 지능이론도 뒷받침하지 않는다. 그러니 인간의 지능과 같은 어떤 실체의 우수성을 재는 도구로 쓰일 수 없다. 
둘째, 이 테스트는 지체아들이나 학습불능아들을 식별하기 위한 조잡하고 경험적인 지침이다. 
셋째, 도움이 필요한 아이들을 찾아내면 훈련을 통해 개선될 수 있다는 가능성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 그러므로 선천적 무능을 나타내는 데 쓰여서는 안 된다.
그러나 비네의 아이디어는 미국으로 건너가 유전적 결정론과 사회적 서열화에 쓰이는 척도가 되기 시작했다. 그래서 오늘날 쓰이는 아이큐는 미국산이라는 것이다. 140

우리는 지능이라 불리는 것을 측정하는 법을 안다. 하지만 무엇이 측정되는지는 알지 못한다. 143

천재성은 그들의 한 부분, 그것도 아주 작은 한 부분일 것이다. ..우리에게도 그 정도의 작은 천재성 정도는 있을 법하지 않은가?
천재성은 천재적인 영감이 아니었다. 자기에 대한 철저한 믿음과 그것을 끝까지 물고 늘어지는 힘이었다. 그런 천재성이라면 우리에게도 불가능하지 않을 것 같다. 146

메모는 기억하지 않기 위한 것이 아니라 기억하기위한 것이다. 150

인문학적이라는 말은 인간에 대한 통찰력을 바탕으로 한 가치지향적이라는 뜻 153

미니멀리즘(minimalism)이란 모든 장식이나 가교, 각색을 최소화하고 본질만을 보여줌으로써 표현된 것과 실제와의 차이를 최소화하려는 생각이다. 177

현실은 냉정해요. 기업은 하고 싶은 말이 많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기업의 입장입니다. 대중들은 자기가 알고 싶은 것 말고는 관심이 없어요. 181

하나의 목적에 자신의 온 힘과 정신을 다해 몰두하는 사람만이 진정 탁월한 사람이다. 이런 까닭에 탁월해지는 데는 그 사람의 모든 것이 요구된다. <e=mc2> 185

박웅현의 광고를 보면 이야기의 주인공들이 모두 '우리'다... 차이를 통해 서로가 서로에게 영웅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189

천재나 영웅은 보통 사람들 가운데 한 사람일 뿐이다. 그리고 세상은 보통 사람들이 바꾸어 나가는 것이 아니냐고 목소리를 높인다. 190


광고에 생활을 담지 않으면 무엇을 담는단 말인가! 일상생활은 창의성의 보고(寶庫)다. 196

특별한 기술이나 특별한 재료를 쓰지 않고도 설득력 있는 광고를 만드는 것, 그것이 바로 창의력의 힘이 아니겠는가. 200

창의성도 상황과 맥락을 고려할 때 제대로 느낄 수 있다. 201

"잘못 든 길이 지도를 만든다." 아직 나 있지 않은 길을 가서 길을 만들어 낸다는 뜻이다. 창의성은 새로운 길을 내는 것이다. 가끔 절벽을 만나기도 한다. 그렇지만 새로운 길을 찾으려면 그런 위험을 무릅쓰는 수밖에 없다. 
"아무런 위험부담을 지지 않으면 모든 것이 위험해진다." 추락하고 날개가 꺾이더라도 날개를 펴서 날아보아야 한다. 207

인문학적인 차으이력을 키우는 방법은? 박웅현의 말처럼 "책을 잘 읽는 수밖에 없죠, 뭐." 220

4부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박웅현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절묘한 조합이 맛난 창의성을 만들어 준다. 그 절묘한 조합은 그때그때 다르다. 225

최선을 다해 결정하고, 결정한 일은 더 이상의 대안이 없는 것처럼 집중한다. 설사 잘못된 결정이었다고 해도 좋은 결과를 이우러 옳은 결정이 될 수 있도록. 254

행운은 준비되지 않은 사람에게도 현실이 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저는 '준비'를 하겠다고 생각하고 해본 적은 거의 없어요. 제가 가진 문화적이 ㄴ갈증이 독서와 음악, 미술, 영화로 이끌었던 것이고 영어 공부는 <타임>지 같은 새로운 문화의 접점을 잃고 싶지 않아서 계속했을 따름입니다. 255

저는 제가 생각한 방향이 옳다고 생각하면 그 방향대로 만들어내기 위해 극단적인 상황까지도 각오하고 광고주를 설득하려고 합니다. 그러지 못하고 합리적이지 않은 요구와 타협하게 되면 좋은 결과를 얻기는 어렵지요. 259

저는 일단 선택하고 나면 그것이 옳은 것이 되도록 만들어내려고 합니다. 260

박웅현은 꼭 윤리적이거나 사회적으로 옳은 광고를 만들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잇는 것은 아니라고 한다. 기업의 문제를 해결한다는 생각뿐이라는 것이다. 그렇지만 결국 가치지향적인 광고를 만들어 낸다. 267



wn1 - 인문학적인 소양은 창의성의 원천이며, 이것을 좋은 책을 잘 읽음으로 시작될 수 있다는 것이다.
책을 잘 읽는 것은 읽으며 느낄 수 있어야 하고, 공감하며, 본질을 꿰어, 경탄할 수 있다면 행동으로 이어지게 되어 창의성에 이를 수 있을 것이다.
글로 표현하면 꾀나 많아보일 수 있으나 그렇지만은 않다.

사람은 누구나 좋아하는것은 늘 생각하게 마련이고, 모든것을 그것과 연결하기도 하는데, 이러면서 창의적인 것은 나오게 되는것이다.
여기에 더해 인문학적인 책을 읽으면 사람에 대한 통찰력이 더욱 배가 되기에 많은 도움을 얻게 될 수 있다.


















Posted by WN1
,



워낙 유명한 책이다. 말콤 글래드웰은 심리학자가 아니고 저널리스트이다. 그럼에도 여느 심리학자 보다 더 사람의 심리적인 면을 잘 고려 할줄 아는 사람이다. 

그의 책 <키핑포인트>와 <블링크>도 한국에서 꽤나 알려진 책이다. 
인문계열 책들을 보면 이 '아웃라이어'의 내용을 언급하는 책들이 꽤 많다. 물론 그전부터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을 하였지만 손이 잘 안가기도 하고 읽어야할 책들이 많아 뒤로 미루고 있었는데, 이번에 읽게 되었다. 
그러고 보면 역시 난 책을 고르는 능력이 아직도 좀 떨어지는 편인것 같다.,,ㅡ.ㅡ


아웃라이어
out · li · er/-, li(-e)r/ 명사
1. 본체에서 분리되거나 따로 분류되어 있는 물건.
2. 표본 중 다른 대상들과 확연히 구분되는 통계적 관측치.

서울대 심리학교수 최인철의 감수사에서 몇가지 내용을 보면,
"어린 시절의 천재성은 어른이 된 후의 성공을 보장하지 않는다."
"성공은 무서운 집중려고가 반복적 학습의 산물이다."
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른 각도에서 탁월함과 성공, 그리고 천재성에 대하여 고민하게 하는 것이다.
이 책에서 글래드웰은 '사람(person)대 상황(situation)' 논쟁을 성공의 영역으로 가져왔다. 성공의 색다른 측면을 제시한다. 
얼핏보면 우리가 이미 알고 잇던 내용들을 다시 한 번 정리한 것이라고 느낄 수도 있다. 하지만 여기에 글래드웰의 진가가 있다. 글래드웰은 우리가 이미 알고 잇다는 사실, 그래서 당연한 것이라고 느끼는 것들을 새롭게 조명하는 데 있어서 가히 천재적이다.
이 책이 21세기 한국 사회에 던지는 던지는 메시지를 세 가지로 정리했다.
첫째, 우리도 '아웃라이어'가 될 수 있는 방법이, 자기 분야에서 최소한 1만 시간 동안 노력한다면, 누구나 아웃라이어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기업이라면 CEO가, 부모라면 자녀에게 후천적 재능과 가능성을 꾸준히 계발할 수 있도록 충분히 시간을 줄 것을 요구한다.
셋째, 사회가 아웃라이어들을 만들어 낼 수 있는 문화적 유산과 기회를 제공할 것을 주문한다. 진정한 아웃라이어는 새인이 아니라 문화이기 때문이다.

- 최인철 교수는 책을 들어가는 이들에게 써머리를 제공하면서 책이 시작된다. 물론 이 바탕으로 읽어가면 책의 내용을 더 잘 이해 할 수도 있고, 책을 모두 읽고 다시 이 부분을 읽게 되면 책의 내용을 스스로 정리해 볼수 있을 정도로 감수가 아닌 자신의 독서 노트를 적은 것 같다.

글래드웰은 2개의 파트로 나누어 '기회(Opportunity)'와 '유산(Legacy)'로 나누었다.
우선 기회 파트에서는 마태복음효과에서 "무릇 있는 자는 받아 풍족하게 되고 없는 자는 그 있는 것까지 빼앗기리라."(마태 25장 29절)의 말씀을 인용하며, 캐나다 아이스하키 팀에서 뛰어난 실력을 가진 사람들을 분석하는데, 우리가 일상적으로 생각지 않았던 접근을 하였다.
그는 아이스하키팀의 생일을 분석하는데, 뛰어난 선수들중에 1~3월생 들이 많음을 찾아내었다.
이유는 대표선발의 기준이 1월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청소년들은 성장해 가는 과정임으로 몇 개월의 차이가 꽤 날수있으며 1월에 뽑기때문에 달을 꽉 채운 1월에서 3월생들이 많이 뽑힌다는 것이다. 그도 10월이나 12월 생들은 아무래도 1월생들보다 10개월은 덜 살았기에 성장이 좀더 느리기 때문이다.
물론 하키에 소질이 있으며, 좋아하는 아이들 중에서 뽑는건 당연한데, 그들 중에서도 1-3월 생들이 많다는것이다. 1-3월생 약40%, 4-6월생 약30%를 이룬다.
이뿐아니라 야구는 7월 31일을 기준으로 선발하기에 유난히 8월 생이 많고, 유럽축구 프리미어리그는 9월 1일을 기준으로 뽑기에 9-11월생들이 많다고 한다.
그래서 그는 지금시대의 일률적인 선발기준이 아이들의 개인적인 기회를 박탈하는 부작용을 지적하고 있다.

책 내용중에서 일부분을 발췌한다.
'"고통을 즐겨라." - 하키 라커룸의 벽에 있는 플랜카드 문구'
'선수들은 다른 누구도 아닌 자기 자신의 게임 수행 성과와 잠재력에 따라 평가를 받는다. 과연그럴까?'
'우리는 성공한 사람은 모두 단단한 도토리에서 나왔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그들에게 빛을 준 태양, 뿌리를 내리게 해준 토양, 그리고 운좋게 피할 수 있었던 토끼와 벌목꾼에 대해서도 충분히 알고 있을까?(이책이 강조하는 핵심이다.)'
'미래의 성공으로 이어지는 특별한 기회를 얻어낸 사람이 성공을 거두게 된다. 예를 들어 최고의 부자들은 세금환급혜택을 가장 많이 받는다. 최고의 학생들은 최고의 강의를 듣고 피드백을 받는다. 그리고 9-10세 어린이 중 덩치가 큰 아이들은 최고의 코치로부터 훈련을 받는다. 결국 성공은 사회학자들이 '누적적 이득'이라고 부르는 것의 결과라 할 수 있다.'
'선발의 결과가 성공에 이르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이제 확실히 보이는가? 성공을 개인적인 것으로만 간주하면 결국 상위권에 올라갈 수 있는 이들의 기회를 박탈하고 만다.'

1부 기회 파트의 2장인 '1만 시간의 법칙'을 보면 한번쯤은 들어봤을 1만시간의 훈련에 대해 언급하는데, 유닉스시스템을 만든 빌조이와, 비틀즈, 빌게이츠를 언급한다. 
핵심을 말하면, 탁월함 = 올바른교육(지속적획득) + 노력의양 + 환경요인들(타이밍) 이라는 것이다.
이들은 1만시간의 훈련을 할 수 있는 여건을 획득하여, 연습을 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또한 이들의 태어난 시기가 이들의 호기심을 충족시킬 수 있는 환경을 주었다는 것이다. 즉 컴퓨터가 보급이 될 수 있는 시기였기에 이들은 그러한 환경을 받을 수 있었다. 책은 그들의 출생연도 까지 언급하며 증거를 제시하고 있다.
이외에도 스키브잡스의 예도 동일함을 이야기 하며 글을 마무리 짓는다.

책의 빌게이츠 편만을 기록하며 이해를 얻어본다.
첫째, 빌은 부유한 부모(아버지 변호사, 어머니 은행가의 딸,이사) 덕분에 사립학교 레이크사이드로 보내졌다. 
둘째, 레이크사이드의 어머니들은 비싼 컴퓨터 사용료를 낼수 잇을 만큼 여유로웠다. 
셋째, 사용료가 부담스러워지는 시점에 부모 하나가 C-Cubed(기업들에게 컴퓨터 사용시간을 빌려주는 회사)의 공동창업자가 됐고, 그 회사는 주말에 코드를 확인해줄 누군가를 필요로 했으며 부모들은 주말 낸내 프로그래밍을 해도 나무라지 않았다.
넷째, 게이츠라 ISI(벤처기업)를 발견했다고 ISI는 장부 프로그램 관련 업무를 할 누군가를 필요로 했다.
다섯째, 게이츠는 워싱턴 대학까지 걸어서 갈 수 있는 거리에 살고 있었다. 
여섯째, 워싱턴 대학에서 새벽 세 시에서 여섯 시까지 컴퓨터를 공짜로 사용할 수 있었다. 
일곱째 TRW(기술회사)가 버드 펨브로크(ISI의 창립자)에게 전화를 걸었다.
여덟째, 펨브로크가 알고 있는 최고의 프로그래머는 두 명의 고등학생이었다.
아홉째, 레이크사이드 고등학교가 학교에서 벗어나 프로그래밍에 매진하는 것을 허락해주었다.
그럼으로 빌 게이츠는 7년간 쉼 없이 프로그래밍을 해온 셈이다. 

이제 3자에서는 '위기에 빠진 천재들'이란 주제로 IQ가 높은 아이들을 다룬다.
핵심은 아이큐는 일정수준만 되면 그보다 높다하더라도 성공의 척도나 성취의 판단 요소로써 중요하지 않다는 것이다.
<지능검사의 편견>에서 하서 젠슨(Arthus Jensen)은 이렇게 말하고 있다. 
'IQ에 의해 분류되는 네 가지 주요 집단은 상당히 높은 확률로 그 사람이 누구인지 구분 할 수 있게 해준다. 정상적인 학교에 들어갈 수 있느냐 없느냐(IQ 50), 초등학교 과정을 이수할 수 있느냐 없느냐(IQ 75), 고등학교 정규 과목을 성공적으로 습득할 수 있느냐 없느냐(IQ 105),4년제 대학에 들어가 대학원 수준의 공부를 하거나 전문적 지식을 익힐 수 있느냐 없느냐(IQ 115)에 따라 인생이 판이하게 달라지는 것은 당연한 일이 아닌가. 하지만 115를 넘어서면 지능지수는 성공의 척도나 성취의 판단 요소로써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IQ115와 150 사이에, 혹은 150과 180 사이에 아무런 차이도 없다는 뜻은 아니다 일반적인 의미에서의 성공을 판단할 때, 상위 레벨의 IQ지수 차이는 성격이나 인격 같은 요소보다 훨씬 덜 중요한 역할만 수행한다는의미다.'
그러면서 저자는 상상력의 테스트를 해볼 것을 권한다.
다음 물건의 쓰임새에 대해 최대한 많이 적어보라.
1. 벽돌
2. 담요

실제로 해보면 많은 사람들이 많은 쓰임새를 적지 못한다. 하지만 예의 학생을 보면 상상력이 좋음을 알 수 있다.
벽돌 - 기습공격을 할 때 사용, 집을 지을 때, 운동을 겸해 러시안룰렛을 하고 싶을때, 깃털 이불의 네 모서리에 접어넣어 고정시킬 때, 빈 콜라병을 깨부수는 용도로...
담요 - 침대 위에서, 숲속엣 은밀한 성관계를 맫을때 덮개로, 연기가 난다느 사실을 사람들에게 알리기 위해, 보트, 마차, 썰매의 돛으로, 수건 대용, 눈이 근시인 사람의 사격용 과녁으로, 불타는 마천루에서 뛰어 내리는 사람을 받아내는 용도로..

4장에서 '랭건과 오펜하이머의 결정적 차이'를 다루는데, 두 사람의 '실용지능'의 차이가 엄청난 결과의 차이로 나타남을 이야기 하며, 이것 역시 환경의 요인을 통해 작용한다고 말하고 있다.
랭건은 비참한 어린 시절을 보매녀 자신의 환경을 인해 주눅도 들고 자신감을 잃었기에 자신이 극복하려 노력하다가도 문제가 생겼을때 해결하기 위한 협상을 해 보지 못하여 여려 혜택을 놓쳤다. 
그에 반해 핵무기를 개발한 오펜하이머는 집안의 환경으로 좋은 교육을 받을 수 있는 환경에 노출이 되어있었다. 그가 케임브리지에서 큰 사고를 저질렀을때(랭건보다 더큰), 그는 정학과 심리상담만 받는 결정을 낳았다.
다시 말해 그는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기위해 세상과 협상하는 방법을 알았던 것이다.

'설득하는데 쓰이는 특정한 기술을 '실용지능(practical intelligence)'라 부른다... 이것은 뭔가를 누구에게 말해야 할지, 언제 말해야 할지, 어떻게 말해야 최대의 효과를 거둘 수 잇을지 등을 아는것을 포함한다.'
'이것은 본질적으로 실천의 문제이다.'
'실용지능은 후천적으로 습득해야 하는 지식이다. 그리고 우리는 그 지식을 대부분 가족에게서 배운다.'
'자신이 놓인 상황에 대응하는 방식을 익히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자수성가한 사없가의 아들은 어린 시절부터 빡빡한 조건 아래서 협상을 한다는 것이 무엇인지 배웠다.'
'우리는 문화 속에서 스스로를 찾아내고 규정한다.'

5장은 '조셉 플롬에게 배우는 세 가지 교훈'인데 여기서는 몇가지만 인용한다.
'혼자서 성공하는 사람은 없다. 그들의 성공은 특정한 장소와 환경의 산물이다.'
'열심히 일하고 스스로를 책임지며 사고력과 상상력을 발휘하면 자신이 원하는 대로 세상을 바꿀 수 있다.'

1부 '기회'는 끝이나고 이어 2부 '유산(Legacy)'가 네개의 장에 언급된다.
6장은 '켄터키주 할란의 미스터리'인데 1800년대의 무법시대에서 집안간의 싸움으로 인해 사람들이 죽게된다. 그것은 '명예 문화(culture of honor)'로 되물림되면서 많은 인명피해를 가져오게 된다. 책에서는 '명예문화가 지배하는 사회에서는 욱 하는 성질의 신사가 누군가를 쏘는 일은 개인적 모욕에 대한 적절한 반응으로 인정받는다.'라고하였다.
결국은 자신이 원하지 않더라고 그 시대의 문화에의해 조종을 당하고 그럼으로 결과가 이어지게 된다는 것이다.
실험을 하면 사람들에게 모욕적인 환경을 경험하게 하고 그들의 심리적 반응을 관찰하였더니 반응의 차이가 어디 출신이냐에 따라 많이 달라졌다고 한다. 미국 북부 지방 출신들은 그러한 환경에서도 영향을 받지 않는펴닝엇지만 남부출신들은 그러한 환경에서 투지를 불태워 올렸다고 한다. 즉 그들의 선조들과 비슷한 행동을 하였다는 것이다.
이로써 문화적 유산의 힘이 얼마나 큰가에 대해 말해주고 있다.

이어지는 7장에서는 '비행기 추락에 담긴 문화적 비밀'이란 제목으로 1997년 대한항공 801편의 괌 추락사고를 언급하는데, 그들의 사고 원인은 기계적인 문제가 전혀 아니었다. 블랙박스를 분석해본 결과 그들은 사고의 급박한 순간에서도 소통이 거의 없었다. 다시말해 동양의 유교적 위계질서에 의해 기장의 책임이 독보적인 위치에 있었기에 부기장과 기관장은 기장의 서포트를 한것이 아니라 지켜보고 있는 수준이었다. 결국은 그들의 팀워크는 없었고, 의사소통 또한 없었다.
이것은 동양적인 문화적 특징때문에 일어난 일이었던 것이다.
이들이 소통만 잘 되었어도 사고를 방지할 수 있었던 것이다.
원래 부기장은 기장이 뚜렷한 판단 착오를 하면 알리고 조종을 직접하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문화적인 관습이 몸에 배어 결과를 초래하였다는 것이다.
기장은 이미 8번이나 와보았던 공항이었지만 ...

8장에서는 '아시아인이 수학을 더 잘하는 이유'에 대해 언급하는데 이것 역시 문화적인 특징으로 우월적인 것이라 한다.
아시아는 쌀문화이기에 농사를 짓는다. 이것은 1년에 3000시간 이상의 노력에 의해 결과를 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이들은 해뜨기 전에 일어나 움직이고 끈기있게 가꾸어내야한다.

이 문화적 환경이 수학을 푸는데 엄청나게 도움을 준다는 것이 저자의 표현이다.
'학생들에게 스스로 풀기 어려운 문제를 풀다가 포기하기까지 몇 분간이나 시도를 해보느냐고 물어보았다. 그 대답은 30초에서 5분가지 다양했는데 평균을 내보니 2분이었다.'
'재능보다 태도가 중요하다고 말한다.'

아시아 문화권에서 수학을 잘하는 이유는 그들이 끝까지 앉아 집중하고 대답하고자 노력하는 시간이 끈기의 문화적 영향에서부터 비롯되었다는 것이다.

마지막 9장은 '마리타에게 찾아온 놀라운 기회'
1990년대 중반 뉴욕의 루게릭 중학교에서 키프(KIPP) 아카데미라는 실험적인 공립학교가 문을 연다.
이학교는 열학한 환경의 아이들을 받았지만 그들을 아침일찍부터 저녁까지 (한국의 고등학교 1학년 수준에 거의 근접할 정도로) 교육을 시키기에 그들은 좋은 결과를 낼 수 있었다. 
여기서 아시아인이 수학에서 우위를 점하는 이유를 언급하는데, 미국의 수업 일수는 약 180일. 한국은 220일, 일본은 243일 정도라고 한다.
그만큼 많은 시간을 할애하기에 좋은 성과도 있는것이란 것이다. 
결국 그가 앞에서 언급한 일만시간의 법칙에도 빨리 다다르는것은 그만큼 많은 시간을 하는 사람인것이다.

여기서 나오는 마리타는 새벽 5:45에 일어나 학교에 가야했다. 거리가 멀었기에.
그리고 토요일에도 학교에 가며 밤 열한 시까지 숙제를 한다. 
그렇지만 그렇기에 결과를 얻어낼 수 있었는데, 그녀는 사립고등학교에서 장학금을 받고 입학하고 대학까지 졸업하게 된다.

저자는 여기서 질문을 하는데, '이것을 나쁜 거래라 할 수 있을까?'

그렇다 솔직히 우리는 미국을 따라가려한다. 그러나 미국은 우리의 장점을 따라가려한다.
이것은 엄청난 차이를 두는데, 맹목적인 따라하기냐 전략적인 따라하기냐의 차이이기 때문이다.


역자는 '재능은 성공의 필요조건이지 충분조건이 아니다. 재능을 완전히 꽃피우기 위해서는, 기회와 노력과 행운이 모두 필요하다.'라고 하였다.

 
곰곰이 이 책의 내용을 다시금 생각해보면서 이 책이 무엇을 말하고자 할까 생각해보면 ...
성공의 기회에 대한 사람들의 맹목적인 따라하기에 대해 경종을 울리려 하는것은 아닐까 생각을 해보았다.
성공한 사람들이 노력해서 성공했다는것만을 보고 맹목적으로 따라하지 말라는것.
그들은 기회와 준비 그리고 환경까지 받쳐 주었다는 것이다.
물론 그렇게 해서 그들은 역사적인 성공을 이루어 냈다.
물론 우리가 그정도의 성공을 바라는건 아닐지 모른다.
하지만 나는 '맹목적인'이라는 단어에 초점을 맞추고 싶다.
책에서도 언급되었듯이 장애물이 있을때 어떻게 반응을 하느냐를 보면 많은 차이를 볼 수 있는데, 그것을 무시하는 사람, 막연하게 그것을 그렇게 받아들이지 않으면 된다는 사람, 뛰어 넘으면 된다는 생각만 하는 사람, 전략적을 분석하여 뛰어 넘으려 하는 사람...등
우리는 계발서의 홍수에 놓여 있다. 
그 책들은 거의 모두 좋은 내용들이다. 하지만 그것은 결과만을 다루는것이 일반적이다.
다시말하면 미묘한 감정이나 미묘한 환경에 대해서 까지는 다루지 못하고 있다.
그렇기에 사람마다 차이를 가지고 있는 것은 다루지 못함으로 자기에게 맞지 않는경우가 꽤나 많을 수 있다. 
그러한 것을 고려하지 않고 막연하게 실행만은 해보며 쉽게 포기하게 된다
문제는 포기하는것이 아니다. 그러한 책을 여러권보면서 종종 시도해 보다보면 ...
머릿속에는 어떻게 하면 되는지 알겠는데, 나는 잘 안되네..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자포자기 상태로 만들어 갈 수 있다.
그렇게 되면 현실에 안주해 버리게 되며, 그것은 계발서의 홍수에서 우리가 익사해 버리는 현상이 되는것은 아니겠는가...생각한다.



헉...쓰고보니 또 엄청길다..그래서 오타 보려하니 엄두가 나질 않는다.
그런에도 이렇게 길게 쓰는건 나를 위해서이다..
책을 읽으며 줄도 긋고 책에 생각을 적어보기도 한다. 그러면서 다시 보지 않으면 기억은 사라지기에 이렇게하며 다시금 보기 위해서이다..
여러 독서법 책에서는 A4한장으로 정리를 해보라고 하였지만 지금의 나는 아직 그런 역량을 가지지 못한듯한건지...이렇게 하며 글을 다시금 되새겨 보는것을 선택하였다.
그래서 책을 읽고나면 정리가 두렵기도 하다.. 그래서 길게 쓰지 말라는거 같다..ㅡ.ㅡ


Posted by WN1
,


올림픽에 출전한 선수, 세계적인 기업을 일으킨 사업가, 오랫동안 기억에 남는 정치 지도자, 별을 단 장군, 좋은 글을 남긴 작가나 위대한 예술가, 학자들……,

 

흔히 말하는 성공한 사람들에게는 공통적인 특징이 있다.

이들의 특성은 유복한 환경이나 높은 지능지수, 우수한 교육이나 비상한 재능이 아니다.

그들은 하나같이 인생을 바라보는 올바른 자세를 가지고 있었다.

 

다음은 인생의 승리자가 되는 데 가장 기본이 되는 세 가지 요소이다


★ 자신의 행동에 책임을 져라 :

심은대로 거둔다.

즉 우리는 누구나 노력한만큼 보상을 받게 된다. 우리들의 인생에서 이것만큼 분명한 것은 없다.

따라서사람들은 인생을 살아가는 데 있어 자신이 취한 입장에 대한 칭찬과 비난을 감수해야 한다.

자신의 책임을 직시하고 진정으로 책임을 깨달을 때 비로소 자주성을 찾게 되고 발전 할 수 있는 것이다.



★ 자신의 재능을 찾아내어 목표를 향해 매진하라 :

세익스피어의「햄릿」에서 폴로니우스는 그의 아들에게 이렇게 말한다.

"무엇보다네 자신에게 충실하라. 그러면 밤이 낮을 따르듯 너는 다른 사람에게도 충실해 질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흔히 어찌 할 바를 모를때가 많다.

자신의 삶을 어떻게 보내야할지, 내가 선택한 직업은 바른선택이었는지, 또한 나에게 맞는 목표를 향해 제대로 가고 있는지 잘모르는 경우가 많다.

자신의 장래에 대한 계획은 부모나 스승, 친구, 돈에 의해 좌우되기 보다는 자신의 적성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그에 맞는 계획을 세우도록 해야 한다.

이것이야말로 인생을 정직하게 살아갈 수 있게 한다.




★ 피하지 말고 적응하라 :

신체적정신적 건강과 성공의 열쇠는 적응력이다.

압박감을 받으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의기소침해지고 생에 대한 의욕을 잃는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술을 마시거나 담배를 피우거나 심지어 진정제에 의존하기도 하는데 이런 것들은 일시적으로 도움이 될지는 모르나 결국은 자신을 약화시켜 인생에 실패하게 만든다.

인생의 온갖 스트레스에 적응해 나가는 최선의 방법은 스트레스를 일상적인 것으로 받아들이는 것이다.

일상생활에서 부딪치는 역경과 실패는 앞으로 우리에게 닥칠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게 하는 좋은 경험이다. 인생의 승리자들은 자신의 발전을 운에맡기지 않는다.

이들은 자신들의 잠재력과 생에 대한 욕구와 끊임없이 대화를 나누면서 인생의 승리를 추구해 간다.

 

한마디로 말해 패자는 인생을 닥치는대로 살아가는데 반해 

승자는 인생을 창조해 나간다.





'마음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 마음속 두 마리 늑대  (0) 2010.11.19
'포기'는 배추새면서 쓰는 단어입니다.  (0) 2010.11.17
아침5분이 인생을 바꾼다.  (0) 2010.10.19
노자의 인간 관계 5계명  (0) 2010.10.17
사람을 보는 방법  (0) 2010.09.29
Posted by WN1
,


(방배동 김선생의) 공부가 희망이다.

김종선 이다미디어 2007

나를 꿈꾸게 했던 아이들

- 책을 많이 읽히고 다양하게 생각하고 경험하도록 가르쳤고, 더불어 세상의 고마운 책들이 우리 아이들을 눈부시게 성장시켜주었다. 나는 돈이 없는 집에서 영재성을 그리 타고나지 않은 아이라도 엄마의 사랑과 노력으로 어떤 성취감을 맛볼 수 있으며, 자기만의 아름다운 꿈을 키울 수 있다는 이야기를 꼭 전하고 싶다.


1장 나는 언제나 아이에게 최선을 다하는 엄마인가?

- 사는 게 아무리 어려워도 나는 아이들에게 현재의 삶에 대해서만 이야기했다. 현재의 소중함보다 더 소중한 가치는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과거에 매달리면 앞으로 나아가지 못한다. 아이들은 공을 들인 만큼 잘 자란다. 나렌드라 자드하브(52세)는 집념이 강한 아버지의 헌신이 있었다. 최하층 계급인 불가촉천민(달리트)출신이었다. 아들에게 아버지는 공부만이 신분의 벽을 깰 수 있는 유일한 길이라면서 넓은 세상에 눈을 뜨게 해주었다. 신분을 뛰어넘으려는 목표가 있었기 때문에 열정을 쏟아서 공부에만 몰두했다. 나렌드라는 최상급 계급의 브라만이 쓰는 언어인 산스크리트 시험에서 1등을 차지했고, 만 25세에 미국 인디애나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땄다. 자신의 실력 하나로 깨부순 셈이다. 그는 이런 말을 했다. "책을 읽을 전등불조차 사치인 하층민 아이들에게 열심히 공부하라는 말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그들에게는 가장 낮은 신분이 바로 가장 강한 동기가 될 수 있을 뿐입니다. "

엄마라면 늘 자신에게 이런 질문을 해야 한다. 자신은 아이에게 최선을 다하고 있는지를...

부엌의 식탁이건, 거실의 커다란 식탁이건, 공부방의 책상이건 중요한 사실은 공부하는 집안 분위기와 공부를 하나라도 더 배우려는 아이들의 자세이다. 이것만 잘 유지된다면 어디에서라도 아이들은 공부를 열심히 잘할 수 있다.

자식에게 물려줄 게 없는 부모이지만 떳떳치 못할 건 없다. 물려줄 재산이 없기 때문에 물고기 잡는 법이나 더욱 열심히 가르쳐야겠다는 생각이다.

* 엄마들이 꼭 명심해야 할 '스스로 공부법'

공부를 가르칠 때는 답을 알려주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사전을 이용해서 스스로 찾는 방법을 빨리 가르쳐야 한다. 공부도 되새김해야 완전히 소화가 되고 머리에 입력이 되면서 실력으로 나타나게 된다.


2장 어릴 때 공부 습관이 평생을 결정한다.

- 아이들에게 의도적으로 책을 좋아하게 하기 위해서 억지로 집중을 시키면 오히려 흥미를 잃어버린다. 아이가 그림을 보고 스스로 상상하며 많은 이야기를 할 수 있도록 분위기를 만들었다. 아이가 처음에 책을 만나게 되는 계기는 아주 중요하다. 곧, 아무리 좋은 뜻으로 아이에게 책을 권해도 아이가 책을 좋아하지 않으면 아무런 소용이 없다는 뜻이다. 나는 아이가 책을 장난감처럼 부담 없이 가지고 놀게 했다. 아이가 사용한 공책이나 문제집을 모두 보관해두면 날짜가 기록되어 있어 아이들에게는 나중에 좋은 추억거리로 남게 된다.

집중력은 싫어하는 일이라도 어떤 일정한 과제를 일정한 시간 동안 몰두해서 제대로 해낼수 있는 능력이다. 집중력을 키우려면 남의 말을 집중해서 듣는 태도를 길러주어야 한다. 나는 언제나 아이들과 이야기를 할 때 아이들을 똑바로 보고 눈을 맞추며 말을 했다. 아이가 내 말을 집중해서 듣게 하는 데는 이 방법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물론 나도 언제나 아이들의 말을 귀담아서 열심히 들어주었고, 또 재미있다가거나 흥미롭다는 반응을 보여주었다. 집중력은 무엇인가를 끝까지 잘 해낼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힘이다.

아이가 질문을 하면 언제, 어디에서, 어떤 질문을 하더라도 늘 즐거운 마음으로 받아들이고 반응해야 한다. 엄마는 언제나 아이에게 우선권을 줄 수 있어야 하고, 아이의 질문에 속시원한 답을 주거나 함께 고민할 줄 알아야 한다. 아이의 질문에는 바로 반응을 하는 게 효과적인 교육법이다.

절대로 내가 주도적으로 해결해주지 않았다. 아이가 모르는 문제가 있을 때도 정답을 바로 말해주지 않아야 한다. 아이가 문제를 푸는 데 이해를 돕는 설명만 해주고, 아이가 생각해서 문제를 풀 수 있게 해야 한다. 서로 의논하는 게 좋다. 의논을 할 때도 80% 이상을 아이가 주도적으로 의견을 말하며 정할 수 있게 하고, 엄마는 듣는 쪽을 더 많이 택해야 한다. 만일 엄마가 '너는 내 손바닥 안에 다 있다.'는 식의 반응을 보이면 아이들은 엄마가 자신을 감시하고 있다는 느낌을 갖게 되어 자율적으로 계획을 실행하기가 힘들어진다.

한숨 돌리려는 핑계를 앞세우고 방에서 나오는 아이를 힐난해보라. 아이는 엄마에 대한 반발심으로 욓려 공부하기를 더 싫어할 수도 있다. 때문에 자연스럽게 서로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자세가 필요하다. 어렵고 힘들어도 참을 줄 알아야 한다고 아이를 격려해주는 게 효과도 휠씬 더 크다. 목표가 없는 인내는 무의미하다. 아이 스스로 목표를 설정할 수 있어야 효과적이다.

감정을 조절하는 문제는 아주 어릴 때부터 훈련으로 가꾸고 다져야 강해진다. "어려움을 참고 견딘 사람은 성공하고, 어려움을 참지 못한 사람은 실패하는 거야." "실수해도 괜찮아. 다음에 같은 일로 실수하지 않는 게 더 중요하고, 실수가 없는 성공은 없는 법이다." 교육은 엄마와 아이의 상호작용이다. 때문에 아이에게서만 문제를 찾을 게 아니라, 엄마라면 자신에게도 무슨 문제가 있는지 항상 성찰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아이를 키울 때 늘 신경쓸 부분은 공부할 때는 공부에만, 놀떄는 노는 것에만, 먹을 때는 먹는 데만 집중하게 하는 것이다.

무엇 하나를 하더라도 언제나 최선을 다하는 버릇은 어릴 때 길러주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이것은 부모, 특히 엄마만이 할 수 있는 일이다. 내가 말하는 공부 습관이란, 무엇에도 최선을 다하는 자세이다. 이것은 아이들이 어릴 때 충분히 길러줄 수가 있다.

"연습이 가장 중요합니다. 반복되는 연습은 모두들 하기 싫어하는 일이지만, 연습은 죽을 때까지 매일 해야 하는 것입니다. 그렇지 않고는 절대로 위대한 연주자가 될 수 없습니다." 세계적인 첼리스트 요요마가 장래의 요요마를 꿈꾸는 첼리스트들에게 조언을 해달라는 질문에 대해 딱 잘라서 한 말이다. 단순히 새로운 것을 알았다고 해서 자기 것이 되었다고 할 수는 없다. 연습하고 또 연습해서 익혀야 비로소 자기 것이 되었노라고 자신있게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아이가 하는 공부나 행동이 엄마의 마음에 다 들 수는 없다. 또 아이의 공부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엄마가 대신 공부를 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엄마는 아이가 부족하더라도 끝까지 지켜보아야 하고, 또 끊임없이 격려해주어야 한다. 아이가 정말 재미있어하고 원하는 일이라면 누구보다 엄마가 더 잘 알수 있을 것이다. 엄마는 아이에 대해 정확하고 냉정한 관찰자가 되어야 한다.

행복한 초등학생 시절을 갖지 못한 아이는 불행하다고 나는 감히 말한다. 아이를 키우면서 늘 다시는 오지 않을 시간에 대해 아이들에게 충분히 이야기하고 소중하게 여겨야 한다고 가르쳤다. 어려서부터 시간 관리를 제대로 하지 못하는 아이는 자신을 관리할 가장 첫 번째 관문에서 탈락하고 말 것이다. 시간 관리와 자기 관리를 잘 할 수 있어야만 아이는 무엇을 하더라도 성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는 사람의 딸이 미국 존스홉킨스 의과대학에 다니는데, 그 아이가 가장 혀를 내두르며 진저리치는 것이 미국 아이들의 체력이라고 했다. 어찌나 체력들이 좋은지 이틀씩 밤샘 공부를 한 후에도 샤워만 하면 거뜬하다는 것이다. 공부는 체력싸움이다. 일상생활을 하는 가운데 하나라도 더 알려고 하는 자세가 무엇보다 정말로 중요하다.

공부에서만은 아이들을 비교하지 않는다. 공부가 아니라도 인생은 즐거울 수 있고 할 일도 무궁부진하기 때문이다. 아이들은 순수하기 때문에 남과 비교당하면 어른보다 훨씬 큰 상처를 입게 되어 자신의 능력을 펴보지도 않은 채 쉽게 포기할 수 있기 때문에 어른들이 주의해야 한다.


3장 당당한 엄마가 아이를 바르게 키운다.

무엇보다도 부모의 태도가 일관되어야 한다.

- 자신감은 자존심과도 상관이 있다. 어떤 상황에서도 자기를 지켜낼 수 있는 인내심이 있으면 자신에 대한 믿음도 더 커질 것이다. 끝까지 해보아도 안 되는 일이 세상에는 많다. 하지만 그 결과가 나오기 전에 미리 겁을 먹고 안 될지도 모른다는 쪽에 더 무게를 두면 실패하게 마련이다. 엄마의 눈높이를 아이에게 맞추고, 엄마와 함께 성장한다는 느낌을 갖는게 중요하다는 생각이었다. 나는 아이들의 놀이 속으로 함께 들어가 한 덩어리가 되기 위해 노력했다. 아이들과 동요 테이프를 같이 듣고 노래를 할 때도 나는 아이들보다 더 적극적으로 부르며 재미있게 놀아주었다. 아이들은 크면서 다양한 친구를 만나고 다양한 경험을 쌓아가면서 성장해야 한다. 그래야 균형 잡힌 가치관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아이가 이미 'NO'라고 하면 강요할 필요가 없다. 엄마 마음은 좋은 것을 보여주고 싶지만, 그것이 아이를 행복하게 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무엇을 하건 아이가 스스로 재미있어하고 알고 싶어할 때가 아이에게는 가장 행복한 시간이기 때문이다. 오래 앉아 있는 시간은 아이가 주도적으로 목표한 과제를 최대한 짧은 시간에 성공적으로 완수하기까지 앉아 잇는 시간을 말한다. 엄마가 조급함을 버리고 아이의 능력에 맞게 대처해나가는 것이 가장 중요한 관건이다. 사실 외로움을 이겨내지 못하면 사람은 무엇을 해도 성공하기가 힘든 법이다. 어느 잡지에서 보니 조순 전 부총리도 학문을 해서 교수가 되고 싶다고 의논해 온 아들에게 "외로움을 이길 자신이 없으면 공부할 생각을 말라."는 이야기를 했다고 그런다. 공부나 가난은 모두 외로움과의 싸움이며 더 강해지기 위한 자기 자신과의 싸움이기도 하다.

아이들의 눈부신 성장을 원하면 원할수록 엄마는 오래 참고 기다릴 줄 알아야 한다. 모든 엄마가 자식에게 완벽하지 않듯이 모든 자식이 엄마에게 완벽한 존재도 아닐 것이다. 아이를 잘 키우고 싶을수록, 또 아이를 사랑하면 할수록 엄마가 참고 기다려야 할 일은 많다. 아이가 무엇을 할 때 엄마가 감시하고 있다는 느낌을 가지게 되면, 엄마가 볼 때는 열심히 하고, 보지 않으면 열심히 하지 않는 버릇이 들기가 쉽다. 내가 하기 싫은 것은 그 무엇이라도 아이에게 강요하지 않았다. 교과서 중심으로 공부한다는 게 너무 평범한 방법이어서 그런지 엄마들의 관심을 끌지는 못한다. 그러나 진리는 평범한 곳에 있다.

엄마인 내가 참지 못하고 화를 내면 아이도 자신을 이겨내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아이들은 자라면서 사소한 잘못을 저지를 때가 있다. 그럴 때는 잘못된 행동을 나무라기보다는 무엇이 왜 잘못된 것인지를 깨우쳐주어야 한다. 언제나 자신을 속이지 않기, 올바르게 생활하기. 자신의 자존심을 소중하게 지키는 방법에 대해 늘 아이와 함께 대화를 해야 한다. 나는 6남매를 키우면서 아이들에게 늘 자신을 소중하게 여기라는 말을 했다. 아이들에게 항상 자신의 몸과 마음을 소중하게 생각하며 살라고 했다. 또 소중한만큼 한 번 주어진 인생을 열심히 살아야 한다고 말했다. 아이는 하기 싫은 공부를 많이 하면 할수록 집중력이 떨어지고, 무엇보다 스스로 공부하는 능력을 기르지 못한다. 이 학원 저 학원 다니면서 남이 해주는 공부에 익수해질 뿐 자기 혼자 공부하는 습관을 기르지 못하기 때문이다. 부모는 하고 싶은 대로 하면서 아이에게는 놀고 싶은 것을 참고 공부만하라는 것만큼 불합리한 억지도 없다.


4장 책 읽는 엄마가 책 읽는 아이를 만든다.

- 아이들은 견문이 넓어지면서 호기심도 더 많아졌다. 또 그 속에서 지식으로 가지치기를 하며 다른 세계를 몹시 알고 싶어했다. 국어 공부의 가장 중요한 핵심이 독서라는 사실을 모르는 사람은 별로 없다. 하지만 책을 많이 읽는 아이는 하루 아침에 뚝딱 만들어지지 않는다. 책을 읽는 것이야말로 고도의 전략이 필요할 뿐 아니라 읽는 단계도 잘 밟아야 한다.


글을 마치며...- 엄마의 사랑으로 아이들은 자란다.

엄마는 내 아이를 가장 정확하게 알지만 한편으로 내 아이에게 가장 눈이 먼 사람이 되기 쉽다. 내 아이의 모든 것을 제일 빨리 감지하고 결정하는 사람도 엄마이다. 반면 아이에게 가장 큰 영향을 주고 크게 상처를 줄 수 있는 사람도 역시 엄마이다. 그것이 나는 엄마의 무서운 힘이라고 생각한다. 

Posted by WN1
,


1권의 마지막 챕터를 하인리히(H. W. Heinrich)의 1:29:300법칙으로 시작한다. 한 번의 대형 사고가 발생했다면 이미 그 전에 유사한 29번의 경미한 사고가 있게 마련이고, 그 주변에 또다시 300번 이상의 징휴가 나타난 바 있다는 내용이다.
일본 도쿄 대학의 히타무라 요타로 교수 또한 " 한 번의 대실패, 대형사고, 멸망으로 이르는 길은 300번의 징후를 담고 있다." 고 말한바 있다. 다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징후를 읽지 못한다고 시작하며 자연스럽게 로마 제국의 역사로 이어진다.

에드워드 기번(Edward Gibbon)의 <로마제국쇠망사(The history of the Decline and Fall of the Roman Empire)>또한 당시 흥륭과 쇠망의 기로에 서 있던 대영제국에 역사의 교훈과 경고의 메시지를 던지기 위해서였다. 

먼저 사건은 국면을 만든다. 새로운 국면은 무수히 많은 크고 작은 사건들 가운데 하나의 어떤 돌발적인 요소가 아니라 사건의 제곱, 혹은 사건의 돌연변이 속에서 새롭
게 타나난다. 
구조도 마찬가지다. 단순히 국면들이 모여 새로운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미처 예기치 못한 국면의 돌발적 요소들이 돌출하여 한 켜 한 켜 쌓여 있던 지층들을 한 순간에 뒤엎으면서 새로운 구조를 형서하는 것이다. 그것이 바로 장기지속으로서의 역사이다.

로마는 하루 아침에 만들어 지지 않았다. 2차례의 포에니 전쟁으로 아프리카 전쟁으로 긴시간동안의 흐름에 의해 완성이 되었다. 그렇지만 외부가 잠잠해지면 내부가 시끄러워지는것.
민중파와 귀족파가 이념 대결을 시작하고, 스파르타쿠스를 주축으로 한 7만 노예읜 반란으로 혼란을 겪으며 크라수스와 폼페이우스 장군이 난을 제압하여 크라수스, 폼페이우스, 카이사르의 제1차 삼두정치가 기원전 60년에 시작이 된다. 
그러나 카이사르, 옥타비아누스를 거쳐 아우구스투스,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네로를 거치면서 암살과 배신 그리고 횡포와 전쟁들로 시간이 흐른다.
그러다가 로마의 최전성기, 팍스로마나 시대가 시작되는데, 네르바를 시작으로 '5현제 시대'가 시작된다.
네르바(96~98년)는 2년 밖에 집권하지 못했으나 재정을 안정시켰고, 친위대의 전횡을 막는 업적을 세웠다.
트라야누스(98~117년)는 수도공사와 신항구 건설, 4대가도 정비 등 대규모 토목공사를 펼친다. 트라야누스 광장도 이때 완성하였다. 또한 정복사업으로 메소포타미아, 페르시아, 시리아, 아르메니아 등지를 정ㅂ고해 속주로 만들고 인도양까지 세를 넓혔다. 북쪽으로는 잉글랜드, 남쪽으로는 북아프리카, 서쪽으로는 대서양 연안, 동쪽으로는 메소포타미아에 이르는 제국의 판도를 만들었다.
하드리아누스(117~138년)는 관료조직정비 법률체계정리 국가 관리업무에 수완을 발휘했다. 그는 수시로 제국 전역을 순시하며 로마의 판도를 다졌고, 현재까지 전해지는 로마의 걸작들 대다수가 이때 만들어졌다. 
안토니누스 피우스(138~161년)는 황재가 되자 마자 자신의 전 재산을 국고에 헌납하고 법전 정비를 완료해 '팍스 로마나(Pax Rmana)'의 실현 근거를 마련했다 사실상의 로마 최고 전성기를 바로 이때였다. 
아우렐리우스(161~180년)는 스토아 철학의 신봉자로 철처한 금욕과 극기로 수도자적 삶을 산 황제이다. <명상록>은 스토아 철학의 정수이자 고대 로마 최고의 도덕독본이었다.

하지만 이후의 역사 다음황제 콤모두스는 국정보다는 빵과 서커스(검투)로 민중을 병들게 하였고, 페르티낙스 시대 부터는 명망의 길을 단계로 밟아 나갔다.
저자는 개략적인 왕들의 일들을 나열하는데, 이것들로 인해 로마는 점점 쇠퇴해가고 분열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면서 반란과 침입들이 일어나고 결국은 로마가 나뉘고 서로마는 476년에 동로마는 15세기에 멸망하게 된다.

저자는 로마 제국은 인과론적으로 무너진 것이 아니라, 그 자신의 무게 때문에 내려앉은 것이라 표현한다.
흥륭의 극점과 쇠망의 개시는 공교롭게도 겹친다. 흘륭의 절정에 도달할 때, 동시에 쇠망의 징조도 마나탄다. 흥륭의 이유가 쇠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우리는 로마를 번영시킨 사건과 사건이, 그리고 로마를 흥하게 한 국면과 국면의 누적이, 장기지속의 과정 속에서 결국 로마라는 거대한 구조물을 내려 앉혔다는 역설적인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우리는 자라면서 로마에 대해 많이 접할 기회가 있다. 학교에서 뿐아니라 책이나 영화, 그리고TV에서도 접한다. 유행이되고 있는 미드(미국드라마)에서도 로마에 대한 내용을 많이 다루고 있다. 롬이나 스파프타쿠스나...등등

이 책에서는 역사라는 주제로 로마의 흥륭과 쇠망의 과정을 통해서 서론에서 언급한것처럼 여러 연결고리들이 맞추어 지면서 흥하게 되고, 그로인해 여러고리들이 생겨나면서 쇠망의 길을 걷게 됨을 알리고 있다.

이처럼 우리역시 마찬가지로 그러한 길을 걸을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는 흥하기 위해서 엄청난 노력들을 한다. 하지만 유지하는 것에 대해서는 많이 놓치기에 이책의 내용은 생각을 자극해 주기에 좋은 책이라 생각된다.



...

인문의 숲에서 경영을 만나다 를 읽고 많은 생각을 할 수있었다.
그에 그치지 않고 정리를 해봄으로 다시금 좀더 깊이있게 생각을 할 수 있었다.
물론 생각들을 모두 글로 적지는 않았지만..
읽는 시간은 4시간정도 걸린것 같은데, 다시 글로 적어보는데는 10시간이 넘게 걸렸다. 
하지만 그 시간이 아깝지 않았다..물론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 했기에 다른것들을 희생시키기는 했지만... 매우 소중한 시간이었다.

지금의 생각으로는 이 책으로 확장의 시간을 가져나갈 생각이다..
물론 모두 하기에는 시간이 꽤나 많이 필요할 것이기에 다 할것이란 생각이 들지는 않지만.. 확장하여 내것으로 만드는 시간은 분명히 가질 생각이다.







Posted by WN1
,


우리는 여러명의 모험가들을 알고 있다. 콜롬보스나, 제임스 쿡, 암 스트롱, 마르코 폴로...
그러나 저자는 생소한 이름이긴 하지만 남극 탐험사에 관한 거론에서는 절대 빠지지 않는, 어니스트 섀클턴 경(Sir, Ernest Shackleton)에 대해 이야기 한다.
그는 무려 3차례에 걸쳐 남극을 탐험했다. 1901년에 로버트 스콧대령 휘하에서, 1907년 독자적으로 탐험대를 이끌고, 1914년에 세번째 남극 탐험을 떠났다.
우리는 세 번째 남극 탐험을 고려할 것이다. 무려 635일간의 사투가 진정 어떤 의미를 주는지에 대해서..

1913년 섀클턴은 "대단히 위험한 탐험에 동참할 사람을 구함. 급여는 쥐꼬리만함. 혹독한 추위와 암흑과 같은 세계에서 여러 달을 보내야 함. 탐험 기간 동안 위험은 끊임없이 계속될것이며, 무사히 귀환할 것이라는 보장도 없음. 그러나 성공할 경우 명예와 만인의 사랑과 인정을 받게 될 것임."이란 문구의 탐험대 모집 광고를 냈고, 3명의 여자를 포함한 5000여 명의 지원자 중에 각계각층의 28명 탐험대원으로 출발 하였다. 선원의 비율이 많긴 하였지만, 생물학, 지질학, 물리학, 생화학드을 전공하는 케임브리지 대학의 강사들, 어부,의사, 사진사, 조각가등 언뜻 오합지졸처럼 보이는 이들이 남극에서 극적으로 630여일을 버텨내었다.


예상 경로는 사우스조지아 섬을 출발, 웨들 해를 거쳐 남극 대륙에 상륙한 후 2400킬로미터를 걸어서 이동한 다음, 남극점을 거쳐 반대편 해안인 로스해로 빠져 나오는 것이다. 예정대로면 하루에 최소한 24킬로미터를 이동해야 했다. 

이들은 2년 넘게 걸려 버려져 있던 폴라이스 호를 인수하여 '인듀어런스(Endurance)라 부르고, 1914년 8월 1일에 출정의 돛을 올렸다. 불행하게도 출항일과 거의 동시에 1차 세계대전이 터지고 총동원령이 내렸지만, 해군성 장관이었던 윈스턴 처칠 경이 계속 항해를 하게 해 주었다.
2달 간의 항해 끝에 11월 5일, 남극 탐험의 전초 기지인 사우스조지아 섬의 그리트비켄 포경 기지에 도착했다. 다시 한 달 후인 1914년 12월 5일에 출발하여 1915년 1월 전에 웨들 해를 건너 남극 대륙에 도착하였다. 하지만 부빙들과 마주쳐 1915년 1월 18일 부빙속에 꼼짝없이 갇히게 되었다. 2월 24일 결국은 풀려나기 어렵다고 판단하여 갇힌 채 겨울을 나기로 결심한다.
드디어 5월초, 해가 마지막으로 수평선 위로 떠오랐다가 천천히 시야에서 사라졌다. 남극의 밤이 시작되어 79일간 암흑의 시간을 이겨 내야만했다. 사람은 해를 보지 못하면 우울증에 걸리는데, 다양한 부류의 사람들이 만났기에 서로에게 도움이 되었다.

8월 1일 드디어 부빙이 갈라졌지만, 더 큰 위기가 온다. 배를 둘러싸고 있던 부빙들이 배를 들이박기 시작한 것이다. 10월 27일 드디어 배를 포기하고 탈출하게 된다.
이들은 폴렛 섬을 향해 행군을 하기로 결심한다. 북서쪽으로 약 557킬로미터 떨어진 그곳에 1902년 스웨덴 탐험대가 만든 오두막과 비상 물품들이 있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이다. 짐을 최소한으로 줄이고 10월 30일 드디어 행군을 시작한다. 하지만 하루에 1킬로미터도 전진하지 못했다. 얼음위를 걷기에 보트를 들고 가야했지 때문이다.
결국 11월 1일 걸음을 멈춘 섀클턴은 일명 '오션 캠프(Ocean Camp)'를 치고 날씨가 좋아질 때까지 그곳에서 버티자고 제안한다. 이들은 이제 살아남는것이 문제였다. 오직 음식으로만 체온을 유지할 수 있었기에 고래 기름까지도 먹을 태세였다.
부징 군집은 하루 3킬로미터로 전전히 이동하엿지만 그들은 부빙위에서 북쪽으로 130킬로미터를 이동하였다. 
12월 23일 더 이상안되겠다는 판단하에 이동을 개시했지만 2킬로미터의 전진에 그쳤다. 결국 다시금 행군을 멈추고 '페이션스 캠프(Patience Camp)'를 쳤다. 1916년 4월 9일 그들은 인듀어런스 호의 목재를 이용해 선체를 보강한 3척의 보트, 제임스 커드호, 더들리 더커 호, 스탠콤 윌스 호를 바라에 띄웠다. 교대로 노를 저어가면서 힘겨운 여정을 이어가는 동안 섀클턴은 거의 잠을 자지 못하였다. 언제 어디서 부빙이나 빙산이 덮칠지 몰랐기 때문이다.
1916년 4월 15일 드디어 뭍에 발을 내려 놓았다. 출항을 시작한 날로 497일 만의 일이었다.
비록 폭 30미터 길이 15미터에 불과한 엘리펀트 섬의 귀퉁이였음에도 그들은 감격의 눈물을 흘렸다. 
그들은 쓰러지고  쉬려고만 하였으나 섀클턴은 안주하면 죽는다고 생각하여 1916년 4월 24일 5명의 대원만을 대리고 바다에 배를 띄웠다. 그는 사우스조지아 섬에 닿을 확률이 거의 희박한 것을 알았지만 모험을 시작하였다.
기다리는 이들도 언제 올지모를 사람들을 기다리며 체념할 수도 있었지만, 여러 가지 이유들을 언급하며 구조선이 오리라는 기대를 결코 놓지 않았다.

1916년 5월 10일 섀클턴과 5명의 대원들은 기어코 기적적으로 사우스조지아 섬에 도착하였다.
부서지기 직전의 보트로 섬 맞은편의 포경 기지까지 돌아가는 것은 무리였다. 대원들은 고개를 저엇던 해발 3000미터가 넘는 산을 넘자고 섀클턴은 말하였다. 
뜻을 같이 하기로 한 대원 2명과 산을 올랐다. 방전될 대로 방전된 상태에서 산을 오랐고 그들은 죽기를 각오하고 미끄럼 타듯 산을 내려갔다. 
 
드디어 5월 20일 3명은 스트롬니스 포경 기지에 도착하였다.

다음 날인 5월 21일 나머지 3명의 대원이 먼저 구조되고, 3일째 되는날 나머지 대원을 구조할 배가 떠났지만 불과 60여 킬로미터 앞두고 부빙 군을 만나 회항하고 말앗다. 
아직 세계대전 중이라 더 큰 배를 구하기가 어려웠다. 
4개월이 지난 8월 25일, 칠레 정부가 도움의 손길을 내밀어, 얼음 없는 바다에서만 항해하라는 조건을 달고 옐코 호를 내주었다. 
1916년 8월 30일 마침내 엘리펀트 섬이 눈앞에 보이기 시작했다. 섬에서는 기적처럼 사람들이 손을 흔들고 있었다. 쌍안경을 든 섀클턴은 서둘러 대원들의 숫자를 세어 보았다.
정확히 22명, 한 사람도 쓰러지지 않고 살아남아 있었다. 
얼마나 눈시울이 뜨거워 졌겠는가.. 이글을 치고 있는 나도 가슴이 뭉클해지는데...

비록 남극 횡단에는 실패했지만, 그는 그보다 값진 것을 얻었다. 다름 아닌 27명의 생명.
그들은 1914년 8월 1일 영국을 떠난지 760여 일만에, 1914년 12월 5일 사우스조지아 섬으로 출발한지 635일 만에 문명 세계로 쉬환할 수 있었다.

이들이 살아남을 수 있었던 것은 오직 하나, 절망을 이겨냈기 때문이다. 그들의 생환은 결국 위대함은 절망하지 않는 데서 오는 것이라는 진리를 전 세계에 공표한 것과 다름없었다.

이런 악조건 속에서 어떻게 모두 돌아 올 수 있었을까? 섀클턴의 어떤 리더십이 발휘된 것일까?
첫째, 대원들로 하여금 스스로를 주인으로 느끼게 하였다. 
'당신들이 바로 탐험의 주인'이라는 인식을 심어주어, 그들이 스스로 운면의 주인이 되었다.
둘째, 그는 불필요한 것은 가차 없이 버렸다.
배가 난파된 후 비상식량이 저장되어 있는 폴렛 검까지 약 557킬로미터를 행군할 계획이었고, 살아남기 위해 짐을 최소화했다. 생존을 위한 희망만 빼고 쓸데없는 것은 모두 버렸다.
셋째, 그는 오기를 부리지 않았다.
폴렛 섬까지의 행군은 무리라는 사실이 얼마 안가 드러나자 즉시 행군 계획을 중단했다. 그는 포기해야 할 것을 빨리 포기할 줄 알았으며, 자신의 자존심보다는 27명의 생명을 존중했다.
넷째, 그는 어떠한 위기상황에서도 미래를 준비했다.
위기 속에서도 기회를 엿보았다. 결국 그들을 살린 것은 절망적인 위기 속에서도 끊임없이 손질했던 3척의 보트였다.
다섯째, 그는 최종 목표를 잊지 않았다.
497일만에 흔들리지 않는 엘리펀트 섬 해안에 닿았을때, 안주하고 싶은 유혹이 충분히 들 만했다. 하지만 거기는 그들의 최종 목표가 아니었다. 결국 섀클턴은 대원들에게 이섬에 안착하는 것이 목표가 아님을 확실히 주지시켰다.
여섯째, 그는 과감하게 도전했다.
사우스조지아 섬에 가기위해 탈 수 있는 보트는 1척이었고, 항해마저도 해류와 바람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지만 포기하지 않고 배를 다시 얼음 바다 위에 띄웠다. 삶의 기회는 과감히 도전하는 자에게 미소를 짓는 법이다.
일곱째, 그는 끝까지 책임졌다.
기적처럼 사우스조지아 섬의 서쪽 해안에 닿았고, 다시금 선의 산 정상을 넘어 동쪽의 포경 기지에 닿았다. 그렇게 생환할 수 있었다.
하지만 섀클턴은 주위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다시 엘리펀트 섬으로 되돌아갔다. 어쩌면 영영 돌아 올 수 없을지 모르는 그 악몽 같은 바닷길을다시 거슬러간 것이다. 끝까지 책임지기 위해서.결국 남은 22명의 대원 모두를 살려냈다. 인간이란 책임지는 만큼 존재한다. 

섀클턴과 27명의 대원은 애초 계획인 남극 횡단에는 실패했다. 하지만 실패는 실패로 끝나지 않았다. 그 어떤 성공보다도 위대한 것을 이워냈기 때문이다. 
어떠한 악조건 속에서도 절망하지 않고 불굴의 의지를 펼쳐 보임으로써 도전와 모험의 위대함을 일깨워 주었다. 

그로부터 5년 후인 1921년 9월 17일, 섀클턴은 또 다시 남극을 향해 떠났다. 그리고 남극 대륙에 다시 발을 딛기 직전에 삶을 마감했다. 시신은 사우스조지아 섬에 묻혔다. 하지만 그의 도전과 모험을 향한 열망은 지금도 살아 남아 현실에 안주하려는 우리를 깨우고 있다. 그는 지금도 말하고 있다. 
"모험하라. 오늘도 내일도 계속해서 모험하라."




부끄럽다.. 이글을 읽을때도 그랬고.. 이글을 다시 올리면서도 그랬다.
악조건이 아님에도 더 이상 악조건은 없을거라 합리화하면서 진행을 멈추었던 것들이 생각난다.
솔직히 그것들에서 많은 교훈을 얻었지만, 그러면서 다시금 그런 시간이 되면 그러하지 않고 어떠한 것이 와도 부딪힐수 있을 거라는 생각만하였지. 
스스로 만들어 내고 부딪히고 헤쳐나가려 뛰어들지 않고 안주하고 있는 모습에 나 자신이 부끄럽다.

글을 읽으때는 막연한 생각이 들고 가슴도 뭉클해서 여러가지 생각들을 못했는데, 글을 올리면서 진지하게 생각해 본다.
진정한 모험가 섀클턴이 나에게 말하고 있는듯하다.
도전하라. 무엇이든지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도전하라. 그리고 역경에 부딪히라. 또한 동료를 생각하면서 오기를 부리지 말라. 현실을 직시하고 제대로 파악해서 빠른 판단으로 역경을 역경대로만 받지, 그것을 부풀리지 말라. 어떠한 어려움이 있더라도 목표를 잊지말라.

모험.. 모험.. 
언제부턴가 쉬운것들만 찾고 계산만 해보고 있는 나 자신에게 일침을 준다.
예전 첫 배낭여행을 마치고 다시금 떠나는 두번째 여행은 나에게 잊지못할 감동과 추억을 주었다. 특히 그 여행에서 나는 스스로에게 힘든일들을 주었고, 그렇지만 즐거움을 배가 시켜 주었다.
부딪혔다. 고생을 자처했다. 그렇지만 그것들에서 제대로 된 여행을 할 수 있었다. 
다른 문화를 가진 그들의 진정한 모습들을 관찰할 수 있었고, 고통을 받는 사람들을 옆에서 지켜볼 수도 있었다. 

도전하고 모험하는 그 순간 패배를 이겨내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그들의 사진을 몇 장 올려 본다.

Posted by WN1
,


'전술'이란 단어는 전쟁을 통해서 나온 단어이다.
또한 '전략'이란 단어 역시 전쟁을 통해서 나오고, 전쟁을 통해서 개발되어 오늘날에는 사회 전반에 걸쳐서 사용되는 단어이기도 하다. 

그러기에 저자는 전쟁파트를 시작하는 첫 머리에 '전쟁은 하나의 경영이다.'라고 시작한다.
사람을 다루고 변화에 대응하고 목표에 전진하고 승리를 추구하며, 인간을 탐구해야 하는것. 시대가 바뀌면서 전쟁양식이 변해왔듯이 경영 또한 변하고 있다고 적고있다.
그렇기에 경영인이라면 누구나 전쟁에서 승리한 이들의 이야기에 귀 기울여야 한다고 설파한다.(솔직히 경영전략연구도 전쟁에서 시작되고 있다.. 그럼에도 나는 전쟁을 잘모르고 별로 관심도 없다.. 그런데도 전략연구를 할 수는 있다...그렇게 보면 전쟁과 경영이 동떨어져있다고 볼 수도 있을텐데...ㅎㅎ 하지만 전쟁역사와 전술을 잘 알면 분명 경영에 도움이 된다는 점에는 완전 동감한다.)

책에서는 2차 세계대전을 통해 영웅으로 떠오른 4명의 장군, 오성장군인 조지 마셜, 더글러스 맥아더, 드와이트 아이젠하워, 그리고 사성장군인 조지 패튼을 언급하며 그들을 통해 핵심을 말하고 있다.
그들의 별의 개수를 합하면 19개, 지금도 사람들은 이들을 '나인틴 스타즈(Nineteen Stars)'라 부른다.. 이런걸 보면 분명 이들의 공통점에서 배울것은 크리라 생각이 된다.

더딘 진급을 견뎌낸 조지 마셜
우리로 따지면 제3사관학교쯤 되는 버지니아 주립사관학교 출신인데, 주류는 웨스트포인트 출신들이었다.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했지만 진급은 매우 더뎠다. 소위에서 중위로 진급하는데만도 5년이 걸렸고, 35살이 될때까지 중위에 머물러 있기도 했다. 
하지만 그는 전쟁이라는 특수 상황속에서 18년 만에 준장을 달았고 육군 참모총장이 되는 기간은 준장이 된지 단 3년이 걸렸다. 
승리할 수 있는 사람을 선택하라
조지 마셜은 사람을 대하는 데 3가지 원칙을 갖고 있었다.
첫째, 상대방을 명예롭게 하라.
둘째, 일을 맡겼다면 끝까지 믿고 기다리며 배려하라.
셋째, 정직한 실수라면 관용을 베푸는 데 인색치 말라.
그는 1927~1932 동안 포트베닝 보병학교 부교장으로 근무할때, 강당마다의 이름을 강당을 짓는데 목수로 동원된 부사관들의 이름을 붙였다. 또한 그는 육군참모총장으로 2차 세계대전을 승리로 이끌고는 "내가 한 일은 그저 승리할 수 있는 사람들을 선택한 것 뿐이다."라고 하였다.
이때 그가 발탁한 여러명 중에 아이젠하워 대통령도 있었다. 
조지 마셜이 한 말처럼 승리할 수 잇는 사람을 선택한 것뿐이 우리가 할 수 있는 전부이다.
마셜이 워싱턴에 없으면 편히 잘 수 없다
2차 세계대전 당시 유렵에서 오버로드 작전(일명 노르망디 상륙작전)을 지휘할 최고사령관을 뽑아야 할때, 스탈린과 처칠은 마셜을 점찍었다. 
하지만 워싱턴 의회의 군사위원회 의원들은 쌍수를 들고 반대했다. 이유는 그의 공백때문이었다. 루스벨트도 "마셜이 워싱턴에 없으면 편히 잘 수 없다"며 마셜을 참모총장에 두고, 대신 아이젠하워를 유럽 지역 연합군 최고사령관에 올려 노르망디 상륙작전 등을 지휘하도록 했다.
진정한 리더십은 승리의 어머니다.
중대장 시절 마셜은 부대원들의 이름을 철자 하나까지 외우고 다녔다. 또한 부하들의 말뿐만 아니라 그들이 말하지 못한 생각까지도 들을 줄 아는 상관이었다. 
게다가 일희일비하지 않는 평상심을 유지하는 강한 인내심의 소유자였다.

가장 어려울 때 미래를 준비하
더글러스 맥아더(Douglas Macarthur)의 이름 앞에는 항상 '최고, 최대, 유일'이라는 수식어가 붙는다. 그는 높은 성적으로 수석졸업했고, 최연소 준장, 최연소 육군사관학교장, 최연소 오성장군, 최연소 참모총장, 타국의 원수가 된 최초의 미국인 이었으며, 장성이 된 후 3번의 전쟁에 참여한 유일한 군인이었다.
맥아더가 참모총장으로 임명된 해는 1930년, 대공황 직후엿다. 먹고사는 것 자체가 정쟁이던 시절이었지만, 지난에도 불구하고 그는 육군의 현대화를 추진했다. 그랬기에 39년 2차 세계대전이 일어나 미국이 41년 12월에 전쟁을 개시할때, 빠르게 모든것을 동원할 수 있었다.
그의 탁월한 미래예측과 준비의 리더십이었다.
패배를 패배시킬 수 있는 힘을 키워라
퇴역했던 그가 4년만인 41년에 군에 복귀하여 바탄에 있을때, 어쩔수 없이 후퇴를 하였으나 그는 늘 바탄을 생각하며 다시금 진격했다. 그리고 바탄을 장악했을때, 본재보다 맥아더는 15마일이나 앞서 나가고 있었다. 참모들이 사방에 저격수들이 잇으니 자칫 심장이 뚫릴 수 있다고 경고하였을때 "지난 3년 동안 내 심장이 아팠던 것보다 더 아프지는 않겠지!"하며 구출된 병사들에게 달려가 "꼭 돌아오겟다고 약속했는데 너무 늦었다"고 말했다.
리더십은 치욕을 뒤집어 패배를 패배시킬 수 있는 힘이다.
자신만의 스타일을 가져라
"헬멧을 쓰면 안전할지는 몰라도 리더로서의 이미지는 망치게 된다. 또한 허리에 무기를 휴대하지 않는건, 내 임무는 직접 싸우는 것이 아니라 전쟁터에서 사람들을 싸우도록 독려하고 지휘하는 것이기 때문이다."라고 하며 자신만의 스타일을 만들었다. 또한 맥아더 하면 카키색 제복과 금테를 두른 모자, 옥수수 파이프, 짙은 선글라스가 떠오르도록 독보적인 스타일을 만들기도 했다.
동시에 그는 탁월한 연설가였다. 죽은 병사들을 애도하면서 "그의 탄생이 어떠했는지는 모르지만 그의 죽음이 영광스러웠다는 사실만큼은 너무나 잘 알고 있습니다."하며 사람들의 뇌리에 깊이 각인시켰다. "노병은 죽지 않는다. 다만 사라져 갈 뿐이다."
그런 그를 두고 로버트 맥나마라의 조사는 "그는 성품과 용기 잇는 리더십 면에서 가히 당대의 전설로 남을 위대한 장군이었습니다."라고 압축하였다.

감동한 병사가 적을 이긴다
드와이트 아이젠하워(Dwight D. Eisenhower)는 경험에 의한 실력을 갖추기도 하였지만'아이크의 미소'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매력적인 웃으과 유머감각을 가지고 있어 사람들과 빠른시간내에 깊은 관계를 맺을 줄 알았다.
또한 경청과 몰입 그리고 균형을 잡을 줄 아는 사람이었다.
그는 결코 병사들을 기다리게 하지 않았고 그들과 직접 접촉함으로 '부대의 중심이라는 자부심'을 느끼게 해주었다. 다시말하면 그는 부대원들을 감동시킬줄 알았다는 것이다. 
아이젠하워 원칙, 문제를 단순화하라
그는 책상위나 공간에 4등분하여 번호를 매기고 1번 공간에는 버릴 것을, 2번 공간에는 다른 사람에게 지시해 처리할 것을, 3번 공간에는 연락할 것들을, 4번 공간에는 지금 당장 직접 처리할 것을 배치한다. 이렇게하여 문제를 간단하게 정리하여 처리함으로 지시역시도 명확하게 전달하여 제대로 진행을 시킬 수 있었다.
그는 대통령직을 수행하면서도 '아이젠하워 원칙'을 활용하여 정확하게 구분하여 처리함으로 일을 일사분란하게 진행시킬 수 있었다.

열정의 리더, 조지 패튼
조지 패튼(George S. Patton, Jr.)은 독일군들이 가장 두려워 하는 장군이었을 정도로 도발적이고 부하들을 몰아붙이기도 하였지만, 야전변원을 방문할 때마다 눈물을 글썽일 정도로 부하들을 아꼈다. 병사들이 잘 먹는지, 옷은 따뜻하게 입고 충분한 휴식을 취하는지 늘 관심을 가질 만큼 정 많은 리더 였다.
그에 더해 그가 하는 일에는 매우 열정적으로 임했기에 지장(智將)이면서도, 자신감을 고취하는 용장(勇壯)이기도 하였다.
"하루 종일 의자에 앉아서 정맥이 늘어지고 옷 꼬리가 구겨지는 장교는 필요 없다."
"손과 무릎을로 기어서라도 목표를 달성하라."
"1파인트의 땀이 1갤런의 피를 구한다."
"죽을 힘을 다해 전진하고 최상의 속력과 전투력으로 나아가라."
조지 패튼의 7가지 리더십
1. 열정을 불어넣어라.
열정을 고취시킴으로 불가능을 가능으로 만들곤 했다.
2. 병사들과 함께 뒤엉켜라.
병사들과 함께 공급 물자를 운반하고, 진차에 빠진 트럭을 병사들과 함께 밀어 올리고, 탱크 밑으로 기어 들어가 기름때를 묻혀가며 고장난 곳을 수리하느 솔선수범형 상관이었다.
3. 끊임없이 신뢰를 확인시켜 주어라.
자심감 있고 늘 당당한 태도는 불안에 떠는 병사들에게 오히려 믿음을 심어 주었다.
4. 병사들을 아껴라.
군인을 만들어내려면 적어도 18년 이상이 걸리지만, 탄약을 만드는 것은 단지 몇 달 아니, 며칠이면 된다고 생각하였다. 
5. 지체 없이 포상하라.
포상과 관련해서는 행정 절차를 생략하곤 하엿다. 
6. 무자비하게 진군하라.
"우리는 멈추지 말고 진군해야 한다. 가솔린이 떨어지면 훔쳐서라도 진군하라. 그 탓에 적이 후미에 놓이게 되는것을 두려워하지 말라. 이미 그들은 패잔병일 뿐이다. 참호르 파느라 괜한 힘 빼지 말라." , "내게 방어를 맡기려면 차라리 해임시켜 달라"
7. 번쩍번쩍 광나게 닦고 손질하라.
그는 구두 철모 관리에 신경을 썼고, 병사들에게도 주지시켰다. 심지어는 넥타이까지 매고 전투하라고 명령했다. 이것은 자신을 다듬어야만, 그 안에서 자긍심도 넘치기 때문이다. 자기긍정, 자기존중은 리더십의 기초이자 출발점이다. 자긍심을 가진 사람은 모든 일에 죽도록 최선을 다하기 때문이다.

위대한 장군의 10가지 조건
마셜, 맥아더, 아이젠하워, 패튼의 공통된 자질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인격
"리더십이란 성실하고 고결한 성품 그 자체다. 리더십이란 잘못된 모든 것에 대한 책임은 자신이 지고, 잘된 것에 대한 모든 공로는 부하에게 돌리 줄 아는 것이다." 아이젠하워 장군
2. 결정력
아이젠하워가 노르망디 상륙작전을 결정할때 그의 결정으로 모든 병사들의 생사가 걸려 있었다. 결정을 사심없이 내릴 수 있어야 한다. 사(私)가 끼면 망조가 든다.
3. 낙관
맥아더의 참모는 "그는 어떠한 상황에서도 비관적인 태도를 보이지 않은 최고의 사령관 이었다."라고 하였고, 아이젠하워는 "나느 치료 불가능한 낙관론자다."라고 하였다.
4. 준비
1,2차 세계대전에 모두 참전한 4명의 장군들은 1차 세계대전 후 20년 동안 무엇을 했을까?  그들은 '준비'를 하고 있었다.
5. 용기
패튼은 "네 자신의 두려움과 타협하지 말라." 말했다.
6. 운(運)
어쩌면 운은 둔한 맛이 있는 사람에게, 끈기를 갖고 근성으로 버티는 사람에게만 주어지는 '또 하나의 실력'인지 모른다. 그들은 모두 가지고 있었다.
7. 최고 지향
그들은 하나같이 모든 계급에서 최고가 되겠다는 마음으로 자신의 직무에 임했다. 최고가 되기를 꿈꾸어야만, 최고가 될 수 있다.
8. 믿음
매순간 삶과 죽음의 문제에 직면하는 전쟁터에서의 믿음이란, 그것 없이는 삶도 없다는 숭고한 존재에 대한 믿음과 의존을 의미한다.
9. 사랑
진정한 리더는 부하를 사랑하고 다시 그드리의 사랑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 마셜은 경제적으로 어려운 병사들의 가족까지 배려했고, 지그스와 크리스가 낡은 강의실 개축에 헌신했을 때는 그 강의실에 고작 부사관이었던 그들의 이름을 명예롭게 붙여 주었다. 맥어다늬 부하 사랑은 가히 전설적이라 할 만했으며, 아이젠하워도 그 못지않았다. 겉으론 거칠고 도발적이었던 패튼 또한 사실은 정 많고 자상한 장군이었다.
10. 상징
자신만의 상징과 스타일이 있었다. 조지 마셜은 정통파였다. 그는 오리지널 복장을 고수하고, 훈장과 기장까지 모두 달았다. 맥아더는 담배를 피우지 않을 때도 파이프를 입에 물고 있었다. 정복보다는 깃 열린 셔츠를 주로 입었고, 원수 계급장을 단 절묘하게 각이 잡힌 모자를 썼다. 아이젠하워는 허리춤까지 오는 짧은 재킷을 즐겨 입었다. 그의 미소는 별다른 설명이 필요 없는 트레이드 마크였다. 패튼은 항상 발목까지 올라오는 광이 번쩍번쩍 나는 기병대 구두를 신었다. 특이한 진주 장식이 달린 권총을 차고, 승마용 채찍을 가지고 다녔으려, 잘 닦인 헬멧을 썼다. 

마셜, 맥아더, 아이젠하워,패튼이 리더에게 보내는 4가지 메세지
1. 독서하라.
그들은 모두 읽는 데 이력이 난 사람들이었다. 마셜은 어릴때 부터 아버지 서재의 책을 닥치는 대로 읽었다. 맥아더는 7000권이 넘는 장서를 보유하고 있었다. 패튼은 틈만 나면 알렉산더, 나폴레옹, 스키피오, 크롬웰, 리, 그랜트 등 위대한 장군의 전기를 탐독했다. 아이젠하워는 참호전에 관한 모든 책을 읽었다. 
즉 그들은 인문학적 베이스를 가지고 있었고, 덕부네 전쟁에서 승리는 바로 '인간'에게 달려 잇다는 사실을 일찌감치 깨달았다. 읽어라. 읽어야 힘을 얻을 수 있다.
2. 자신부터 군기를 세워라.
병사가 군기 없이는 결코 움직이지 않는다. 패튼은 군기를 날 선 상태로 유지하고 강화하지 못하는 리더는 전쟁을 패배로 몰로 가는 잠재적 살인자와 다름 없다고 이야기했다.
3. 시간을 손에 넣어라.
제3군이 독일로 진격하기에 앞서, 패튼은 그의 부대원들을 가차 없이 강에 밀어 넣으며 말했다. "우리가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은 수백 명의 생명을 구하는 것을 의미한다... 지금 즉시 횡단을 감행한다. 필요한 장비를 어디서 어떻게 구해야 할지 걱정되지만 어쨌든 구해야 한다. 훔치든지 구걸하든지, 아니면 만들어라. 나는 하루라도 더 늙기전에 라인 강을 건널 작정이다."
4. 과감하게 공격하라.
전쟁은 이기거나 지는것이아니라 '이기거나 죽는 것'이다. 끊임없이 주도권을 쥐려고 노력해야 한다. 좀더 과감해져야 하는것도 그래서다.



저자가 다루고자 한것은 역사적인 장군들에게서 그들이 사람을 얼마나 아꼈는지 그리고 사람을 위해 그들이 희생한 것들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생각하게 해준다.
그는 사람을 죽여야 하는 전쟁을 통해서도 나의 사람들이 얼마나 중요하고 그것이 성패를 좌우한다는 것을 강조하려 하였다.
비단 전쟁만 그러겠는가..
국가적으로 아니 기업경영에서 아니 자기 자신에게 적용해 보아야 할 것이다.
우리는 개인적으로 생활하면서 사람을 죽이는 일이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우리 주변의 사람들의 마음을 얻을 수 있어야 한다.
병사는 장수에게 마음을 줄 수 있다면 그 전쟁은 승리한다. 그렇지 못하더라고 끝까지 죽는한이 있어도 장수와 함께 하려 할것이다.
우리는 총없는 전쟁터에 살고 있다고 하지 않는가.. 그렇다면 우리는 더욱 사람을 대하는 면에 있어서 그들의 마음을 얻을 수 있는 것을 생각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마음을 얻기위해 어떻게 해야할까?
나는 이책 전체에서 그리고 2권과 3권에서 통합적으로 답을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Posted by WN1
,


매너라는 말은 라틴어 '마누아리우스(manuarius)'에서 유래했는데, 'manus' 와 'arius'의 복합어이다. manus는 영어의 'hand' 즉, 손이라는 뜻이며, arius는 방식, 방법을 의미한다. 결국 매너란 손의 방법, 소능로 하는 방식, 다시말해 매우 구체적인 행위 방식을 뜻한다. 

그렇다면 매너와 에티켓은 어떠헤 다를까?
에티켓은 행동 기준이며, 매너는 그것을 행동으로 나타내는 방법이다. 이를테면 노인에게 자리르 양보해야 한다는 룰은 에티켓이고, 자리를 양보하는 행위는 매너이다.
좋은 매너는 공감과 신뢰, 감동을 준다. 프랑스에서 매너를 '삶을 멋지고 성공적으로 영위할 줄 아는 방법'이라고 정의하는 것처럼 매너는 마음의 문을 여는 열쇠이다. 
또 매너는 배려다. '역지사지(易地思之)'로 입장 바꿔 생각 할 줄 아는 것이야말로 매너의 기본이다.

저자는 매너의 개념을 이렇게 설명하고는 고대 매너의 등장을 간략히 설명하고 매너의 변천사를 3단계로 설명하고 있다.
1단계 : 중세의 봉건적 궁정예절 단계
이 단계에서는 권력이 분권화된 만큼 폭력수단, 즉 통제수단이 분산되어 있었고 따라서 본능적 충동에 대한 제재도 후대에 비해 약했다. 좋은 매너와 나쁜 매너를 구분하는 기준 역시 후대에 비해 단순하고 소박했다. 그래서 이 시대에는 친구와 적, 열광과 혐오, 좋은 사람과 나쁜 사람의 구분만이 존재했다.
2단계 : 17세기 절대주의적·귀족적 궁정 예절 단계
절대주의적 궁정예절의 단계로 봉건귀족들은 자신들만의 섬세한 감수성과 세련된 향동 양식을 발전시켜, 새로이 부상하는 부르주아계층과 구별해 왕과의 친밀도를 높이려 애쓰고 그것을 법제화 시켰다. 결국 이때의 매너는 봉건귀족들이 왕과의 친밀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의 총체였다. 즉 17세기 절대주의적 궁정예절의 단계는 매너의 세련된 절정기인 동시에 차별화의 절정기이기도 했다.
3단계 : 18~19세기 부르주아적 예절 단계
절대주의적 궁정 예절의 일부가 부르주아들에게 전파되면서 문명화도 국민적 파급의 시대를 맞는다. 매너의 국민화, 민주화가 이뤄진 셈이다. 이때부터 매너는 사람들이 다른 사람에게 기대하는 행위 패턴의 총체로 정의되기 시작했다.

결국 매너의 역사, 문명화 과정을 이끈 힘은 권력의 차이를 보존하고 그것을 유지하려는 끊임없는 노력이었다. 그렇기에 매너는 단지 외워서 되는 것이 아니라 문화를 알아야 한다. 나라마다 시대마다 매너의 정의는 다르고 달라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게 본다면 매너는 실력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래서 저자는 실학자인 이덕무(李德懋)가 쓴 <사소절(士小節)>을 언급하면서 이 책에서 말하는 예절의 기본 요소는 내사단(內四端), 외구용(外九容), 기오품(曁五品) 이다.
내사단은 인의예지, 즉 측은지심(惻隱之心, 仁), 수오지심(羞惡之心, 義), 사양지심(辭讓之心, 禮), 시비지심(是非之心, 智)으로 일종의 '원칙'이며, 기오품은 구체적인 방책으로 부자유친(父子有親), 군신유의(君臣有義), 부부유별(夫婦有別), 장유유서(長幼有序), 붕우유신(朋友有信)등 인간관계의 방법적인 측면을 이야기 한다. 
또한 외구용이란 9가지 올바른 몸가짐을 말하는 것으로  
하나, 족용중(足容重). 발을 무겁게 하라. 이는 가볍게 처신하지 말라는 의미로 안정된 자세 유지를 뜻한다. 
둘, 수용공(手容恭). 손을 공손하게 하라. 손으로 장난치지 말라는 얘기다. 성희롱, 뇌물수수 역시 손을 내밀어 생기는 일이다.
셋, 목용단(目容端). 눈은 단정하게 두어라.맑고 단정한 눈은 세상을 꿰뚫는 힘이 잇고 세상을 정화시키는 원천이 된다. 
넷, 구용지(口容止). 입을 함부로 놀리지 말라. 물고기가 입을 잘못 놀려 미끼에 걸리듯, 사람도 입을 잘못 놀리면 화를 자초한다.
다섯, 성용정(聲容靜). 말을 할때는 차분하고 조용하게 하라. 흥분해서 말하지 말라는 뜻이다.
여섯, 기용숙(氣容肅). 숨소리를 고르게 하라. 기운을 항상 단정히 하라는 말이다.
일곱, 두용직(頭容直). 머리를 곧게 세워라. 머리를 똑바로 드는 것은 떳떳함의 표현이다.
여덟, 입용덕(立容德). 서 있는 모습은 반드시 덕이 있게 하라. 의젓하게 서 있으라는 얘기다.  
아홉, 색용장(色容莊). 얼굴빛을 밝고 씩씩하게 하라. 
이것이 쉽게 보일 수도 있지만 결코 쉬운것은 아니다. 그만큼 실력으로 쌓을 수 있는것이라는 것을 표현하고 있다.

저자는 결론을 길게 늘어서 내리고 있다. 그만큼 노력이 있어야 매너를 쌓을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하려 함일 것이다.
글을 쓰는 사람들은 가능하면 요점을 잡아서 쓰려 한다. 그래야 글을 읽는 이들이 힘을 덜 들이고도 핵심을 알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여기서는 길게 늘이고 있다. 이유는 무엇일까?
'매너' 만큼은 더욱 민감하고 다양하며 그것을 인정할 수 있으면서 다양한 매너를 어느정도 이상은 익혀야 한다는 것을 표현하고 싶어서이지 않을까 생각한다.
이제 그의 한 페이지가 넘어가는 결론중에 핵심을 보자.
글로벌 리더가 되기 위해서는 항상 매너의 다양성을 인식해야 한다. 타문화 역시 존중할 줄 알아야 한다. 상대의 문화에 공감할 수 있어야 하고, 유연성을 갖춰야 한다. 동시에 그 문화에 대해 관용을 베풀 줄 알아야 하고,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어야 하며, 기꺼이 수용하고 긍정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글로벌 리더는 상대의 문화에 예의를 갖춰야 한다. 
또한 매너를 지키더라도 그로부터 비롯될 수 있는 잘못, 즉 일종의 매너리즘에 빠져서는 안된다. 매너는 항상 신선해야 한다... 진정한 매너는 어떤 법칙이나 형식에 의해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관계의 감수성을 온몸으로 익혀야 가능해진다. ... 21세기에는 매너가 곧 실력이다.



그렇다. 국제화 세계화 시대에 다양성이 공존함을 알고는 있지만 아는것으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습성까지도 어느정도는 알고 있어야 '맞고, 틀림'의 문제가 아니라 '다름'으로 인식할 수 있고, 그것은 바로 '인정'을 의미하는것이며, 그럴때 매너라는 것이 시작이 되어 가는 것이다.
들어서 아는 것과 자신이 체험하고 느껴보면서 아는 것과는 말로는 다 표현할 수 없는 차이가 있다. 
'서울 안가본 놈이 이긴다'(우기는 사람이 이긴다는 뜻으로 사용하는 표현)는 말은 이미 옛말이다. 그냥 우긴다고 될것이 아니다.
인터넷에서 무수한 정보들이 존재하고 있다. 우기지 않고 찾아보면 알 수 있는 시대이다.
그만큼 급변하고 정보가 넘쳐 나고 있기에 우긴다고 될것이 아니다. 
우리가 갖추어야 한다. 여러가지 중에 매너는 사람의 마음을 얻을 수 있는 좋은 방법 중의 하나이다. 
인문학적인 글에 사진은 동떨어진 내용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매너라고 해서 꼭 딱딱해야 하는것도 아니지 않는가. 
매너는 어렵게 키울 수 있는것도 있지만 쉽게 나타낼 수 있어야 한다.

Posted by WN1
,


새들의 노래, 귀뚜라미의 울음, 반딧불이의 불빛, 노루의 사향, 이 모두가 유혹의 다양한 수단과 방식이다. 유혹은 생명력의 발현이고, 생명이 얼마나 건강한지를 말해주는 것이다. 즉, '유혹한다'는 것은 '생동(生動)한다'는 말의 다른 표현이다.

사람은 주로 '말'로써 상대방을 유혹한다. 유혹이란 단어에서 '꾈 유(誘)'자가 '말씀 언(言)'자에 '빼어날 수(秀)'자를 합친 것이라는 사실만 봐도 알 수 있다. 역사도 증명하고 있는데, 성경의 시초부터 나온다. 여자는 뱀에게 유혹당하고, 그 여자는 남자를 유혹한다. 

이처럼 우리는 유혹 속에서 숨 쉬고, 먹고, 잠들고, 살아간다. 실제로 모든 인간은 유혹해야 살아남는다. 연인이든, 정치인이든, 상품이든, 기업이든 유혹 하지 못하면 생존할 수 없다.
그래서 우리는 유혹의 기술을 익혀야 한다.

로버트 그린(Robert Greene)은 <유혹의 기술(The Art or Seducation)>에서 대표적인 유혹자 유형 9가지를 정리한다.
1. 코케트(the Coquette) - 냉담한 나르시시스트 형
붗잡을 수 없는 그림자와 같은 유형을 말한다. 마음을 주는 척하다 갑자기 돌아서서 상대를 혼란스럽게 만들어 매달리도록 만드는 유형. 열띤 선ㄷㅇ 뒤에 갑자기 모습을 감춰 대중과의 거리를 유지했던 마오쩌둥, 부탁을 들어줄 듯 말듯하면서 늘 상대를 달아오르게 만들었던 나폴에롱의 연인 조세핀, 앤디워홀, 엘리자베스 1세등이 대표적인 인물.
2. 카리스마(the Charismatic) - 열정적인 신념가 형
불꽃처럼 사람을 강하게 끌어당기며, 분명한 목적과 신비감이 열정과 결합해 흡인력 있는 자석이 된다. 말콤엑스(미국 흑인 해방운동의 급진파 지도자), 크리슈나무르티(사상가이자 종교 지도자), 드골(프랑스의 군인이자 정치가), 잔 다르크, 나폴레옹 등이 대표인물.
2. 스타(the Star) - 신비로운 우상 형
돋보이는 형상을 유지하여, 그로인해 사람들은 자신이 보고자 하는 것을 보고, 느끼고 싶어 하는 것을 느낀다. 진짜 힘은 대리만족이다. 영화배우 마를렌느 디트리히, 존 F. 케네디 대통령, 생베르맹 백작(불사신이라 불렸던 18세기의 연금술사) 같은 유형.
4. 세이렌(the Siren) - 요부 형
성적인 매력을 극대화해 물처럼 유연하고 매혹적이다. 클레오파트라, 마릴린 먼로, 폴린 보나파르트(나폴레옹의 여동생, 색정증의 화신으로 불렸다.), 서시(西施, 춘추 시대 월나라의 미인) 등이 있다.
5. 레이크(the Rake) - 바람둥이 형
남자지만 세리렌처럼 관능적이 매력으로 마음을 잡는다. 돈 후안, 엘비스 프레슬리, 가브리엘레 단눈치오(이탈리아 문학가), 리슐리외(프랑스 정치가) 등이 유형.
6. 아이디얼 러버(the Ideal Lover) - 헌신적인 연인 형
낭만, 모험, 정신적 교감을 추구하는 이들에게 강하게 다가간다. 즉 깨진 꿈을 다시 실현시켜줄 것 같은 구원자의 모습. 카사노바는 단순히 여성을 유혹하는 것에 멈추지 않는다. 만나는 그 순간부터 상대를 연구하고 원하는 바를 미리 파악해 상대의 기분을 맞춰주었을 뿐만 아니라, 재빠르게 그 부분을 행동으로 채워주었다. 카사노바, 퐁파두르 부인, 세르게이 살티코프(러시아 예카태리나 2세의 연인으로 그녀를 위해 수많은 역경과 위험을 감수한다)등이 있다.
7. 댄디(the Dandy) - 창조족 스타일리스트 형
이들은 누군가가 원하는 라이프스타일의 모범을 보여줌으로써 사람들을 매혹시켰다. 댄디 형은 자신이 진정 원하는 삶을 스스로 만들고 싶어 하는 사람들에게는 특별히 유혹적인 존재다.
8. 내추럴(the Natural) - 천진난만 형
천진난만한 모습은 경계심이 아닌 호감을 불러일으킨다. 그들은 어린 아이의 특성을 가진 존재로, 누구나 이들 앞에서는 편안하게 자신을 열고 장난기 어린 마음으로 어린 시절로 돌아간 듯한 환상에 젖는다. 버킹엄 공작, 찰리 채플린 등이 대표 유형.
9. 차머(the Charmer) - 능란한 외교가 형
간접 조명 같은 존재, 차머는 자신을 감추고 상대를 관심의 대상으로 내세웠다. 상대를 스타로 만들어주면서, 상대로 하여금 자신에게 의지하게 만들고, 그럼으로써 상대의 뒤에서 빛을 발했다. 벤저민 디즈레일리는 빅토리아 여왕 시대의 총리로, 그가 없었다면 빅토리아 여왕도 없었을 것이다. 저우언 라이없이는 마오쩌둥도 없었다. 

효과적인 유혹의 기술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첫째, 상대를 안심시킨 후 허를 찔러라.
둘째, 대비 효과를 누려라. 지미 카터의 우유부단한 모습은 로널드 레이건의 자신감 넘치는 이미지를 더욱 부각 시켰던 것처럼, 상대의 단점과 나의 장점을 대비시킬 때 유혹의 힘은 더욱 강력해진다.
셋째, 상대의 방어 본능을 잠재워라. 상대의 경직된 마음을 누그러뜨려 방어 본능을 저하시키고, 내면 깊숙이 들어가 상대와 공감대를 형성하는 방식이다.
넷째, 유머와 풍자로 상황을 반전시켜라. 
다섯째, 이야기를 통해 유혹의 힘을 지속시켜라. 스토리를 끊임없이 이어가는 능력은 대단한 힘이자 무기다.
여섯째, 감각적인 최면 효과로 유혹하라.

유혹의 대가 5인
- 클레오파트라
그녀는 지적수준과 독특한 화장법, 그리고 상상을 넘어선 쾌락으로 국가를 유지하였다. 율리우스 카이사르와 마르쿠스 안토니우스를 유혹함으로 실현시켰다.
- 엘리자베스 1세 
그녀는 생존을 위해 끊임없이 유혹해야 함을 알고, 평생 독신으로 살면서 결혼 문제를 논란거리로 삼는 전략을 펼쳤다. 그녀는 균형잡힌 유혹의 리더십을 발휘하여 연민, 동정, 인내, 경청등 여성적인 특성과 동시에 대담하고 결단력 있고 야심찬 남성적 특징까지 고루 갖추고 있었다.
-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그에게 전쟁은 곧 정치이자 거대한 유혹이었다. 그의 일차적인 승리 비결은 민첩성에 있었지만 결정적인 승리의 비결은 적의 심리적 균형을 허무는데 있었다. 
- 존 F. 케네디
빛나는 미소와 자연스러우면서도 깔끔한 이미지, 핵전재의 위협 속에서도 외교적 승리를 이끈 두둑한 배짱, 무엇보다 국민의 마음을 사로잡고 움직인 강렬한 호소력 등이 매력이었지만, 그의 진정한 매력은 바로 '목표'에 있었다. 
- 에바 페론(에비타)
후안 페론 대령을 결국은 대통령으로 올리며 "나는 다른 사람들의 꿈이 실현되는 것을 지켜보기 위해 내 꿈을 접었습니다. 나는 내 영혼을 내 민족의 제단 앞에 기꺼이 바칠 것입니다. 나는 온몸을 바쳐 여러분 모두를 미래의 행복으로 이끄는 다리 역할을 하겠습니다. 나를 밟고 지나가세요. 해로운 조국의 웅장한 미래를 향해서요." 라며 아르헨티나 전체를 유혹하였다. 

우리 앞에 펼쳐진 시장은 '감각의 제국'과 다름없다. 그 안에서 살아남으려면 오감을 활짝 열고, 유혹의 심리학, 아니 유혹의 관계학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결국 유혹을 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첫째, 남을 따라하는 대신 자신만의 맛과 멋을 발견할 줄 아는 능력이다. 
둘째, 싫증나지 않는 새로움을 약속해야 한다.
셋째, 스스로지치지 않게 유혹 그 자체를 즐겨야 한다.
넷째, 지체하지 말고 유혹의 결실을 만끽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쉬지 말고 다시 유혹해야 한다.

유혹은 천천히 스며들 뿐, 결코 대상을 부수지는 않는다. 하지만 조용한 유혹은 결국 상대의 삶을 소리 없이 점령해 버린다. 바로 유혹은 하나의 소프트 파워 '딱딱하지 않은 말랑말랑한 것'의 힘이다. 
하버드 대학교의 조지푸 나이는 <소프트 파워>에서 "소프트 파워란 강제나 보상보다는 마음을 끄는 힘, 즉 유혹의 힘으로 원하는 것을 얻는 능력을 말한다." 라고 하였다. 
즉 진정한 힘은 '얼마나 적을 죽일 수 있는가?'라는 하드 파워의 영역이 아니라, '내 편에 설 협력자들이 얼마나 많이 있는가?'라는 소프트 파워에 있다.

따라서 우리에게 주어진 과제는 '진정한 나만의 매력은 무엇인가? 나의 소프트 파워는 무엇인가? 나의 말랑말랑한 힘은 무엇인가?' 를 치열하게 고민해 보는 일이다.



진정한 유혹이란 것은 저자가 마지막으로 강조한 것처럼 파괴하여 얻는것이 아니라 협력자를 얻는것이다.
지금의 시대는 소통의 관계를 원한다.
소통과 관계. 이것은 진정한 소프트 파워인 동시에 유혹의 핵심이다.
'천 길 물속은 알아도 사람의 속은 모른다.'는 말처럼 얼마나 사람의 마음을 얻는것이 힘이 든가를 우리는 잘 알고있다.
어렵다고 얻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 속을 알려고만 하면 알 수있는 것이 아니다. 그것을 알기위해서는 그의 마음이 나를 향하도록 해야한다. 
그렇게 되었을때 그의 속은 물속 보다 잘 알 수 있게 될지도 모른다.
아니 굳이 속을 알지 못해도 되는것 아닌가? 
상대의 마음이 나를 향하게 된다면 알지 않아도 될듯하다.
꼭 연인의 마음 뿐 아니라 나와 관계를 하는 많은 사람들을 총칭해서 보라.. 
내가 왜 모든 사람의 마음을 알아야 하는가..관계속에서 원활한 소통을 이루어 나가면 바꾸는 것이 아니라 자연스럽게 나에게로 향하는 것을 알게된다.
그러기 저자가 결론에서 '치령하게 고민해 보는'것이라 한것처럼, 노력을 끊임없이 해 나가는 것이 사람의 속을 알려하는 것보다 중요할 것이다.


















 
Posted by WN1
,


마음을 읽어야 시장을 읽는다. 
아담 스미스는 <국부론>을 쓰기 17년 전에 <도덕 감정론>을 썼는데, 이 책의 핵심 키워드는 'sympathy'이다. '더불어 느낀다' 즉, '공감(共感)'이며, 철학 용어로 풀면 '같은 마음'을 뜻하는 '동정(同情)', '동감(同感)'이다. 그는 '시장은 "마음의 움직임에 따라 가격이 형성되고, 이동하는 것"이라 말했다. 
당시에는 현실화 되지 않았지만, 200여년이 흐른 지금의 디지털 시대에 현실화 되었다. 

플로우(Flow) 개념을 창안하고 30여 년간 연구한 시카고 대학의 심리학, 교육학 교수인 미하이 칙센트미하이는 '플로우'란 시간의 흐름이나 공간, 더 나아가 자신에 대한 생각마저도 잊게 될 때으 심리적 상태라 하였다. 집중과 몰입의 요령을 가지고 깊이 빠지는 상태에서 우리의 삶도 풍요로워 진다. 

칙센트미하이와 함께 '마음연구'의 대가로 불리는 하워드 가드너는 '다중지능-창의성-리더십-마음변화의 관련성'에 주목하여 여러 저작들을 내 놓았다.

<마음의 틀> - '다중지능 이론'
첫째, 지능은 다원적이다.
둘째, 지능은 선험적으로 결정되지 않는다.
셋째, 지능은 특정한 문화적 배경과 역사적 상황 속에서 달리 평가될 수 있다.
넷째, 지능은 테스트 결과로 규정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지능은 특정한 방식으로 구체적인 형태의 정보들을 처리하는 생물심리학적 능력이라 정의하고, 인간은 다양한 정보처리 능력, 즉 '지능들'을 발달시켜 왔다고 주장한다.
첫째, 언어지능(linguistic intelligence)은 구어와 문어에 대한 민감성, 언어학습능력, 특정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언어 활용 능력 등을 포함한다. 언어 지능은 스토리텔링 능력과 직결되기에 리더의 필수적인 자격 조건이 되어가고 있다.
둘째, 논리수학지능(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은 문제를 논리적으로 분석하고 수학적인 조작을 수행하며 과학적인 방법으로 문제를 탐구하는 능력을 말한다. 최선의 결정을 내려야 하는경영자들에게도 논리수학 지능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셋째, 음악지능(musical intelligence). 대규모 조직의 경영과 오케스트라 지휘의 원칙이 흡사하다.
넷째, 공간지능(spatial intelligence)은 좁은 공간뿐 아니라 항해사나 조종사들이 경험하는 넓은 공간을 인지하고 다루는 잠재력을 말하며, 마음속에 공간적 표상이나 이미지를 구성하는 능력, 그것을 다양하게 활용하는 능력까지 포함한다.
다섯째, 신체운동능력(bodily-kinesthetic intelligence)은 문제 해결을 위해 몸 전테나 일부를 활용하는 능력.
여섯째, 대인지능(interpersonal intelligence)은 타인의 욕구와 동기, 의도를 이해하고 타인과 효과적으로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일곱째, 자성지능(intrapersonal intelligence)은 자기를 이해하고 자신의 욕망, 두려움,  재능 등을 컨트롤해 효율적인 삶을 살아가는 잠재력을 말한다. 이는 사회적 복잡성에 비례하는 지능이다. 앞으로 이 자성 지능의 중요성은 점차 커질 것이다.
여덟째, 자연지능(naturalist intelligence)은 자연 현상에 대한 유형을 규정하고 분류하는 능력을 말한다. 동식물간의 차이나 구름과 암반층, 조수의 형태등을 식별하고, 자연 안에서 다양한 생물체들과 민감하게 상호작용하는 지능이다.

하워드 가드너는 이 8개 외에 2분의 1개가 더 있다고 말하면서, '실존지능'을 언급하는데 이것은 "우리는 누구인가?  우리는 왜 여기에 존재하는가?  왜 우리는 죽는가?"와 같은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고 사색하는 인간의 능력이라고 하였다. 

대니얼 골먼은 '감성지능(emotional intelligence)'에 대해 말하며 이것은 공감하는 리더십을 위한 중요한 능력으로 간주한다.

<창조하는 마음>에서는 19세기 중반부터 20세기 전반에 걸쳐 살았던 7명의 창조적 인물들을 통해 창의성과 창조력의 다양한 발생 가능성을 강조한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논리수학 영역에서,
마하트마 간디는 대인관계 영역에서,
마샤 그레이엄은 신체운동 영역에서,
이고르 스트라빈스키는 음악 영역에서,
T.S. 엘리엇은 언어 영역에서,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자성(自省) 영역에서,
파블로 피카소는 공간 영역에서 발군의 창의성을 드러내 인물들이었다.
이러한 창의성에는 2가지 특징을 갖는다.
첫째, 10년의 숙성 기간을 거치고 나서, 10년간 발휘되고, 그 다음 10년간 다른 분야로 확산된다. '10-10-10'의 법칙. 그러고 보면 뭐든지 10년은 목숨걸고 해봐야 하는 셈이다.
둘째, 창의성은 '다섯 살 아이'의 관점에서 세상을 바라볼 때 피어난다. 모든것에 대한 경이와 풍부한 상상력과 모험심, 낯선 것에 열려있고, 새로운 가능성에 대한 욕망으로 넘쳐 나야 한다.

<이끄는 마음>에서 가드너는 '스토리텔러로서의 리더'를 강조한다. 
리더의 유형은 3가지다. 전통적인 이야기를 그대로 재현하는 리더, 전통적인 이야기를 새롭게 각색하는 리더, 완전히 새로운 이야기를 창조하는 리더다.
하워드 가드너는 20세기 정치사에서 가장 성공적인 마음 변화를 이끈 인물로 마거릿 대처를 꼽았다. 하원의원이었던 그녀는 1979년 "영국은 길을 잃었습니다."라는 슬로건으로 보수당 당수로 출마. 총리가 된 후에도 성배 수상 가운데 한 사람인 채덤 백작의 말을 인용해 "나는 이 나라를 구할 수 있는 사람이 나 외에 아무도 없다는 것을 잘 알고 있습니다.", "노도은 고장 중(Lebour isn't working)"라는 말을 남겼다. 대처는 단순하면서도 강력한 이야기와 그와 일치한 삶의 궤적을 통해 영국인들의 마음을 바꾸었다.
그런가 하면  테오도어 루스벨트 대통령의 조카이자 프랭클린 루스벨트 대통령의 아내이면서 구속받지 않는 '정신의 자유'의 상징인 엘리너 루스벨트는 "어제는 역사, 내일은 미스테리, 오늘은 선물(Yesterday is history, tomorrow is mystery, today is present)"라는 말로 사람들의 공감을 얻었고, 마틴 루터 킹 목사도 "나에겐 꿈이 있습니다(I have s dream)!"라는 유명한 연설로 사람의 마음을 움직였다. 
대인관계 영역에서 간디는 "비폭력으로 맞서라!"는 단순한 이야기로 사람들의 마음을 변화시키고 사회 운동으로 까지 발전시켰다. 

이처럼 마음을 사로잡는 이야기는 극적인 구성을 가져야 하는데, 동기를 유발시킬 수 있느 ㄴ이야기여야 하고, 기억하기 쉬워야 하며, 다채로워야 할 뿐 아니라 무엇보다 진실해야 한다. 또한 그것을 실행과 실천을 입증해야 한다. 


<변화하는 마음> - 마음의 변화란 개인이나 집단이 중요한 사안에 대해 통상적으로 생각해왔던 방식을 버리고 새로운 방법을 택하게 되는 상황을 의미한다. 이것은 변덕과는 질적으로 다르다.
'마음 변화의 7가지 지렛대' - 이것을 마거릿 대처의 이야기로 적용해 본다.
1. 이성(reason) : 관련 요소들을 확인하고 하나하나 따져본다음 전체적인 평가를 내린다.  (마거릿 대처는 쟁점을 어떻게 분석해야 할지, 쟁점의 어느 측면에서 논쟁을 집중시켜야 할지를 잘 알고 있었다.)
2. 연구 조사(research) :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방법, 혹은 통계자료를 사용한다.  (대처는 실업률과 노동쟁의, 인플레이션 수치를 정확히 차악해 이를 논쟁에 적극 활용했다.)
3. 동조(resonance) : 빈틈없는 논리, 적절한 연구 조사, 청중의 동조가 있을 때 마음 변화의 최대의 효과가 나타난다.  (대처는 자신의 메시지를 설득 가능하다고 생각되는 대상에 집중했다. 동조의 파장을 최대화하기 위해서였다.)
4. 표상의 재구성(representational redescriptions) : 마음의 변화는 그 내용이 수많은 형식들을 통해 반복적으로 제공될 때 보다 강한 확신을 줄 수 있다.  (대처는 되도록 쉽게 이야기했다. 여왕의 용거(Queen's English)가 아닌 보다 직접적이고 호소력 있는 일상어를 사용했다.)
5. 자원과 보상(resources) : 심리학적 관점에서 보상적 자원의 제공은 마음의 변화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끌어낸다.  (대처는 채찍과 당근을 활요햇다. 반기를 드는 사람에게는 채찍을, 충성을 다하는 사람에게는 반드시 당근을 베풀었다.)
6. 실제 사건들(real world events) : 실제 사건들이 마음의 변화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포클랜드 전쟁은 대처리더십의 진수를 보여준다. 1982년 영국은 포클랜드 전쟁에서 승리했지만 250명의 전사자가 발생하였다. 대처는 여름휴가를 반납하고 전사자 한 사람 한 사람을 떠올리며 유가족에게 진시어린 편지를 썼다. '철의 리더십'의 대처지만 어머니와 같은 따뜻한 모성으로 리더십을 완성하였다.)
7. 저항(resistance) : 마음의 변화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다양한 형태의 저항을 파악해야 한다.  (영국병을 치유해 영국의 영광을 되살리자는 이야기 안에서 거대한 노동조합과 싸워야 했다. 그리고 신뢰와 용기, 단순하지만 강력한 스토리텔링으로 이들의 마음속 저항 전선을 뚫어 냈다. 결과 영국은 변화할 수 있었다.)

리더는 쿨(cool)리더와 핫(hot)리더로 나눌 수 있는데, 쿨리더는 대중들을 자신으 이야기 안으로 끌어들여 그들이 추구하는 리더의 이미지와 부합하도록 만든다.(케네디나 레이건 등)
핫리더는 자기 입으로 모든 것을 말해버려 대중들이 이갸기 속에 참여하거나 상상력을 발휘할 수 없게 만든다.(존슨, 닉슨, 깅리치 등)

예술가들은 피카소처럼 추사적인 조각으로 창조하였고, 스트라빈스키와 쇤베르크는 불협화음의 악정들로 '봄의제전'이나 '달의피에로'를 만들었으며, 머스커닝엄과 게오르크 밸런치는 주제없는 순수 신체 동작만으로 무용을 만들었다. 즉 대중의 저항을 뚫고 새 시대를 열었던 것이다.


마음을 변화시키는 데는 학습 또한 큰 역할을 한다. 조직이든 개인이든 끊임없이 배워야 한다. 즉 스스로 학습의 메커니즘을 만들 줄 알아야 한다. 정확히 말하면 배움이 몸에 익어 습관화가 되어야 한다. 공부는 머리로만 하는것이 아니다. 말 그대로 진짜공부(工夫)는 '몸 공부'다.

자동차는 이미 욕망의 대상이다. 필요에만 의존했다면 자동차 시장은 이미 포화상태이었겠지만, 그 시장은 계속 팽창하고 있다.
나이키는 어떠한가.
몽블랑 만년필은,
루이뷔통 핸드맥 역시 같은 원리이다. 이제 시장은 필요가 아닌 욕망에 따라 움직이고 있다.
필요의 관점에서는 포화상태라도 욕망의 관점에서 보면 시장은 항상 불포화된 블루오션이다.
이제 마음산업(mind industry)은 제5의 산업이다. 자기 목소리를 담은 이야기여햐만 거기에 시장이 열리고 미래가 펼쳐진다.




그렇다 이제는 공감이 욕망을 불러일으켜, 어찌보면 현혹되어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몇 십년전 먹고 사는 시대에서는 욕망이란 것은 아주 일부분일 뿐이었지만 지금은 욕망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무언가의 이야기가 있지않는다면 공감을 얻을 수 없는 시대이다.
저자는 긍정심리학자들의 내용들을 언급하며, 오감뿐 아니라 육감까지 자극할 수 있기 위한 마음의 변화들을 어떻게 이끌어 낼 수 있는지를 언급하였다. 
우리는 몰입을 통해 그것들에 빠져 공감시킬 수 있는 이야기들을 만들기 위해 진짜공부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것이 경영자의 자질 뿐 아니라 개인들의 자질에서도 나타나야 한다.
사람은 쉽게 변화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변화를 익숙해 지게 하려면 그만큼의 논리적인 자료들과 반복 그리고 실제 현실에서 일어나는 이야기가 있어야 조금씩 변화될 수 있다.
다양성이 허락되고 장려되는 시대에 사람의 마음을 얻는다는 것은 그만큼 더 힘들 수도 있지만,한번 이루어내면 폭풍같은 동조를 이끌어 내어 개개인에게 욕망을 이끌어 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Posted by WN1
,


드림 소사이어티(Dream Society) - 이야기를 생산품처럼 만들어 내는 사회.

세계에서 가장 유력한 미래문제 연구 집단 중 하나인 코펜하겐 미래학 연구센터의 롤프옌센(Rolf Jensen) 소장은 1999년 보고서 <드림 소사이어티>의 서문에서 이렇게 적고 있다.
"정보화 사회의 태양이 지고 있다. 우리가 그 사회에 완전히 적응하기도 전에 말이다.... 이제 다른 형태의 사회를 맞이하고 있다. 바로 드림 소사이어티다. 이것은 신화와 꿈, 이야기(story)를 바탕으로 시장을 형성하는 새로운 사회다. 이런 맥락에서 미래의 상품은 이성이 아니라 우리의 감성에 호소할 수 있어야 한다."
"드림 소사이어티의 시장은 감성과 꿈이 지배한다. 이 시장에서 승리하려거든 이야기를 존중해야 한다. 이야기를 잉태하지 못하는 아이디어는 존재할 가치가 없다.... 소비자들은 이제 상품 그 자체를 사는 것이 아니라 상품에 얽힌 이야기를 산다. 그것을 충족시킬 수 없는 상품은 도태되고 말 것이다. 기업과 시장을 주도하려거든 이야기꾼(storyteller)이 되어라. 그것이 정보화 사회 이후에 도래할 드림 소사이어티를 살아가는 최선의 방법이다."

미래는 꿈과 감성과 이야기를 파는 사회, 즉 이야기를 바탕으로 성공하는 사회다.

드림 소사이어티에서는 감성의 시장이 더욱 활짝 열린다. 그 6대 감성시장을 살펴보면.
- 모험 판매 시장('Adventures for Sale' Market)
  일상 탈출의 욕구를 자극한다. 최대 장점은 프로 모험가들의 도전과 성패의 모든 이야기가 시장에서도 그대로 수용된다는 점이다.
- 연대감, 친밀감, 우정, 사랑을 위한 시장(Market for Togetherness, Friendship, and Love)
  같은 통신사의 번호끼리의 연대감, 같은 음료를 마시는 누군가에게서 조차 느끼는 친밀감.
디지털 시대가 도래하면서 되레 '느낌의 공동체'의 영향력이 증폭되었다.
- 관심의 시장(Market for Care)
  한때 일본에서 건너온 '다모고치'의 유행이 있었다. 이것은 과심을 가지고 보살펴야 하는 게임기였다. 최근 한국도 애완동물 시장이 성장하여 2005년 기점으로 10조원시대를 넘어섰다. 
- '나는 누구인가'의 시장('Who-Am-I' Market)
  자신을 내 보이고 싶은 추세때문에 더욱 명품시장의 활성화 되어 가고 있다. 이제는 지니고 있는 상품이 바로 그 자신이다. 
- 마음의 평안을 위한 시장(Market for Peace of Mind)
  보안 산업이 활성화 되는것도 마음의 평안을 얻기 위해서 이다.
- 신념의 시장(Market for Convictions)
  NGO 단체들이 늘어나고 기업인들은 그들의 지원하는 것, 신념의 시장에서 살아남는 하나의 방식이기도 하다.

커뮤니케이션의 본질은 설득이 아니라 공감이다. 그렇기에 리더는 더욱 이야기가 필요하고, CEO는 이야기 꾼이 되어야 한다. 시장은 현실이 아닌 꿈에 반응 하기 때문이다. 

오리엔트 특급열차
피라미드
헨리포드
스티븐 스필버그
이들은 하나같이 자신들만의 이야기를 만들어 갔다.
그렇기에 우리에게 잘 알려진 인물들이 되어 주었다.



그렇다 이 시대는 문화적인 공감을 얻어야 하며 그러기 위해 이야기거리가 되어야 한다.
개인이든 기업이든 국가이든 마찬가지로 인상적인 이야기 거리가 있어야 사람들의 호응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미 10여년 전에 정보화 시대는 넘어갔다. 그럼에도 우리는 지금 '정보화 정보화' 외치고 있지 않은가.. 뒤쳐져 있으면서 자신은 왜 잘 안되는지 궁금해 하거나 아예 포기해 버린다면 시대를 잘 못 읽고 있는 자신의 무지 때문일지도 모른다.
문화가 바뀌었다. 창조적 상상력으로 이야기꺼리가 만들어 져야 한다.
어떠한 일이든 이 원칙은 바뀌지 않는것이다.


Posted by WN1
,


저자는 디지털이란 주제를 시작하면서 '감각의 유혹'으로 글을 시작한다. 
이유는 0과 1만으로 이루어진 디지털이지만 이제는 그것마저도 감각의 융합이 있지 않다면 공감을 이끌어 낼 수 없다는 것이다.

감각의 세계는 몇가지 특지을 가진다.
1. 감각은 섞인다(fusion). 감각은 섞임 속에서 진짜 묘미를 가진다. 예로서 맛은 미각과 시각과 후각이 혼합된 것이다.
2. 감각은 움직인다(mobile). 끊임없이 움직이지 않는 감각은 결국 퇴화한다. 우리는 모두 감각의 유목민이고 감각의 보헤미안이다.
3. 감각은 느낌이다(sense). 우리는 만지며, 들으며, 맛보며, 맡으며, 보면서 느낀다. '느낌(sense)-공감(sympathy)-시너지(synergy)'의 연쇄 고리로서 진정한 감각의 파워가 생겨난다.

감각의 힘을 극대화 시키려면
1. 열어라(Let's open). 여는 만큼 느낄 수 있다.
2. 느껴라(Let's sense). 총체적으로 느낄 때, 현상을 입체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3. 상상하라(Let's imagine). 상상력은 곧 생산력이다.
4. 내버려 두어라(Let it be). 오감을 억압하지 말고 자유롭게 하라.
5. 놀아라(Let's play). 뛰어 놀수 있을 때 감각도 일상에 변화를 일으키는 진원지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말로 우리의 오감을 하나하나 분석하고, 더불어 공감각적인 능력에 대해서도 설명하면서 촉각은 태아에게 가장 먼저 발달하는 감각이며 신체적 접촉을 많이 가진 아이들의 심리적, 정신적 발달이 상대적으로 뛰어남을 강조한다. 다른 감각들은 특정 부위이지만 촉각은 몸전체에 퍼져 있는 것처럼 하이테크 시대의 하이터치를 강조한다.
후각은 추억을 기억하게 하는 요소로서 매우 큰 자리를 차지한다. 사람은 누구나 추억을 가지고 있는데, 많은 부분에서 후각을 통해 추억을 떠올린다고 한다.
청각은 자궁속의 태아에서 부터 심장 박동 소리를 들으며 평안을 느낀다.
시각은 인체의 감각중 7할이라 할 정도의 자리르 차지하는데, 구별하는 감각이기도 한데 여기서는 존버거의 <보는법>을 인용하면서 본다는 행위는 객관화 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본다는 행위 자체가 이성적인 작업임을 강조한다. 즉, 진정으로 시각을 키우려면 때로는 눈을 감아야 한다는 것이다.
미각은 맛을 느끼듯이, 디지털 시대는 맛과 미각의 스토리가 미디어를 휘덧고 있는 이유이다.
마지막으로 공감각(synesthesia)은 그리스어의 'syn(함께)'과 'aisthanesthai(지각하다)'를 합성어 이듯이 우리는 총체적이고 동시적으로 여러가지 감각들을 동시에 느끼며 자극을 받는 다는 것이다. 
이것은 디지털시대에 모든 감각들을 아울러 자극을 할 수 있어야 함과 연결시키고 있는 듯하다.

그러하기에 우리는 자신의 감각을 훈련시킬 필요가 있는데, 저자는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감각훈련법'을 소개한다.
1. 시각훈련 = 내면의 극장만들기
벽에 좋아하는 작가의 작품을 걸고 일주일간 하루 최소 5분씩 찬찬히 살피고는, 잠자리에 들때 그 그림을 세밀한 부분까지 떠올린다.
2. 청각훈련 = 고요에 귀 기울이기
가볍게 스쳐가는 바람 소리를 듣기위해 침묵과 고요가 필요하다.
3. 후각훈련 = 아로마테라피
인간은 500만 개의 후각 세포로 하루에 23,000번 이상 호흡을 하면서도 냄새에는 둔감하다. 그렇기에 아로마테라피를 즐기며 후각을 정화할 필요가 있다.
4. 미각훈련 = 맛 음미하기
천천히 먹으면서 제대로 맛을 음미할 수 있어야 한다.
5. 촉각훈련 = 상상하며 더듬기
뇌는 50만 개 이상의 촉각 센서와 20만 개 이상의 온도 센서로부터 정보를 받아들인다. 촉각을 최대화 하려면 상상하며 만져야 한다. 

이러한 감각들이 디지털 시대에 더욱 필요한 이유는 무엇일까?
디지털은 모든것을 원형 그대로 복구 할 수 있는 능력이 있기 때문이다. 
예로써 아날로그 휴대폰은 말하고 듣는 기능 뿐이었지만, 디지털 휴대폰은 느낌, 감성, 감각 즉 오감을 섞을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아날로그 미디어는 '감각의 분할'에 기초하지만, 디지털 미디어는 '감각의 융합'을 토대로 한다는 것이다.
지금의 우리는 느끼며 상상할 수 있어야 하며, 들지지 않고 보이지 않고 맡을 수 없던 경험할 수 없던 촉각들이 모두 '감각의 제국'앞에서는 가능하기에 감각의 제국으로 들어가야만 한다.

이제 감각의 제국의 지배자, 감성의 리더가 될 수 있는 덕목을 살펴보자.
1. 느림을 확보하라.
빌 게이츠틑 <생각의속도>에서 속도의 시대로 규정한다. 이렇게 속도를 내는 진짜 이유는 바로 '느림'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느림을 확보하지 못하는 속도는 진정한 속도가 아니다.
2. 상상력으로 승부하라.
히말라야 8000미터를 오르려면, 최소 5500~6000미터 사이에 베이스캠프를 친다. 백두산의 높이는 2744미터이다. 즉, 8000미터 높이라는 것은 한반도 안에 갇혀 사는 사람으로서는 상상할 수 없는 높이다. 
그렇듯이 우리는 남들이 상상할 수 없다고 생각하는 위치에 상상의 베이스캠프를 쳐야한다.
3. 차이를 드러내라.
아날로그 시대는 일사분란이 최고의 가치였다. 하지만 디지털 시대는 차이를 드러내지 못하면 도태되며, 인정받을 수 없다. 차이란 그저 튀는 것을 의미하는것이 아니라, 가능한한 일률적인 요소를 없애고, 규격과 틀을 과감히 깨고, 차이를 용인하며 즐기는 일이 필요하다. 
차이의 근원은 가지 지문, 자기 정체성에 기인한다. 
4. 느낌을 존중하라.
이제는 돈이 되냐 안되냐는 누구도 알 수 없다. 차이를 드러내는 시장이 느낌을 끌어들일 때 결정되는 것이다.
느낌을 존중하는 조직은 결국 생존하고 승리한다. 
지금은 고 감성, 하이터치가 고 부가가치를 낳는 감성 시장의 시대다 느낌을 존중하라.
5. 낯선 것과의 마주침을 즐겨라.
나와는 다른 것들과의 만남은 언제나 나를 풍성하게 만들어준다. 인간은 본래 만남 속에서 성장하는 것이다. 낯선 이들, 낯선 곳, 낯선 것이 내게 질문을 던지게 하고, 동시에 그 낯섦 속에서 문제의 해답을 찾는 일은 언제나 중요하다. 
6. 감각의 레퍼런스를 키워라.
내가 가진 레퍼런스의 두께는 곧 나의 두께다. 우리는 자신의 레퍼런스만큼 이 세상을 보고 느끼며 살아간다. 레퍼런스가 두춤한 사람은 세상을 다면적으로, 또 입체적으로 맛보고 느낀다.
레퍼런스를 키운다는 것은 책을 보고, 영화를 관람하고, 음악을 듣고, 공연을 보고, 여행하는 것들로 축적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그렇기에 올바른 선택이란 것이 필요하기도 하다.
(여기서 저자는 자신이 직접 경험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책을 보는것으로도 자신이 직접 읽고 곱씹어야 진짜가 된다고 말한다.)
7. 감각의 놀이터에서 변화와 놀자.
변화는 쫓아가야할 대상이 아니라 함께 어울려 놀아야 할 대상이다. 진짜 논다는 것은 자신의 감각에 솔직해지고, 오감을 옥죄지 않는 것이다. 자기 느낌, 감성, 감각을 자유롭게 하는 것이다. 
삶의 재미를 찾고 자기 감각에 솔직해 지자.

저자는 마지막으로 헬렌 켈러의 <사흘만 볼 수 있다면>을 인용하는데, 헬렌 켈러는 말하지도, 보지도, 듣지도 못하는 사람이었지만, 그녀의 표현을 보면 " 들로 산으로.. 바람에 나풀거리는 아름다운 잎사귀들, 들에 핀 예쁜 꽃들과 석야으로 빛나는 아름다운 노을을 보고 싶다. 새벽에는 먼동이 트는 웅장한 광경을, ... 저녁에는 보석 같은 밤 하늘의 별들을 보면서... " 그녀는 우기가 눈뜨고도 제대로 보지 못하는 것을 그녀는 눈을 감고도 느꼈음을 알수가 있다. 즉 그녀는 '감각의 달인'이라는 것이다.



디지털... 우리는 디지털로 인해 실제 경험의 폭이 점점 줄어가고 있다. 그럼에도 디지털로 인해 더 많은 것들을 경험할 수 있기도 하다.
전략적으로 디지털 시대를 살아가야 할 것이다.
그 점에서 이 챕터는 디지털 시대의 감각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느낌'에 대한 정확한 설명과 함께 우리가 어째서 느껴야 하는 지, 감각을 키워야 하는지에 대해 잘 강조해 주고 있다.
디지털은 단순하지만 매우 복잡하며 감각적인 것이다.
통섭의 시대를 열 수 있었던 것 역시 디지털의 힘에 의해서이다.

하지만 우리는 디지털 속에서 허우적거리며 더욱 감각을 죽여 나가고 있는지도 모른다.
지하철에서 한번씩 둘러보면 가장많은 것이 폰으로 자기만의 것을 하고 있다. 또한 길을 가면서도 많은 사람들이 귀에 이어폰을 꽂고 들으며 간다.
물론 공부를 하는 사람들도 있고 자신만의 음악세계를 구축하기도 하겠지만...
그것때문에 우리는 길에서 보고 느낄 수 있는 것들을 제대로 즐기지 못하기도 하고, 더욱 중요한 자신만의 사색의 시간을 가질 수 없기도 하다.
혹자는 어차피 다니면서 중요한 생각을 하지 않는거 음악이라도 듣는것이 낫다고 하긴 하지만..

우리는 감각이 그 어떤 때보다 중요한 시대에 살면서도 감각을 키우지 못하고 죽이는 경험들을 많이 하고 있다.

디지털 시대에는 상상의 힘이 가장 중요하다. 
그것이 자기를 발전시키는 원동력이 되어 줄것이다.
그 상상이 통섭을 만들었고 지금 누구나 편하게 생활하는 도구들을 만들어 내었다는 것이다.
개인이 상상의 동력을 발전시키고 생각의 샘을 계속 파 나가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지금 자신의 환경에서 할 수 있는것이 무엇인지 파악해 보라.
없다는 핑계는 대지말고, 찾아보면 분명 있다. 피상적으로 찾지 말고 곰곰히 찾아보라..
상상력은 아무것에서나 발생할 수 있다. 당신이 좋아하는것이 무엇이든 그것에서 부터 출발하면 되는 것이다.
정답이 있는것이 아니다. 지금까지 정답이라고 생각하는것은 '지금까지'이다. 앞으로는 새로운 정답이 속출할 수 있는 것이다. 그것을 당신이 만들 수 있는것이다.
'과연?'이라는 생각이 되는가? 자신을 너무 과소평가하지 말자. 

앞선 챕터2에서 창의성을 발현시키려면 마음, 머리, 손, 발이 다 움직여야 한다고 하였다.
이것들을 못 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지금..내가..할 수 있는 것이다.


Posted by WN1
,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쇠붙이에 그치지 말고 면도날이 돼라"고 말한 바 있다.

창의성을 발휘하려면 끊임없이 자신으 낯설게 해야 한다. 그래야 그 속에서 솔루션을 찾도록 만들기 때문이다.

저자는 미하이 칙센트미하이 박사를 언급하면서 <창의성의 즐거움>에서 말한 창의성의 발현 3요소를 언급한다. 일련의 상징적 규칙과 절차로 이뤄진'영역', 영역으로 가는 길목에서 문지기 역할을 하는'현장', 창의성을 발휘하는 '개인'

그러면서 예로써 영국축구 프리미어에 대해 언급하는데, 영역=축구, 현장=프리리어리그, 개인=플레이어로 표현한다.

창의성이란 거대한 벽에 부딪혔을 때, 반드시 그 벽을 넘고 말겠다는 도전 의식과 필사적인 자기 투쟁의 과정 속에서 길어 올릴 수 있는 인간의 고유한 성질에 가깝다. 

칙센트 미하이는 '창의성의 중심지'를 "다양한 문화가 교차하는 곳, 여러가지 생활방식과 지식이 융합하는 곳, 사람들이 새로운 사고를 수용할 수 있을 만한 여건을 조성해 주는 곳이다"

창의의 개념을 정리해보면, 창발(creativeness)은 발상의 프로세서, 창조(creation)는 발상의 프로세스를 거친 결과로서의 산물, 창의(creativity)는 발상의 프로세스와 그 산물이나 결과를 모두 포함한다. 사실상 이 3가지는 하나다.

세계에는 정답이 없는 문제들이 훨씬 많다. 창의성은 새로운 문화를 만든다.
모방 -> 변화 -> 문화
창의성의 필수 사항이 있다면 '범상치 않은 호기심'뿐이다.

창조적 상상력을 체득하려면
첫째, 30 대 70의 원칙을 지켜라. 
자기 시간의 30%는 실질적인 업무에 쏟되, 나머지 70%는 재충저노가 여가 혹은 남들 눈에 하찮게 여겨지는 것들에 투자해야 한다.
둘째, 고전을 많이 읽어라.
고전에는 시대를 초월하는 깊이가 있다. 비단 책만이 아니라 발길이 전혀 닿지 않은 곳에 가보는 것 즉 스스로를 남들과 차별화할 수 있도록 끊임없이 낯설게 만들라는 것이다.
셋째, 몰입의 즐거움을 배워야 한다. 
미쳐야 몰입할 수 잇고 몰입해야 뭔가를 창조해낼 수 있는 것이다.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창의적 사고법 7가지
1. 호기심 - 호기심은 발며오가 발견의 발전소다.
2. 실험정신 - 무엇이든 의심하고 실험하라. 실수에서 배워라.
3. 오감 - 감각의 날을 세워라. 그만큼 세상도 열린다.
4. 낯섦 - 낯선 것에 도전하라. 낯선 것이 창의적 솔루션을 가져온다.
5. 전뇌사고 - 뇌 전체로 사고할 때 입체적인 생각이 가능하다.
6. 양손쓰기 - 육체적 성질을 고착시키지 말고, 양손 쓰기를 통해 균형 감각을 키워야 한다.
7. 연관 사고 - 모든 사물과 현상의 얽힘 속에 창의가 숨어 있다.

창의성의 발현은 일종의 정신적 레이스이며, 이것에는 지켜야할 원칙이 있다.
첫째, 페이스를 잃지 말라. 오버페이스는 완주할 수 없게 한다.
둘째, 구간 기록을 체크해야 한다.
셋째, 지난 레이스에 집착하지 않아야 한다. 
넷째, 시선을 의식하지 말아야 한다. 몰입하면 환호든 관신이든 야유든 신경 쓰지 않는다.
다섯째, 소중하게 여기는 것을 생각하고 그것을 위해 뛰어야 한다.
여섯째, 경쟁자가 아닌 목표를 보고 뛰어야 한다.
일곱째, 포기하지 말고 끝까지 달려야 한다.

윈스턴 처칠은 "Never, Never, Never Give up!" 이라 독려했듯이...


창의성 발현을 위한 5가지 
첫째, 창의성의 족쇄를 풀어라. 고정관념을 깨고, 당연하다는 사고방식을 버려라.
둘째, 생각을 줄 세우지 말라. 선형적으로 읽지 말고 입체적으로 읽어야 한다. 메모 또한 마찬가지로.
셋째, 야생의 사고를 자극하라. 내 안에 밀림 같은 놀이터를 만들고 생각들이 서로 싸우고 뒹굴게 해야 한다.
넷째,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을 하라.
다섯째, 마인드 맵핑(mind mapping)을 하라.




창의적이라는 것은... 대체 무엇을 말하는 걸까?
사람든은 많이 듣고 보기때문에 이 단어를 매우 잘 알고 있다.
하지만 그것이 진정 자신이 알고 있다고 표현할 수 있을까?
진정 안다는 것은 자신이 체득하여 느꼈을 때 안다고 할 수 있다. 그렇지 않다면 들어본것이다.

창의적인 것은 어떠한 일에서도 발생된다. 아주 중요하고 큰 일에서도 가능하지만 아주 사소하고 작은 것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현대 경영학의 대가 톰 피터스의 '리틀빅씽'은 경영학의 구루가 쓴 자기계발서이다.
여기서는 제목처럼 작지만 강한것을 중점으로 다룬다.
그도 사소한것의 강력함에 대해서 강조하는데, 탁월함을 이루기 위한 조건으로 사소한 것들에서부터 관심을 기울이고 창의적일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현대 성공한 기업들 중에는, 이러한 사소한 것부터 창의적인 문화를 형성하였다고 한다.
최근에 갈갈이 삼형제에서 벌집삼겹살 대표가 된 이승환씨의 강의를 들었는데, 그가 말에서도 사소한 것부터 창의적이 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예로써 든 붕어빵 아저씨의 성공스토리는 "왜 안돼?"로 시작하여 차별화두고 붕어빵의 인식을 전환하게 함으로 고객이 반할 수 있는 것들로 시작 하였다고 한다.
복장 간판 포장지에서 부터 서비스 정신에 고객을 즐겁게 할 수 있는 작지만 강력한 요소들을 통해 성공할 수 있었다고 한다.
또한 그는 성공기업의 조건들을 작은 가게들에 심어 문화를 형성시켰다고 했다.

스타벅스 역시 그러한 창의적인 것들로부터 시작되어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 낼 수 있었다.
물론 미국 내에서 그들은 고객들에 관심을 기울이고 감동을 줌으로 그들만의 공간은 만들어 낼 수 있었다. 당시의 미국은 커피가 5센트에 마실수 있는 것이었지만 스타벅스는 8배가 넘는 돈을 받아 내면서도 사람들이 모이는 곳으로 만들어 내었다.

이처럼 창의적인 것은 남들과는 다른 것을 찾아내는 입체적인 사고와 연관된 사고를 하여, 늘 몰입함으로 찾아낼 수 있는 것이다.

거창하게 말하지 않아도 된다. 창의적인것은 지금 당연시 받아들이는 것을 정답이라고 생각하지 않는 것에서 시작하여 더 좋아질 수 없는가라는 의문으로 시작하면 되는 것이다.

Posted by WN1
,

중국의 강건성세(康健盛世)는 강희제(康熙帝, 1661~1722), 옹정제(雍正帝, 1772~1735), 건륭제(乾隆帝, 1735~1795)로 이어지는 청나라의 3대 133년간의 세를 칭하는 말이다. 
청나라 제4대 황제인 강희제가 국가의 토대를 마련했다면, 제5대 황제 옹정제는 건전한 기풍을 확립했고, 제6대 황제 건륭제는 선대의 정신을 계승해 강건성세를 완성시켰다.

오늘날 중국의 지도부가 벤치마킹하려는 인물이 바로 강희제이다. 
중국 역사상 최고의 성군으로 불리는 강희제는 61년간이나 황휘를 지겼으며 청나라의 실질적인 창업주이기도 하다.
강희제 리더십의 원천은 무엇보다 이재를 중히 여기는 마음이었다. 
"천리마는 어느 시대, 어디에는 있었지만 천리마를 구별할 수 있는 눈을 가진 백락(伯樂 - 춘추시대 종자 좋은 말을 고를 때 귀신겉은 눈썰리믈 발휘했던 인물)은 언제나 드물다."
즉 인재는 어디에나 있지만 그를 알아보는 눈을 가진 이는 드물다 또한 알아본다 해도 그 인재를 자기 사람으로 만들려면 마음을 얻어야 한다.

강희제는 학구열이 높은 황제였다.
유학자들로부터 서양인 신부에게서도 배우는 등 학문의 분야를 가리지 않았고, 문화활동에 까지 관여하였다. 
그는 주자학과 수학, 자연과학 등에도 정통한 호학인이었다.

강희제는 대단한 호기심의 소유자 였다.
탐구를 즐기고 천문학, 지도제작, 광학, 의학, 대수학 등에도 관심을 보였으며, 개방적이고 유연한 사고방식을 가진 사람이었다.
그리하여 그는 러시아와의 네르친스크 조약 때 예수회 선교사들을 먼저 협상 테이블에 앉히며 이들에 대한 신임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그는 한 손에는 서양 고전과 외국어를 무기로 든 탁월한 계몽군주였다.(개방적인 학구열을 지닌 인물)

그는 집무에 시달리면서도 삼번의 난을 진압하고 대만을 점령했으며 러시아 군대를 패퇴시켜 네르친스크 조약을 체결하기도 했고 티베트를 복속시키기도 하였다. 즉 강희제는 문무를 겸비한 군주였다.
강희제는 날마다 오늘이 끝일지 모른다는 각오로 살았다.

강희제는 가장 부유한 나라를 일구었으나 근검론을 쓰면서 근검절약하는 군주였다.
"모든 비용은 백성들의 피땀으로 얻어진 것이니 주인된 황제로서 절제하고 절제함은 당연한 이치가 아닌가.
또한 그는 "한 사람이 천하를 다스리는 것이지, 천하가 한 사람을 받드는 것이 아니다."라고 말함으로 '이름병'에 걸리지 앟고 물욕이나 명예욕을 탐하지 않았다.

신기미(愼機微) : 마음속에서 일어나는 사소한 잡념들을 제거하고 자신을 단속한다
덕승재(德勝才) : 덕이 재주를 이긴다.(백성들의 마음을 얻는 것은 덕이지 재주가 아니다.)
"천하의 위험을 구하는 자만이 천하를 편안하게 할 수 있고, 천하의 근심을 해결하는 자만이 천하의 즐거움을 누릴 수 있으며, 천하의 화를 구제할 수 있는 사람만이 천하의 복을 얻을 수 있다." 이것이 강희제의 통치 철학이다.

그는 고별 상유에서 "나는 천하를 보살피는 데 내 마음을 다 쏟아 부었노라"고 고백하였다.
강희제는 좋은 리더(good leader)를 넘어선 위대한 리더(great leader)였다.


옹정제 또한 끊임없이 학습하는 리더였다.
"인재를 찾는 것이 제왕의 제일가는 고충"이라 말하며 인재 확보에 혼신의 노력을 기울였다.
또한 그는 현장의 소리에 귀를 여는 황제였다. 그는 찾아오지 말고 황제게게 주접(奏摺)을 쓰라 명하고, 매일 밤잠을 설쳐가며 각지의 주접을 읽고 주비를 작성하였다.
그리고 부국강병을 위해서라면 아무리 인기 없는 정책도 과감히 밀고 나가는 실천 의지로 충만한 군주이자 '실행하는 리더'였다.(주관을 가진 실천형 리더)
또한 그는 늑대 사냥을 통해 늑대 무리의 속성을 간파하고 이를 통치에 활용하기도 하였다.(이론보다는 경험에서 배우는 것이 클 수 있다.)


건륭제는 강희제 때부터 축적된 재정을 바탕으로, 안정되고 문화적으로도 원숙한 최고의 전성기를 이룩했다.
그는 지식과 경험이 풍부했을 뿐 아니라, 문무를 겸비하고 지혜와 용맹을 갖췄으며, 성격도 자유로운 편이라 18세기 지식혁명을 이끈 문화군주였다.
그는 아버지인 옹정제처럼 인재에 모든 것이 달려있다고 보았다.
그는 역사서를 즐겨 읽고, 선대 황제를 깊이 연구하였다.
거안사위(居安思危) : 편안할 때 오히려 위태로움을 생각하라.
그는 또한 60년간 다스린 뒤 조부의 재위 기간을 고려해 자진 퇴위하고 태상황제가 되었다.

저자는 마지막에 '이제 필요한 것은 적절히 섞이는 것이다. 또 그 섞임이 자극이 되어야 한다. 낯선 것을 만들어 기존의 것에 머물거나 안주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라고 챕터를 맺는다.

강희, 옹정, 건륭이 남긴 삼제(三題)
강희, 옹정, 건륭이 오늘날 리더들에게 시사하는 바는 셀 수 없을 만큼 많다. 하지만 최소한 다음 삼제(三題)만큼은 기억해둘 필요가 있다.
"신기미(愼機微)하여 국궁진력(鞠躬盡力)하라." - 마음속에 잡념들을 제거하고 스스로를 단속하면서 몸을 굽혀 온힘을 다하라.
"위군난(爲君難)이니 견인불발(堅忍不拔)하라." - 군주가 되는 일은 지극히 어려우니 굳게 참고 견디어 흔들리지 말라.
"대공지정(大公至正)하여 협화만방(協和萬邦)하라!" - 공평하고 지극히 바른 가운데 온 세상을 평화롭게 하라.




우리네 역사를 돌아보아도 자극이 발전을 주었다.
자극을 단절하였을 때 나라나 기업이나 개인이나 정체라도 되면 좋았을테지만, 퇴보하게 되었다.
우리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자신에게 도움을 베풀어야 한다.
그러기 위한 도움은 결코 안락함이나 편안함이 아니다. 
자신을 힘들게 하고 자극이 되기 위한 것들을 제공해 주어야 한다.
사람은 누구나 편안한 것을 찾고 안락함을 찾는다. 특히나 한국은 더욱 그러한 상황을 요한다.
윗세대들과 지금 세대들은 발전의 차이가 극명한데도 불구하고 우리의 윗세대는 발전하는 시대를 살면서 안정적인것들의 최고라고 인식하고 있으나, 현재의 상태는 안정이 우리에게 줄 수 있는 것은 거의 없다는 것이다.
지금의 시대는 지식의 시대가 아니다. 그렇다고 정보의 시대도 아니다.
이런 것들은 이미 밀레니엄 때나 했던 이야기들이다. 과거 100년동안 발전한 속도보다 지금의 5년 아니 3년의 발전의 속도가 더 빠르다.
지금의 많은 정보들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 그것으로 새로운 것을 창조해 낼 수 있어야 하는 '문화창조 상상의 시대'이다.

우리는 지나온 지혜는 받아들이되, 현재의 상태에서 잘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그것은 지금 현재를 살고 있는 우리에게 통찰의 힘을 발휘하는 길이기도 하다.

지금은 자극의 시대이다 라고 표현하는 것도 무리가 없으리라 생각한다. 
그것은 자신을 끊임없이 발전시켜 나가야 하며, 그렇게 할때 부드러운 시각을 가지고 행동해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강희제 옹정제 건륭제 그들의 공통점 중에 하나는 끊임없이 학습을 하였다는 것이다.
그 시대에는 그리 많은 양이 없었음에도 그들은 학습의지를 나타냈다.
지금은 월간지 까지 합해서 하루에 나오는 책이 100여권이 된다고 한다.
일년이면 36500권이 된다. 
무수히 많은 양의 정보와 지식들이 쏟아지늗데, 그것을 선별하고 전략적으로 받아들이는 능력은 그것마저 학습에 의해 축적해 나갈 수 있다.

결국 우리가 무엇을 하든 자신을 자극해 나갈 때 자신에게 도움을 베푸는 것이며, 이러한 생각과 행동들이 지금 우리에게 가장 필요한 것 중의 하나이지 않을까 한다.


그들에게서 배울 수 있는 경영의 핵심은 무엇일까?
가장 먼저 강조할 수 있는 것은 바로 '인재'이다.
인재를 적재적소에 배치하라는 말은 우리가 너무 잘 아는 말이다. 그렇지만 그것보다도 우선해야 할 것이 리더라면 인재의 마음을 얻을 수 있어야 하며, 그러기 위해 필요한 거은 우선 리더의 마음가짐과 덕일 것이다.
능력, 열정 지략 관대.... 여러가지 요소들이 인재의 마음을 살 수 있느냐부터 고려한다면 리더는 그를 제대로 돌아보는 관점을 가질 수 있으며, 그에더해 강한 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Posted by WN1
,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내용을 보시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인문학(人文學)을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바로 통찰의 힘이다.

'12년 전 빈곤에 대한 책을 쓰기 위해 취재 중이던 언론인 얼 쇼리스(Earl Shorris)는 뉴욕의 한 교도소에서 살인 사건에 연루돼 8년째 복역 중인 비니스 워커라는 여죄수와 마주 앉았다. "사람들이 왜 가난 하다고 생각하느냐"는 다소 판에 박힌 질문에 20대 초반의 여죄수는 "시내 중심가 사람들이 누리고 있는 정신적 삶이 없기 때문"이라는 의외의 답을 내놨다. 여죄수의 말이 종교적인 것을 뜻하겠거니 생각한 쇼리스가 "정신적 삶이 뭐냐"고 재차 묻자 "극장과 연주회, 박물관, 강연 같은 거죠. 그냥 인문학이요"라는 대답이 돌아왔다.'

얼 쇼리스는 '반성적이고 성찰적인 사고를 할 수 있게 된다면 삶이 달라진다. 인문학을 통해 반성적이고 성찰적인 사고를 시작하고 다른 삶을 살고 싶은 소망을 갖게 하는것'이하 하였다.

인간의 학명(學名)은 호모 사피엔스(homo sapiens)다. '생각하는 사람'이다 하지만 사람은 생각만 하고 살지 않는다. 그래서 호모 파베르(homo faber)이면서 동시에 호모 루덴스(homo ludens)다. 뭔가를 끊임없이 '만드는 사람'이면서 쉼 없지 '놀이하는 사람'인 것이다. 그런가 하면 호모 로쿠엔스(homo loquens)이면서도 동시에 호모 섹스쿠스(homo sexcus)다. '말하는 사람'이면서 동시에 '몸으로 교감하는 사람'이다.
인문학은 바로 그 사람의 다면체적이고 변화무쌍한 모습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인문학의 숨은 힘은 사람을 사람답게 만드는 힘이다.

wn1 - 저자인 정진홍씨는 SERICEO 에서 <정진홍의 감성리더십>코너를 최장기간 진행하며 변화와 혁신 그리고 창조의 감성리더십 분야를 개척하였다.
이 책은 그의 내용을 정리해서 만들어 졌는데, 오래전부터 눈에 끄는 제목이었고 좀 늦은감은 있으나 읽기 시작하였다.

책을 읽으면서 저자의 방대한 내용에 매료되어 책을 읽었다. 그래서 이 책을 읽으면서 하나하나의 주제를 따로 정리해 보는것도 매우 도움이 되지 않을까하는 생각을 하였다.

지금 서문을 시작으로 주제들을 다룰것이다. 

사람은 세상을 살아가면서 많은 일들을 경험하고 겪어야만 한다. 
종종 사람들을보고 있노라면 참 우리네가 생각없이 살아간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당연시 치부하는 일이기에 생각할 여지가 없이 보일 수 있으나, 세상을 변화시킨다는 측면에서는 이처럼 바보같은 행동도 없으리라 생각된다.
물론 모든 사람들이 세상의 변화를 꽤하는 것은 아닐것이다.
내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그런 큰 것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소소한 것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EBS 에서 '인간의 두 얼굴'이라는 프로그램을 방영한 적이 있다.
사람은 군중심리에 의해, 다수에 의해 생각없이 끌려가기도 하고, 심지어는 그것으로 인해 매우 큰 해를 입게됨에도 불구하고 따라가기도 한다.

우리가 그런 행동을 했더라도 그때그때 반성하는 시간을 갖거나 깊은 생각을 한 번만이라도 한다면 비슷한 잘못은 저지르지 않게 될 것인데,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하지 않음으로 반복된 잘못을 저지르기도 한다.

물론 그러한 것을 느끼지 못한다면 늘 불편을 감수해야 하겠지만 그것마저도 불쌍한 인간을 보이는 것이기도 할 것이다.

저자의 글처럼 인간은 생각을 할 수 있는 존재이다. 동시에 놀고 만들고 말하고 교감하며 행동을 한다. 변화무쌍한 감정과 그러한 무리들에서 예상치 못한 행동이나 결과들이 나오게 된다.
그럴때 우리가 한번쯤은 생각할 시간을 갖는 것이 얼마나 자신에게 필요한지를 기억해야 할것이다.

인문학은 우리가 사고의 통찰력을 가지도록 도움을 주는 분야이다.
사고의 힘!! 그것은 그냥 오는것이 아니다.
스스로 노력한 결과에 의해 나오는 것이며, 인과관계가 없는것처럼 보이는 것에서 공통점이나 관련성을 찾아갈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기도 하다.

그가 서문 첫 줄에서 말한 것처럼 통찰의 힘을 키워나가자.

그것을 어떻게 할 수 있을까? 

하나 하나의 단어들을 통해 힘을 키워나가 보도록 한다. ^^
Posted by WN1
,

내 책은 하루 한 뼘씩 자란다 
 양정훈 헤리티지 2010


책 제목만 보고는 '책을 쓰는 방법을 다룬 책인가' 생각하며 책을 들었다. 그리고 표지 상단에 독서법이란것을 보았다.
'어라!! 읽기법 도서구나!' 생각하며 왜 저자는 이런 제목을 정한것일까 궁금했다.
책을 읽고난 지금 책을 읽는것이 중요한것이 아니라 책을 통해 내가 얼마나 성장하는가가 중요하기에 이러한 제목을 붙인것이라 생각한다. 또한 책을 통해 신선한 질문들의 답을 찾아보려는 시도가 중요하다는 것을 새삼 느낄 수 있었다.

프롤로그에서 공병호의 [미래 인재의 조건]을 언급하며 '자기계발 실태 조사'결과를 보여주면서 시작한다.
질문) 자기계발을 하는 주요 방법은? (2개 이내로 선택)
① 독서                                    : 1,698면 (77.64%)
② 온라인 강좌                          :    552명 (25.24%)
③ 세미나, 강연회 등 부정기모임  :    579명 (26.47%)
④ 대학원 진학                          :    173명  (7.91%)
⑤ 영어 및 중국어 학원               :    301명 (13.76%)
⑥  전문 분야 학원 수강              :    162명  (7.41%)

2천 여명의 성공인을 대상으로 한 조사의 결과다. 독서의 필요성으로 정말 확실한 표현이라 생각이 든다.

저자는 독서법에 관한 내용을 다루며 여러가지 책이나 유명인의 말을 인용을 하는데, 책을 소설형식으로 구성하여 읽기편하며 쉽게 적응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하였다.

아래는 책을 읽으면서 인상적인 표현 체크를 한 내용들이다.

똑같은 빛인데 평범하게 비추면 결고 종이를 태울 수 없지만 돋보기를 사용하려 빛을 모으면 태울 수 있듯이, 우리는 인생이나 청춘을 표현할 때 '불살라본다'라는 표현을 씁니다. 집중해서 에너지를 모르지 않으면 불이 붙기 어렵겠지요

책은 지은이 생각 반, 독자들 생각 반이 합쳐질 때 새로운 의미가 생겨난다고 합니다.

자발적 시행착오를 해보기 바란다.

오늘 일어날 수 없는 일은 아무것도 없다. - 마크 트웨인

지금 같은 더위를 우리가 앞으로 몇 번이나 더 맞이할 수 잇을지 누구도 알 수 없습니다.

사람은 세 가지를 많이 만나야 하는데, 그게 바로 책, 여행, 사람이다. - 정운찬 전서울대교수

창의적 책 읽기의 3단계가 있다.
1단계는 많이 읽고 많이 기억해라.
2단계는 적게 읽고 많이 생각해라.
3단계는 적게 읽고 많이 쓰라 이다.

책 한 권을 읽으셨다면 자신이 처한 문제를 책의 내용으로 해결하는 습관을 들이셔야 합니다.

진정한 성공의 의미란 다음과 같다. 지금 다른 곳에서 살고 싶은가?  지금 이 일 말고 하고 싶은 다른 일이 있는가?   이 두 가지질문에 NO라고 대답할 수 있다면 성공한 것이다.

세상에 급한 일이란 없다. 단 일을 급할 수밖에 없게 몰아가는 어리석은 사람만 있을 뿐이다.

----------

현재 독서코칭을 하는 저자이기에 내용이 코칭과 티칭을 이어져 나간다.우선 참석자 개개인의 정보를 위해 미리 전화 인터뷰를 하고 독서모임을 진행하였는데, 독특하게도 한 권의 책이 아닌 특정한 주제와 관련된 각자의 책을 골라 오게 하여 진행을 하였다. 그렇기에 독서 진행자는 우선 책들의 내용을 온전히 알고 있는 상태에서 내용을 토대로 질문들을 이어나갔고,
질문들의 답이 디테일 하지 않으면 명확해 질때까지 연관 질문들을 해 나감으로써 참석자들이 능동적으로 토론에 참여하면서 명확한 결론들이 주어지게 진행을 하였다.

우선 자신들의 진정 바라는 바에 대해서, 그리고 납골당을 둘러보며 현재 순간의 의미를 되새기며 자신이 죽는다면 무엇이 같이 있기를 원하며 현재는 가까운 사람들이 나와 함께 무엇을 넣어줄 것인지 생각하며, 자신을 돌아보게 해 주고 있다.

SMART 
Specific(구체적) - 목표가 구체적이어야 한다.
Measurable(측정 가능한) - 범위를 지정하기
Accountable(책임질 수 있는)
Resonant(공명) - 내 꿈과 목표는 내 가슴을 울리게 해 주어야 한다.
Thrilling(흥분) - 발전욕구가 있어야 한다.

저자가 책의 내용으로 구성한 것들중에는 인용한 좋은 글구들도 많았지만 그리고 위에서도 적었지만,
'창의적 책 읽기의 3단계가 있다.
 1단계는 많이 읽고 많이 기억해라.
 2단계는 적게 읽고 많이 생각해라.
 3단계는 적게 읽고 많이 쓰라 이다.' 이 내용이 가장 마음에 담아진다.
지금 현재의 나는 어느 단계일까?
곰곰이 생각해 보게 해 주었다.... 감히 1단계는 많이 한것이라 생각한다.
2단계를 하려하고 있는 것이라 생각한다.

책을 읽으면서 코칭의 감도 익힐 수 있었고, 독서토론의 새로운 방식도 익힐 수 있었다.
또한 책은 의지를 불태우고자 하는 마음을 더욱 공고히 해주었다.
저자의 블로그를 통해 더욱 알아보고 싶은 마음을 가지게도 해 주었다.





Posted by WN1
,

책읽기의 달인 호모부커스 
이권우 그린비 


이 책은 꽤나 오래 전부터 읽어보고자 생각을 하였으나 이제서야 읽게 되었다.
읽고싶은 이유는 책 표지에 '인문학'이라는 표현을 보았기에 그러하였다.
허나 두껍지 않은 책인데도 쉽게 손이 가지가 않았다. 인문학이라해서 왠지 어렵지 않을까하는 생각 이었는지, 아니면 두껍지 않아서 그리 많은 내용이 없지는 않을까하는 생각에 손이 가지 않았는지 다른 이유가 있는건지.. 아무튼 읽어보려는 마음은 있으나 손이 잘 가지를 않았다.

하지만 최근에 이권우교수의 강의를 들을 기회가 되어 강의 듣기전에 읽어봐야겠다는 마음에 읽게 되었다.

표지 날개의 설명부터 인문학적이다.
'책에 눈멀어 책만 읽으며 살아가려는 한심한 영혼.'으로 시작하여 저자의 설명을 간략히 다루는데, 이것도 여느 책과는 좀더 다른 표현과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2008년 문화체육관광부 우수 교양도서로 선정되었기도 하다.

개인적으로 이 책은 차례가 마음에 든다.
지극히 개인적이긴한데, 내 생각과 비슷하게 주제들이 정해져 있기에 그러하다. 그렇다고 내가 인문학을 파고 드는 사람은 아니지만...
이 책은 2부로 구성되었는데, 1부는 '왜' 읽어야 하는가? 이고 
                                        2부는 '어떻게' 읽어야 하는가? 이다.
개인적으로 늘 염두에 두는 것 중의 하나인데, 무엇을 하든지 '왜'해야 하는지를 먼저 알면 동기부여가 되고, 그 다음에 '어떻게'는 방법들을 제시한다는 생각을 하는데, 이 책은 그에 맞게 차례가 구성되어 있다.

첫장부터 인문학적으로 시작한다.. 책읽기와 공자되기..

책을 읽으면서 두 가지로 분류하는 버릇을 가지고 있다.
하나는 인문학과 고전을 섭렵한 사람의 책과, 왠지 아닌것 같은 사람의 책이다.
확실히 인문학 책을 섭렵하고 있는 저자들의 책은 내용의 무게와 생각의 자극이 다름을 느낀다.
물론 예전부터 그래왔겠지만, 개인적으로 그나마 최근들어 인문학에 많은 관심을 가지려 하다보니 그렇게 보이고 있는 것이라 생각된다.

우선 1부에서는 감히 철학자의 고찰이라 표현하는 것이 맞을까..

溫故而知新(온고이지신)이라,옛것을 익혀야 새것을 배울 수 있다.

法古創新(법고창신)이라, 옛것에 충실하되 새것을 만들어 낼 줄 알아야 한다.

앞 세대가 이룬 빛나는 학문적 성취를 배우고 익혀 자기 것으로 만들어야 함을 강조하는듯 인문학적으로 접근하고 있다.

1부에서 인상적인 것이 많이 있지만 한두가지만 적어보면,

'쏟아져 나오는 새책들에 신물이 나고 반복되는 주제를 새롭게 포장해 내놓은 듯한 느낌이 들때 고전을 읽어야 한다.... 고전은 한 시대 공동체 구성원들이 지적 화두를 치열하게 고민한 흔적이다....가슴이 불타고 있는 사람들만이 고전을 읽을 수 있다.... 늘 지적 갈증에 허덕이는 사람들만이 고전을 읽을 수 있다...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사람만이 고전을 읽을 수 있다.'

'몸소 터득하게 될 터이고 직접 경험하게 될 것이니'

고전을 철학을 읽는 이들의 생각의 힘은 가치 근접하기 어려울 정도이다. 그래서 나도 한 번 해보자는 생각에 호기를 부려보기도 여러번 번번이 잘 안되었다..

하지만 이번에도 시도하고 있다. 그럼에도 아직은 손이 잘 가지 않는다. 아직 막막함이 가시질 않고 있다. 어떠한 방법이 있는건 아닐까하는 생각을 하기도 한다.

이 책에서도 고전의 즐거움이 제일 눈에 들어오더라.. 그리고 창조적 상상력의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가 생각의 깊이를 더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들이 무엇인지에 대해 이 책은 잘 설파하고 있었다.


2부에서는 '어떻게'이다.

저자는 우선 막연히 읽는 것에 대해 경계를 가져야 함을 강조하였다. 무작정 따라하는것이 아니라 좀더 비판적으로 읽고, 문제를 찾고 대안을 생각하면서 읽으라고 말하고 있다.

그러면서 '이곳저곳에서 읽은 내용을 짜집기해 자기만의 지식인 양 설레발쳐도 안 된다'고 강조하고 있다. 책을 읽어 그것이 자기안에서 경험을 이루고 느껴 자기것이 되고 난 후에 표현할 것을 말하고도 있다.

그러기 위해 몇 가지 방법을 말하는데, 

'천천히 읽기' - 즐거운 마음으로 오랫동안 책을 읽다보면 나름의 방법이 생겨나게 마련.. 천천히 읽어야 분석이 되고, 게으르게 읽어야 상상이 되고, 느긋하게 읽어야 비판할 거리가 보이는 법이라 말한다.

개인적으로도 책을 읽어가다보니 빨리읽혀진다. 책에 따라 다르긴하지만 계발서들중에 정말 쉽게 빨리 읽는 책이 있다. 하지만 아무책이나 빨리 읽게 되면 저자의 표현처럼 '읽는 것이 아니라 보는것일 뿐'이라는 느낌이 드는 책도 있다. 종류에 따라 다르겠지만 정말 천천히 읽어야 할 책이 분명 있음에 동감한다.

'읽고 토론하기' - 대화란 다른 사람의 생각을 받아들임으로써 내 생각을 발전시켜 나가는 재미있는 작업이라는 표현처럼 동일한 책을 읽고 서로간의 상황에 맞는 해석이 다름을 받아들이고 지식과 지혜의 폭을 넓히는 과정이 필요한듯하다.

최근에 독서토론 모임 몇 군데를 찾아다녀보고 있다. 내가 생각하지 못한 것들에 대해 생각해 보게도 되고, 생각은 하였으나 지나쳐간 것들에 대해 깊은 생각을 한 사람들의 표현을 들으며 나의 성의없음을 느끼기도 한다. 아쉬운것은 내 마음같지 않아 자주하는곳을 아직은 발견하지 못하였다. 그래서 될 수 있으면 많은 곳을 찾아다니며 참석하고 공유하고 정기적으로 다닐 생각이다.

솔직히 개인적으로 주에 한 번 달에 4번 정도 하면 좋을 듯 하다. 솔직히 시간이 많은 편이라 그런지 많이 했으면 한다... 이글을 보는 분중에 시간이 별로 없는 분이라면 죄송..^^

'왕도는 없으나 방법은 있다' - 무슨 일이든 왕도가 있는 것은 아니라는 생각을 한다. 공부든 일이든 취미든 무엇이든지 과정들이 쌓여 하나의 방법이 되듯이 독서 역시도 그렇다고 생각하는데, 저자도 '꾸준히 책을 읽어 나가며 방법을 바꾸다 보면 자신에게 딱 맞는 것을 찾아내게 된다'고 하고, 독서법에 대한 책들이 발간되는것을 긍정적으로 보고있다.

나 역시 독서방법에 대한 책은 거의 보고 있다. 그러면서 적용해 볼것들을 해보면 맞는 것도 있고 아닌것도 있다...따라쟁이가 되어 해볼것들을 해보다보면 어느새 나에게 맞는 것으로 변형이 되어 있음을 느끼게 된다.

'깊이 읽기와 겹쳐읽기' - 나 역시 종종 하는 방법인데, 한 권의 책이 마음에 들면 그 저자의 다른 책들도 같이 읽어버리는 경우와 읽는책과 비슷한 내용의 책들을 같이 읽어나가는 방법들이다.

개인적으로 느끼는것은 매우 유용하다는 것이다. 특히 겹쳐읽기의 경우는 하나의 주제를 정하면 보통 30-50권 정도를 우선 읽는다. 그리고 그 중에 인상적인 책들을 다시금 읽어보거나 내용을 정리한다. 이렇게 되면 전혀 모르던 분야이지만 생각보다 많은 지식을 보유하게 되더라.

그래서 늘 새로운 것을 보게되면 그와 관련된 도서를 몰아서 읽는다. 박성후씨의 책에서도 비슷한 내용이 있는데(물론 이 방법을 언급하는 사람들은 꽤 많다) 주제의 대표서적들 10권 정도를 선별하여 깊이 읽으라고 한다 반복해서..

난 좀 다르게 쉬운것부터 접근하여 대표적인 서적들로 나아가는 방법을 쓰고 있다.

방법이 다르면 어떠랴 자신만의 방법이 있다는것이 더 중요하지 않을까...!!!

저자는 겹쳐 읽기의 방법을 두 가지 설명하고도 있다.

'눈높이에 맞아야하지만 넘어서는' - 남들이 읽어보라는 책보다 지금의 내 눈높이에 맞는 책을 읽으라 한다. 그렇지만 제자리에 머무는 방식은 좋지 않으니 서서히 수준을 높이라 한다. 그는 '책 읽기의 가장 중요한 것은 습관'이라고 표현한다.

난 아직도 책 읽다가 종종 책 펴는것이 도전일 때가 있기도 하다. 아직 책 벌레가 아니어서 그런가?

'각주와 이크' - 이 책을 통해 처음 생각해 보는 방법이었다.

'자신의 세계관과 감성을 옹호하고 보충하고 지지하는 책을 읽는 행위가 각주의 책읽기'

'지적 충격을 함축한 이크의 책읽기'

생각을 넓히고 감탄하면서 책을 읽고 싶다..!!!!!!!!!!

'독후감' - '오랫동안 보아 온 것일수록 낯설게 보려 노력해야 그것의 새로운 가치를 발견할 수 있는 법이다'

'책과 말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저자와 나누는 대화를 들 수 있다. 두번째는 대중매체를 통해 저자와 만날 수 있다. 세번째는 주위 사람들과 같은 책을 읽고 토론하는 것이다. 네번째는 바로 독후감쓰기다.'

'독후감은 말 그대로 읽고 나서 느낀 소감을 적는 것이다. 책의 내용이나 얼개만 정리하는 게 아니라는 것이다. 그 책을 나의 삶이라는 문맥 속에 넣었을 때 어떤 감은이나 문제의식이 떠올랐는지가 주제가 되어야 한다. 좋은 독후감이 대체로 1인칭으로 쓰여진 이유가 여기에 있다.'

솔직히 독후감 쓰기가 매우 귀찮다. 그런데 책을 읽어가면 갈수록 더 기억하고 싶고 생각을 확장하고 싶은 욕구가 커지는데, 결국은 써봐야한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러면서도 게으름을 정당화시켜 온갖 구실로 쓰지 않는다. 

이 책을 읽으면서 이번에는 꼭 쓰자 하며 이렇게 쓰고 있다. 분명 다시 읽어보면 엉망이리라는 생각을 하겠지만 시작을 했다는것이 스스로는 대견하게 생각하자는것 외에는 아무것도 생각않기로 한다..(부디 읽으시는 분들 말이 안맞거나 얼토당토 않은 말이라 생각되면 적나라하게 비판을 해주시길...그래야 완전 정신차리지 않을까 생각한다..진심으로...^^)


"창조하는 독자 만들기" - 쓰기를 위한 읽기교육을 말하며 교육으로 책읽기를 시키자는 말도 한다. 

저자는 감사의 글 마지막줄에서 '당신이 책벌레라면 언제든 도서평론가가 될 자격이 있답니다.' 란 표현으로 책을 마무리한다. 

나는 이 문장이 마음에 확들어왔다.. 그리고 이 문장을 몇 번이고 더 보고는 책을 덮었다. 

나는 책 벌레의 수준이 아니다. 하지만 책벌레의 수준으로 향하려하고 그렇게 하고 있다. 그리고 언제가 될지는 모르지만 책벌레가 되어 나의 책을 내고 싶기도 하다. 

"세상은 우직할 정도로 '변함없이' 노력하는 자에 의해 조금씩 변화 발전한다."고 하지 않는가... 이렇게 찬찬히 가더라도 책벌레 한번 되어 보고 싶다..^^

Posted by WN1
,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내용을 보시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wn1 - 읽은지 꽤나 오래되어서 내용이 많이 기억나진 않는다.
이번에 독서모임에서 이 책을 다루게되어 다시금 읽게된다.
혹시나 하는 마음에 글을 정리한것이 있는지 찾아보니 있어서 올린다.
또한 정리한 내용들을 먼저 읽어보고는 책을 읽어야 겠다.

여자라면 힐러리처럼

                                                                                                 

                                                                                 이지성 다산북스 2007

"커다란 야망을 품었을 때라야 큰 결실을 맺을 수 있다." -힐러리 로댐 클린턴 Hillary Rodham Clinton


1장 독수리의 날개를 펼쳐라

'나는 왜 자신에게 맞지 않은 삶을 살고 있는가?'

'나는 왜 능력을 100% 발휘하고 있지 못하는가?'

'이런 상황을 변화시키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힐러리는 10대가 끝나갈 무렵 이러한 3가지 질문을 자기 자신을 향해서 쉬지 않고 던졌고, 마침내 답을 얻었다.

정신적 쿠데타에 성공하기 위해서 힐러리가 선택한 전략은 설프토크(Self-talk) 전략이었다.

거울을 보면서 "점점 더 예뻐지고 있어. 갈수록 자신감이 넘치고 있어. 내일은 오늘 보다 더 멋있어 질 거야!!"

진심이 담긴 말에는 마법 같은 힘이 있다.

과거의 자신을 버리고 새로운 자신을 창조해가는 과정이 두렵고 힘에 부치더라도 힐러리처럼 스스로를 북돋으면서 끝까지 계속해나가는 지혜와 용기를 발휘하라

그녀의 엄마인 도로시 하웰은 힐러리에게 2가지 큰 가르침을 주었다.

첫째, 물의 가르침, 즉 '수평을 유지하라'이다.

- 위기일수록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하던 일을 계속하면서 전진하는 것만이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임을 깨달았다.

- 위기 상황이 발생해도 마음의 수평을 유지하라

- 겁먹거나 걱정하지 말고 의연하게 눈앞의 상황을 응시하라.

- 앞에 던져진 장애물을 디딤돌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라. 그러면 해결 방법이 보인다.

- 동시에 하던 일을 계속하라. 흔들리지 마라.

- 아무 일도 없는 것처럼 생각하고 말하고 행동하라.

그러면 2가지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당신의 힘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둘째, 주변 사람들에게 당신은 강한 사람이라는 인상을 줄 수 있다.

둘째, 불의 가르침, 즉 '공격하라'이다.

- 지속적으로 교육시킨 3가지

첫째, 시련이 닥치더라도 반드시 살아남아라.

절대로 희생자는 되지 말라.

둘째, 누가 너를 때리거든 너는 더 세게 쳐라.

셋째, 자신의 앞길은 스스로 개척해야 한다.


2장 여자라면 힐러리처럼

그녀는 오로지 책에만 파묻혀 살았다.

그러면서도 인간이라면 누구에게나 있는 양면성이 힐러리에게도 존재했다. 힐러리는 양면성 때문에 끊임없이 고민했다. 한없이 치열하게 공부하고 싶어 하면서도, 한없이 놀고 싶어 했다.

치열하게 공부해서 뛰어난 성적을 받아야 했다.

물론 성적이 미래를 보장해주지 않는다는 것은 잘 알고 있었다. 그러나 공부마저 못한다면 미래는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라는 사실 역시 잘 알았다.

힐러리는 4가지 방법으로 내적 위기를 극복

첫째, 내면의 초점이 타인을 향하게 함으로써 우울증을 극복함.

인간은 본능적으로 자신만을 생각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이 본능을 따르면 불행해진다.

반면 본능을 이성으로 이기면, 즉 타인을 생각하면 행복해 진다.

둘째, 최고의 공부 그룹에 들어가 고급 공부법을 배웠다.

공부 천재라고 불리는 하버드 공부벌레들의 공부법을 배웠다.

물론 타학교라 멤버에 들 수 없었지만, 남자친구를 하버드 멤버를 사귐으로 여친으로 참석 참여가 가능하게 되었다.

셋째, 자신에게 심리적 최면을 걸었다.

넷째, 치열하게 공부했다.

그녀의 손에는 언제나 책이 들려 있었다.

힐러리의 세상에서 가장 능력 있는 여자를 만드는 3가지 원칙

첫째, 삶에 대한 긍정적인두려움을 가져라

예기치 못한 일이 우리 앞에 닥쳤을 때 대처할 수 있는 유일한 보험은 무슨일이든 할 수 있는 한 철저하게 준비하는것.

둘째, 불가능해 보이는 목표를 세워라.

셋째, 일보다 가정을 중요시하라.

힐러리의 가장 높은 목표를 실현시키는 5가지 방법

첫째, 스스로에게 심리적 주문을 걸어라.

"나는 내가 맞은 일을 최고로 잘할 수 있다."

"예기치 못한 상황이라도 내가 일을 최고로 잘 하는 것을 방해할 수 없다."

둘째, 어려운 일일수록 일부러 시시하게 생각하라.

남동생 휴 로댐은 "누나는 퍼스트레이디로서 기본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엄청나게 많은 의무들을 일부러 시시하게 생각했다."

셋째, 매사에 집중해서 일한다.

레베카 샐리턴은 "힐러리가 일하는 속도를 따라잡을 수 없어서 정말 힘들었다."고 고백할 정도

넷째, 가장 열심히 일한다.

클린턴의 주지사 재선운동을 지휘했을 때, 그녀는 4가지 업무를 수행하였다.

① 선거운동 관리

남편의 유세활동 전부를 체크, 유세장에서의 행동과 말을 지시, 전화까지도 지시함

② 보좌관들과 선거운동원들 지휘하는 일

③ 선거운동

남편과 똑 같이 뛰었다.

④ 엄마

남들이 한 가지 일을 할때 4가지 일을 동시에, 그것도 가장 열심히 하는 사람이었다.

다섯째, 힘든 일이 있을 때 더 열심히 일한다.

그녀는 고통스러울 때 가장 열심히 일한다.. 고 지인들은 말한다.


3장 꿈꾸는 여자 힐러리가 만난 최고의 사람들

힐러리의 꿈을 이루는 4가지 비결

첫째, 꿈의 성취를 자신의 온 존재로 확신했다는 것이다.

만일 당신이 꿈을 이루고 싶다면 먼저 주위 사람의 믿음을 얻어야 한다.

다른 사람의 신뢰를 얻기 위해서는 먼저 스스로를 철저하게 믿어야 한다.

그러면 다른 사람들은 오래지 않아 당신의 믿음에 감염되고 당신을 위해 움직이기 시작한다.

둘째, 이미 꿈이 이루어진 것처럼 행동했다.

셋째, 꿈의 설계를 완벽하게 했다.

힐러리에게 계획에 대한 성공 비결을 물으면 '계획을 세우는 데 실패하는 것은 실패하려고 계획을 세우기 때문이다'라는 문구를 보여줄 것이다.

넷째, 대가 지불을 아낌없이 했다.

언제나 편안하게 현실에 안주하는 것을 포기하고 힘들게 꿈을 위해 달렸다.

자신의 전 인생을 꿈의 대가로 지불했다.

힐러리의 평생의 멘토 두 명 - 매리언 라이트 에델만 , 재클린 케네디 오나시스

재클린은 독서관이었다.

독서관이자 퓰리처상 수상 작가인 남편 케네디조차 "어떻게 저렇게까지 책을 좋아할 수 있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말할 정도로 책을 사랑했다.

재클린은 어떤 책이든 가리지 않고 잘 읽었다.


4장 힐러리를 세상의 중심에 세운 독서법과 글쓰기

부잣집 딸들의 한계 3가지(나는 '생각없는 사람이 한계 3가지'라 생각한다)

1. 스스로 생각해서 행동하는 법이 없다.

2. 미래에 대한 장기적인 계획이 없다.

3. 모든 일을 재미로 판단한다.

위의 사람들은 늘 실패하는 독서를 해왔다는 것이다

이들은 독서보다는 TV 시청에 열을 올리고, 독서를 하더라도 두뇌에 강렬한 영감과 지적 자극을 주는 철학, 사회학 위주의 여러운 책보다는 두뇌에 별다른 지적 자극을 주지 못하는, 흥미 위주의 가벼운 소설책을 읽고 있었다.

감정 해소에는 도움이 될지 몰라도 인생을 헤쳐나가는 데 있어서는 별다른 도움을 주지 못하는 독서를 하고 있었기에 한계를 가질 수 밖에 없었다.

힐러리의 남다른 능력은 생각하는 능력이다.. 힐러리는 입체적으로 사고할 줄 안다.

힐러리의 3가지 전략

1. 자신의 미래에 대한 가장 확실한 대비책, 즉 조직의 실질적인 리더로 부상하기 위한 전략.

- 첫째, 조직원 모두가 인식하고 있지만 손대지 못하고 있는 조직의 치명적인 문제점에 대한 전혀 다른 차원의 접근법과 손쉬운 해결법 제시.

- 둘째, 조직원 누구도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조직의 문제점 발견과 이에 대한 해결법 제시

- 셋째, 조직원 모두에게 강렬한 감동을 주는 미래 비전 제시

2. 업무 관계로 나를 고용한 사람 또는 내가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사람들을 200% 만족시키는 전략.

3. 완벽한 전부 준비를 갖췄다고 확신하는 적들의 허를 찾고, 그 허를 찍러서 단숨에 승리하는 불패의 전략

힐러리의 독서법은 '존 스튜어트 밀 식 독서법'이라는 대원칙과 다음 5가지 소원칙을 사용하였다.

1. 텔레비전을 볼 시간에 책을 읽는다.

2. 책을 읽고 나면 토론을 한다.

3. 저자와 직접 만나는 기회를 자주 갖는다.

4. 10대 시절에 읽었던 책을 다시 읽는다.

5. 하나의 사건에 관련한 모든 입장을 알려고 노력한다.

힐러리는 하나의 사건에 대해 다양한 입장을 읽는 독서 습관을 통해서, 다른 누구의 의견보다 자신의 의견을 인정하고 믿고 지지하고 추진하는 능력을 갖게 되었다.


힐러리의 5가지 글쓰기 노하우

1. 작게 시작하라.

2. 양으로 승부하라.

3. 정기적으로 글을 써야만 하는 상황을 만들라.

4. 자신의 생각을, 발로 뛰어서 쓰라.

5. 글쓰기 자료 수첩을 만들어라.

Posted by WN1
,


wn1 - 사이코 패스 테스트를 하시는 분들은 본인이 직접 자신을 테스트 하는거라고 알고 있는듯 합니다.. 저도 그렇게 알고 있었는데... 그런것이 아니라고 합니다.
자신을 알고 있는 다른 사람이 자신의 모습들을 보고 테스트 해주는 거라고 하더군요.
철학전공 인문학부 교수님 한 분이 알려주셨습니다..
그렇지만 직접 제가 해보긴 했습니다..ㅎㅎ
테스트를 해보면서 자신을 한 번 돌아보기도 하고.. 나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인지 생각도 해 보았습니다...

사이코패스는 흔히 연쇄살인범이라고 잘 알려졌는데,, 실은 사이코패스 중에 성공한 CEO들도 꽤 있다고 합니다..물론 그런사람들이 모두 그런건 아니겠지요.. 
또한 군인들 중에도 꽤 있고 의사들 중에도 있다고 하더군요...
어떠한 것을 가지고 있든 자신이 가진것을 어떻게 사용하느냐 하는것도 참 중요한 것 같습니다..


사이코패스 테스트입니다.

 

문항의 내용을 보면서 더욱 사이코패스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듯 싶습니다.

 

1.아니다(0점)   2.조금그렇다(1점)   3.그렇다(2점)

 

 

1 말잘하는것을 매력으로 생각한다

 

2 자기의 가치에대해 자랑하고 다닌다

 

3 거짓말을 입에 달고산다

 

4 속임수를 경멸하거나 극단적으로 싫어한다

 

5 범죄를 저질러도 양심에 가책을 느끼지않는다

 

6 감동적인 걸봐도 감동인지 모른다

 

7 매사에 냉담하고 남이 말하는 것에 공감하지 않는다

 

8 책임감이 없거나 부족하다

 

9 일상생활에 정신적 자극이 필요하고 지루함이 많다

 

10 기생충처럼 남에게 빌붙어산다

 

11 나쁜행동을 자제할 능력이 부족하다

 

12 소년비행을 경험하거나 영유아기때 잔인한 짓을 많이 했다

 

13 현실성이 부족한 목표를 길게 끌며, 그것을 할수있다고 믿는다

 

14 매사에 충동적이다

 

15 무책임하다

 

16 소년비행을 해본적있다

 

17 약속을 잘 깬다

 

18 아무데서나 성적인 행동을 서슴치 않는다

 

19 많고 짧은 연애를 한다

 

20 범재적 재능을 타고 낫거나 재능을 이용하라고 한다

 

(이 테스트에서 30점 이상 나오면 사이코패시)

 

 

 

 

 

 

사이코패스는 죄책감을 느끼지 못하고 규범이나 규칙 약속 등에 얽매이지 않는 사람들이다. '성격 탓으로 인해 자신.타인이나 자기가 속한 사회를 괴롭히는 정신병질(精神病質)' 을 말한다. 어떤 사회악적인 행위를 태연히 벌리면서 그행위에 대한 죄책감과 상식적인 도덕심이 존재하지 않는 사람을 뜻한다.



-------



Posted by WN1
,
wn1 - 오랜만에 글을 올린다.  왜 이렇게 게으른지 시간이 나도 미루고 미루고 있었다..ㅡ.ㅡ

이 책은 부산에서 서울가는 고속버스에서 읽었던 책이나 어느정도 피곤하여 2시간은 책을 보고 2시간은 잠을 자야겠다는 생각에 책을 들었는데 책을 꼼꼼하게 읽으며 도착할때가 다 되어서야 책을 모두 읽었고, 중간에 자야한다는 생각을 잊고 있었다.
자기계발서 이지만 일반적인 책들과는 좀 다른 느낌을 받는다.
그러한 느낌을 갖게하는 작가들이 몇명있는데, 이 책의 저자역시도 그런 사람이다.
이러한 분들을 살펴보면 공통점 중의 하나는 고전을 꽤 읽었다는 사실이다.

그들의 글은 같은 한국어 이지만 틀리다.

 
미치도록 나를 바꾸고 싶을때 - 자극이 필요해!

안상헌 북포스 2009


프롤로그 - 미치도록 나를 바꾸고 싶을때 필요한 것

지금 자신의 무엇인가를 바꿔야 한다는 사실은 명확해진다. 그리고 자신을 바꾸기 위한 이런저런 방법들을 찾아보고 길을 모색해보면서 시도와 좌절을 경험한다. 이미 늦었단 말인가? 알 수 없는 실패감에 주눅들며 다시 일상으로 돌아가기를 수십 번, 변한 것은 없어보인다. 하지만 여전히 미치도록 자신을 바꾸고 싶다는 마음은 변함이 없다.

환경이나 사회를 탓하기 전에 자신부터 돌아보는 것, 이것을 기본 전제로 삼ㄱ지 않으면 어떠한 해답이나 문제해결의 실마리도 찾을 수 없다.

브라이언 트레이시 "당신이 생각하고 느끼고 행동하고 성취하는 모든 것의 95%가 '습관의 결과'라는 사실이다."


1부 삶이라는 지렛대 위에서 기우뚱거리는 나

쉿! 어느날 갑자기 훌쩍 큰 사람들이 쥔 비밀

'양극화'는 경제적인 면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부분에서도 크게 나타난다. 자극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그것으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유도해 발전의 자양분으로 삼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은 시간이 갈수록 차이가 현격하게 벌어질 뿐만 아니라 종국에는 인간의 궁극적인 목적, 즉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느냐 없느냐에 까지 영향을 미친다.

외부환경이나 '운명'과 같은 절대적으로 느껴지는 요인들도 우리가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장자(莊子)에 "일이 비록 작더라도 하지 않으면 이루어지지 않고, 자식이 비록 뛰어나더라도 가르치지 않으면 밝아지지 않는다."

인생은 오래 사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어떻게 사느냐가 중요한 것이다.

⑵ 너 자신을 알라, 그리고 ...

자기 확신이 부족하고 외부공격을 방어할 에너지가 없는 사람일수록, 압력을 가해오는 외부 자극에 강하게 영향을 받는다. 이런 외부 규정적 자극의 문제점은 스스로의 가치관을 통해 검증해볼 틈도 없이 우리의 마음에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데 있다.

‘별로 할 만한 게 없다’고 외면하는 것(열심히 해본적이 없으니 재미나 의미를 발견할 기회도 없다!)

나에게 필요한 가치가 과연 무엇인지를 판단하고, 지금 내가 서 있는 바로 이곳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면 내가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을가 고민해 보자.

세상에는 자신에게 들어온 외부자극을 마치 자신이 만들어낸 자극인 것처럼 받아들여 자기를 잃어버리는 사람들이 있다. 외부 자극이 강력하면 자기 힘으로는 어찌할 도리가 없다고 생각해 버리고는 절대권력에 절대복종한다.

홍수에 떠내려가는 돼지 신세가 되지 않으려면 외부에서 들어오는 자극들을 제대로 여과햇 흡수해야 한다. 나에게 필요한 것만 선별해서 받아들이고 그에 따른 반응까지도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진정한 ‘안전’이란 큰 차를 타거나 대기업에 다니는 것이 아니라, 안전하게 운전하고 현명한 지혜와 좋은 태도를 익히는 것이다. 오늘날 ‘힘’이라는 것은 현재 얼마나 큰 회사에 다니느냐가 아니라 자신이 월할 때 언제라도 원하는 회사로 옮겨갈 수 있는 능력이 있느냐 하는 것이다.

⑶ 나무 위에 올라가서 물고기를 구하는가?

연목구어(緣木求魚) ‘나무 위에 올라가서 물고기를 구한다’ 즉 잘못된 방법으로 목적을 이루려고 하다가는 수고만 하고 아무것도 얻지 못하게 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교육이라는 것은 어찌 보면 다른 사람들을 설득하는 일이다.

자신을 발전시키려는 사람 역시 마찬가지다. 게으름을 부리거나 멍하니 시간을 보내는 것보다 자신을 계발시킬 수 있는 학습이나 훈련과 같은 활동을 하는 것이 더욱 만족스럽고 행복한 기분이 든다는 것을 느낄 수 있는 기회를 가져야 한다. 이것이 바로 자극관리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이다.

⑷ 다시 태어나려면 하나의 세계를 파괴해야

일상의 상황을 긍정적인 자극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몇 가지 조건을 충족시켜야만 한다.

○ 관심 있는 분야에 속한 것이거나 그것과 연결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 지금 가진 능력보다 약간 수준 높은 기술이 필요한 것이어야 한다. 지나치게 수준이 낮거나 쉬운 것은 자극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없고, 반대로 수준이 너무 높거나 너무 어려우면 금세 포기하게 되기 때문이다.

○ 자극의 출처가 호감을 가진 곳이어야 한다. 싫어하는 사람으로부터 나온 자극이거나 강요하는 분위기가 역력한 반강제적인 자극은 긍정적인 자극으로 활용되지 못한다.

자극관리를 잘하는 사람은 주어진 자극을 효율적으로 이용해서 자신이 원하는 습관을 만든다.

단어를 안다는 것은 개념을 안다는 것이고 개념을 안다는 것은 그와 관련된 생각과 추론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⑸ 우리의 몸과 마음을 움직이게 하는것

1. 무엇을 할 것인가?

2. 왜 할 것인가?

3. 어떻게 할 것인가?

세 가지 질문에 대한 명쾌한 답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무슨일이 닥쳐도 흔들리지 않는다.

구체적이고 명확한 단어를 써서 한 줄의 문장으로 기록 할 수 없다면 그것은 자신이 무엇을 원하는지 아직 정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이유를 가진다는 것은 주도한다는 것이고, 주도하는 사람들에게는 고통과 위험이 따르게 마련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

⑹ 자극과 반응의 유쾌한 선순환

플로우란 어떤 행위에 깊이 몰입하여 시간의 흐름이나 공간, 더 나아가서는 자신에 대한 생각까지도 잊어버리게 될 때를 뜻하는데, 실제로 나는 내 삶에 이 플로우를 적요시켜서 재미있고 즐거운 경험들로 나를 채워나가려고 노력하고 있다.


⑺ 쏟아지는 정보와 지식, 제대로 보기

물질적으로 풍요로운 사람들은 끈기와 인내, 성실성을 끊임없이 연습하여 그것을 습관으로 정착시킬 수 있는 자극의 기회를 얻기가 어렵다. 때문에 자신의 진정성을 잃어버리고 스스로를 곤란한 상황으로 몰아갈 수도 있다.

시간관리를 강조한 피터 드러커는 지식노동자들에게 시간을 관리하려면 ‘먼저 기록부터 해야 한다’고 말했다.

우리가 성장하고자 하는 의지를 버린다거나 자극관리를 포기할 때 세상은 폭풍처럼 우리를 덮쳐온다. 원래 세상이 두려운 것이 아니라 내가 나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할 때 두려움이찾아오기 때문이다.

⑻ 3인칭 관찰자 시점으로 세상보기

2차원적인 인식은 내가 이렇게 말했을 때 상대방이 어떻게 생각할까 혹은 어떻게 반응할까를 고려하는 것이다.

순간적인 판단에 의존한다거나 단발적인 손익만 따지지 말고 다른 사람의 이해관계까지 볼 줄 아는, 좀더 깊고 넓은 시각으로 세상의 현상들을 바라볼 수 있을 때 비로소 자극에 대한 합리적인 이해가 가능하다.

3차원적 관점에서 세상을 바라보는 것은 이 모든 상황에 대한 실패 가능성과 위험성을 줄여주고 성장을 위한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는 확실한 방법이다. 그리고 다른 사람들이 세상을 어떻게 보는지에 대한 그들의 시각을 느낄 수 있고 경험할 수 있기 때문에, 거꾸로 입장을 바꿔 어떻게 하면 그들에게서 적합한 말과 행동을 이끌어 낼지도 연구할 수 있다.

물론 이것은 깨달음의 순간이 필요하고 연습이 필요하다.

⑼ 나를 바꿀 의지가 생겨나는 6가지 이유

우리에게는 언제 자신을 바꾸어야겠다는 의지가 생기는 것일까?

첫 번째, 의미를 발견할 때이다.

두 번째, 위기의식을 느낄 때이다.

세 번째, 변화해야 할 이유를 찾았을 때이다.

네 번째, 신뢰가 형성되었을 때이다.

다섯 번째, 자신이 발전한다고 느낄 때이다.

여섯 번째, 재미가 있을 때이다.

꿈을 잃으면 마음을 관리할 수 없다.

의욕상실은 대부분 두려움에서 시작된다.

⑽ 무엇을 배울 것인가? 어떻게 배울 것인가?

지식사회에서는 학습의 결과로 지식을 얻고 그것을 잘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것이 필수적이다.

인내심만 발휘하면 되었던 시대는 가고 거기에 지식을 습득하고 관리할 수 있는 능력도 추가로 필요하니, 그것이 가능해질 수 있도록 스스로 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는 것이다.

지식사회에서 학습은 노동이자 놀이다. ‘학습인’

학습은 양이 아니라 질이라는 사실을 잊지 말고 지식을 보는 눈을 키워나가야 한다.

열린 사람들은 자신에게 들어오는 다양한 자극들을 흡수할 입력 채널을 여러 개 가지고 잇다.

신문, 잡지, 인터넷, 책, 고객과의 만남 등을 자기 주관에 따라 필터링해서 모두 흡수하기 때문에 그만큼 기회가 많다.

지식사회의 자극관리를 위해서는 타이밍이 중요하다.

⑾ 깨어 있는 사람들의 비밀

왜 읽어야 하는지 이유도 모르고 책을 읽는 경우를 우리는 ‘시간을 때운다’고 한다. 마찬가지로 왜 학습하는지 ‘나만의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학습의 의미가 사라진다.

책 속의 지식보다 더 중요한 것은 바로 ‘책을 읽는다는 것’ 그것 자체입니다. 책을 읽는 사람은 항상 깨어 있을 수 있거든요. 깨어 있는 사람은 늘 자신이 원하는 바를 주도적으로 선택하기 때문에 인생이 즐겁습니다.

왜 책을 읽어야 하는지, 왜 학습해야 하는지 알고 있는가? 자기만의 이유가 있는가?

주도하는 것은 처음엔 힘이 들지만 나중에는 쉽다. 반대로 따라가는 것은 처음엔 쉬워 보이지만 갈수록 힘들고 결말도 좋지 않다.

‘미래 트렌드가 이러이러하니까 현재 상황은 이런 방향으로 갈 것입니다/’ 하고 제안하고 실천하는 사람은 실제로 미래를 그렇게 만들어버리는 사람인 것이다.

빌 게이츠는 미래를 통찰하는 힘에 대해 말하며 “세상에서 가장 가난한 사람은 돈이 없거나 배우지 못한 사람이 아니라 미래를 내다보지 못하는 사람인 것입니다.”

절실히 갈구하고 원하는 사람에게는 세상 모든 것이 아이디어의 원천이니 스스로의 마음속에 절실히 갈구하는 욕구를 품어야 한다.


2부 YES를 쥐고 가는 나, NO를 쥐고 가는 나

⑴ 소소한 자극과 반응이 모여 ‘태도’가 된다.

목적을 달성한 후에 즐기는 시간보다도 그것을 달성하는 과정이 훨씬 길다. 과정을 즐기는 게 인생을 풍요롭게 사는 핵심이다.

매 순간 균형 잡힌 시각을 잃지 않고 모든 일을 장기적으로 바라볼 수는 없다. 그러나 노력은 할 수 있다.

⑵ 의미를 발견하면 태도가 달라진다.

'무엇을 말하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말하느냐'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제가 알고 있다는 것뿐입니다.

최영미 시인은 "우리는 우리가 보고 들은 만큼만 꿈꿀 수 있다."

주도적인 정체성 확립을 위해서는 보고 듣는 것을 가장 먼저 통제해야 한다.

어차피 들어야 할 것이라면 그것을 어떻게 듣느냐는 결정할 수 있다.

주어진 상황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이미 발생한 일에 어떻게 대처하는지를 판단하는 일은 상당히 중요한 가치를 가진다.

쉬운 일은 아니지만 그런 능력을 갖기 위해서 연습하고 시도하는 사람, 훈련을 해서 조금씩 가까워지고 있는 사람은 분명히 삶을 재미있고 알차게 살아가고 있다.

⑶ '긍정'을 선택하지 않으면 '부정'에 끌려다닌다.

세상을 부정적으로 보는 이유는 자신에 대한 믿음이 약하기 때문이다

⑷ 부정적인 것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에너지

자신을 비하하는 체하는 사람은 사실은 몹시 거만한 사람이다.

삶은 죽음을 안고 있다. 우리는 살아가지만 동시에 죽어간다.

⑸ '실패'란 그저 나아지기를 그만둔 상태

실패는 약이 된다고도 하지만 그것이 계속 반복될 경우 자신에 대한 실망감이 커지면서 자기 능력에 대한 절대적인 한계를 실감하게 되고, 그러다 보면 결국 주어진 환경에 순응하기만 하는 수동적인 사람으로 전락하고 만다.

자극은 관리되어야 한다. 자극을 제대로 관리해야만 환경적인 제약 조건들을 더욱 슬기롭게 이용할 수 있다.

'실패'는 그냥 머릿속에 들어 있는 관념에 불과하지만, 사람들은 자신이 겪은 실패가 마치 자기 자신의 전부인 양 지속적인 포기상태에 머물러 실패자로 전락하고 마는 것이다.

⑹ 행복을 가로막는 부정프로그램 바꾸기

어떤 상황에 처했느냐에 따라 사물을 다르게 판단하는 이기적인 마음을 누구나 가지고 있게 마련이다.

자극도 마찬가지다. 똑같은 자극인데도 어떤 사람에게는 희망의 메시지가 되고 어떤 사람에게는 절망의 징조가 된다.

질투는 상대방보다 뛰어날 수 없을 때 생기는 감정이라서 내가 그보다 더 뛰어나면 질투할 필요가 없다. 즉 질투는 열등감의 발로다.

⑺ 한순간 태도의 차이가 엄청난 결과의 차이를 낳는다.

문제의 핵심은 바로 자극을 받아들이는 상황에 개입하여 새로운 자극을 가해야 한다는 것이다.

자극에 개입한다는 것은 자극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긍정적으로 바꿀 수 있는 '새로운' 자극을 만들어낸다는 의미다. 그것은 독서일 수도, 만남일 수도, 자신에게 선사하는 보상일 수도, 스스로 신붕하게 질문을 던져보는 것일 수도 있다.

⑻ 지루함과 무료함에서 벗어나기

자연스러운 삶은 뱀처럼 앞과 뒤가 있어서 시작하고 끝을 맺어가며 원하는 방향으로 매일 다르게 움직이며 다르게 생각한다. 만나고 부딪히는 모든 것들 속에서 다른 의미를 찾아내고 주도적으로 성장하고 변화한다. 지하철처럼 같은 레일만 앞뒤 구분 없이 오고가는 사람들은 어느 방향으로 전진해야 하는지 모른 채, 변화도 없고 발전도 없는 무의미한 반복만 소모적으로 하고 있을 뿐이다.

풍요로운 사회일수록 우울증과 대인기피증, 허무주의가 널리 퍼져 있다. 물질적으로는 부족한 게 없지만 정신적으로 아주 빈곤한 상태를 맞이하게 된 사람들은 어차피 죽을 목숨이니 고민하며 살 필요가 없다는 식으로 생각해 버린다.

너무 쉽게 몰입하고 너무 쉽게 반응하는 방식이 몸에 익숙해지면 노력의 의미, 힘들게 땀 흘리는 데서 얻는 행복과는 점점 멀어진다는 말이다. 몸뿐만 아니라 정신적으로 건강한 자극을 찾아야 하는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3부 나를 바꾸는 열다섯 가지 키워드

⑴ 자기확신-된다고 믿어보자. 어차피 손해 볼 것은 없으니까

나는 힘이 있다. 내가 나를 사랑한다면..

우리가 그토록 행복을 갈망하면서도 행복해지지 못하는 이유는 스스로가 가진 힘을 신뢰하지 않기 때문이다. 게다가 의지도 나약하고 자신감도 부족하니 무언가를 새롭게 시작하더라도 금방 포기 하게 된다.

부정적인 자극을 긍정적인 반응으로 바꾸는 프로세스는 바로 그 이유를 고민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한다.

사람들이 주도적으로 살지 못하고 '운명'이라는 그 누군가의 손에 놀아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압축할 수 있다.

첫째는 결심을 행동으로 옮기는 데 게으르다는 것이고, 둘째는 자기 스스로를 똑바로 바라보는 것을 두려워 한다는 것이다.

자신을 정확하게 볼 수 있다면 자신을 통해서 다른 사람도 꿰뚫어볼 수 있다. 그리고 나를 통해 다른 사람을 볼 수 있으니 세상도 읽을 수 있다.

우리가 경험하는 모든 것은 상대적이다.

⑵ 액션-시도하지 않는 것이 자신을 부끄럽게 한다.

무언가를 잘하지 못하는 것이 부끄러운 것이 아니라, 해보려고 시도조차 하지 않는 것이 부끄러운 것이다. 못하는 사람이야 배우고 연습하면 잘할 수 있지만, 배우거나 연습하려 하지 않는 사람은 죽을 때가지 잘 할 수 있는 기회조차 얻지 못한다.

당연히 해야 하지만 잘하지 못한다는 이유로 피한다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다.

⑶ 습관-좋은 습관을 만드는 기술과 의지

습관이라는 것은 '기술'과 '의지'가 결합되어야 만들어질 수 있다.

처음 습관을 만들 때는 의지가 중요하다. 하지만 점점 습관이 자리를 잡고 완성되어 갈수록 의지의 힘보다는 기술의 정교함이 더 중요해진다. 그래서 처음 배울 때 제대로 배워야 한다.

⑷ 양심-가장 중요하고도 강력한 자극제

양심이 있는 사람은 경험이 가진 의미를 쉽게 찾아낼 수 있다. 솔직하기 때문이다. 솔직한 사람은 사물을 있는 그대로 보고, 있는 그대로 인정할 수 있는 힘이 있다.

⑸ 낙관-잘해야만 즐길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자극은 우리에게 변화의 의지와 함께 불안도 던져준다.

불안한 상황에서는 절대 자신에게 "내가 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던져서는 안된다. "내가 할 수 있는 게 뭐지?", "무엇을 하는게 좋을까?"와 같이 '행동'에 집중하는 질문을 던져야 한다.

'그래봐야 손해 볼 것은 없어'라고 생각해 버리면 된다.

꼭 잘해야만 주도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우리는 주도만 하고 나머지는 잘하는 다른 사람들에게 맡겨두면 된다.

⑹ 자존-사물에 대해서 화를 내는 것은 어리석은 짓이다.

자세한 것을 못 본다는 핀잔을 들었다면 내가 지금 높이 날고 있다는 말이라고 생각하자. 그리하여 낮게 나는 새는 자세히는 보지만 멀리까지 보지는 못한다는 점도 상기할 수 있도록 하자.

우리 자신이 충분히 강하다면 외부세계로부터 어떤 비난을 받더라도 무시할 수 있다.

⑺ 나눔-마음을 열면 외로울 틈이 없다.

외로움은 자신이 몰입할 가치가 있거나 창조적인 일을 하고 있지 못하다는 신호 같은 것이다. 사람들과 교류가 거의 없는 사람도 혼자 몰입하고 있는 작업이 있는 경우 외로움을 느끼지 않는다. 아니 그럴 틈이 없다. 이렇듯 우리는 혼자 있을 때 외로운 것이 아니라 바로 의미 있는 일을 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깨달았을 때 외로움을 느낀다.

내 마음에서 전해오는 외로움이라는 신호를 통해 무언가 새롭고 가치 있는 일을 찾을 기회를 모색해야 하며 다른 사람에게 사랑을 베풀고 자신을 개방하여 외로움 대신 사랑과 의가가 자리 잡도록 자신에게 다양한 기회를 주어야 한다.

⑻ 정의와 용기-분노의 진정한 피해자는 나 자신이다.

일상에서 분노라는 반응이 자주 일어나는 것은, 분노가 가장 동물적이고 본능적인 반응이기 때문이다.

분노의 원인이 외부가 아닌 바로 자신의 내부에 있는 경우가 있다. 불안이 극도에 달해 두려움이 되고, 두려움이 지나쳐 다른 사람에게 화풀이를 하게 되는 경우가 그렇다. 자신의 두려움을 감추기 위해 다른 사람이나 사물을 공격하는 것이 '분노'라는 형태로 표출되는 것이다.

편안하고 안락한 일상에 빠져서 새로운 것에 도전하지 못하는 진짜 이유는 따로 있다. 불안감에서 야기된 두려움이 바로 그것이다.

우리들 대부분은 죽은 말에서 내리기보다 정말로 말이 죽었을까 생각하고, 생각하고 또 생각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데 시간을 허비한다.

이때다 싶은 생각이 들 때는 행동으로 옮길 수 있어야 한다.

특별한 사람이 특별한 행동을 해서 성공한 것이 아니라, 행동을 했기 때문에 특별한 사람이 된 것이다. 다른 사람들이 행동을 하지 않는 동안에 말이다.

⑼ 겸손과 솔직-허풍이 심한 사람은 약점이 많다.

엄살이 심한 사람들은 자신의 일을 과대포장 하는 허풍에도 강한법이다.

남의 것을 흉내 내는 이유는 자기 것이 없기 때문인데, 사람들은 자기 것이 없을 때 과장하거나 허풍을 떤다.

⑽ 배포와 아량-남들의 시기와 질투를 반가워하라

우리는 자신이 가지지 못한 것을 상대방이 가졌을 때 '질투'라는 감정에 사로잡힌다.

상대방이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면 우리가 던진 자극이 더 이상 매력적이지 않다는 의미다. 반면에 강한 질투의 반응을 불러 일으켰다면 승산이 있다고 봐도 좋을 것이다.

상대를 질투하고 있다는 것은 내가 나를 무척이나 사랑하고 있다는 사실을 증명해 준다.

이런 질투의 감정을 자기발전의 원동력으로 삼을 수 있을 때 그것은 좋은 자극제가 된다. 상대방의 성공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자신도 더 노력해서 좋은 모습을 보여줘야겠다는 결심을 하게 될 때 질투심은 좋은 자극이 된다.

중요한 것은 '어떤 질투'를 하고 있느냐 하는 것이다. 자기를 자극하고 성장시키는 질투인가? 아니면 남을 깎아내리고 자신도 무너지는 파괴적인 질투인가?

⑾ 유연성과 회복력-치욕을 안고 견디는 것이 승리다.

시인 두목(杜牧)은 훗날 '제오강정(題烏江亭)'이라는 시에서

'이기고 지는 것은 전쟁에서 기약할 수 없는 것인데

치욕을 안고 견디는 것이 사나이다.

강동의 자제들 중에는 인재가 많으나,

흙을 말아 올려 다시 돌아올 날은 미처 알지 못하는구나.'

실패라는 부정적인 자극은 우리의 자신감을 갉아먹어 욕구가 실현될 수 있는 가능성의 문까지 막아버린다.

좌절이라는 반응의 이면에는 올바르게 행동하지 못하고 게으르게 행동했다는 반등이 숨어 있다. 좌절하는 사람은 어떤 의미에서 자신을 믿고 있는 사람이며 자신을 믿고 있기에 스스로에게 기대하는 바가 큰 사람이다.

내가 게을렀거나 올바른 방향으로 행동하지 못했음을 깨닫는 것이다. 지금 할 수 있는 작은 일부터 다시 찾아서 시작하는 것으로 잃었던 자신감을 점점 회복할 수 있을 것이다.

⑿ 반드시 넘어야 하는 4가지 장애물

장애물이 없으면 고통도 없고, 고통이 없으면 성취감도 없다.

실제로 우리의 싸움은 장애물과의 싸움이 아니라 우리 자신과의 싸움이다. 장애물을 제거하는 것도 우리 자신이고 포기하는 것도 우리 자신이며, 심지어 없던 장애물을 새로 만들어내는 것도 우리 자신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왜 긍정적인 자극을 받아도 그것으로 스스로를 개선하는 데 실패할까?

첫째, 욕구를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지 방법을 배우지 못했기 때문이다.

자칫하면 조급하게 성과를 내려는 욕심에 기술과 단순한 작동을 착각하게 된다. 그리고 욕구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에너지를 적당히 분배하고 목적에 맞게 그것을 적절히 사용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둘째, 현실적인 한계에 부딪혔을 때 그것을 뛰어넘을 수 있는 자신감과 경험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장애물에 길이 막혀 있을 때일수록 더 효율적인 방법들을 고민해보고 그것을 시도해보는 폭넓은 시각과 용기를 가져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꾸준히 자극을 공급하는데도 실패하는 경우도 있다.

의식이 무의식의 지배를 받지 않도록 자극을 꾸준히 공급해야 한다.

넷째, 주어진 자극이 나의 재능이나 관심사와 동떨어진 것인 경우다.

대부분 자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모르거나 인생의 목적이 없는 경우에 생기기 쉽다. 자기 기준이 명확한 사람은 세상이 주는 자극에 쉽게 흔들리지 않는다. 그리고 자극을 받아들이더라도 금세 자기 것으로 끌어안고 적당히 사용한 후 폐기할 줄 안다.

자극관리에 실패하는 원인 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부정적인 태도와 생각이다.

자극관리에 성공하느냐 실패하느냐 여부는 지금 내가 어떤 말을 하고 있는지 확인해보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4부 내 안에 있는 또 다른 나를 찾아서

⑴ 끊임없이 열고 남김없이 보여주기

풍요로운 사회가 전혀 긴장을 주지 않는다면, 인간이 만들어내야 한다. - 빅터 프랭클

새로운 자극을 접하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

다른 사람들이 시도하지 않는 방식을 의식적으로 선택해서 행동한다면 어떻게 될까?

보통 사람들이 해보지 못한 것을 경험할 것이고 그 결과 색다른 생각, 색다른 아이디어를 갖게 될 것이라는 점이다.

새로운 자극이 새로운 나를 만들어 주는 것이다.

사실 알고 보면 우리 주위에는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너무나 많다. 우리가 그것을 선택하지 않고 비슷한 행동을 반복하기 때문에 그것을 얻지 못할 뿐이다.

⑵ 지하철, 버스에서 나를 바꾸기

자신이 고르고 선택한 것이라면 그것에 대해서 책임져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긍정적으로 반응하게 된다.

나는 다른 사람이 좋다고 추천하는 책보다는 스스로 선택한 책을 읽으려고 노력한다. 주제뿐만 아니라 그 주제를 연구할 기간까지도 스스로 정해서 읽으려고 한다.

⑶ 표현력 기르기

⑷ 현실을 새롭게 규정하기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사람들의 생각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말 한마디도 계획에 따라 의도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말은 행동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올바르게 사용하지 않으면 좋지 못한 결과가 만들어진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다. 그래서 "군자는 말이 행동을 넘어서면 부끄러워진다."고 했다

기분 좋은 언어로 상황을 긍정적으로 규정하는 것은 긍정적인 자극제를 만들기 위한 아주 훌륭한 방법이다. "나는 많은 것을 해왔고 지금도 많은 것을 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훌륭한 일을 많이 할 수 있어."

"괜찮아. 지금보다 훨씬 더 힘들었던 때도 많았지만 잘 넘겨왔잖아. 나는 승리할 거야."

"승진보다 더 값진 일이 있어. 그것을 했을 때 내 삶은 더욱 가치 있는 삶이 되는 거야."

우리는 글을 쓰면서 그 장면을 상상하고 그 순간의 삼정을 경험한다. 목표를 달성한 자신의 모습을 글로 표현하면 그 순간의 모습이 머릿속에서 이미지로 만들어지고 성공에 대한 기쁨이 생겨난다.

성공한 사람들은 거의 대부분 틈만 나면 기록하는 습관을 가지고 있다.

글로 남기지 않으면 밤새워 머릿속에 세웠던 계획도 헛수고가 되고 만다.

우리는 자신에게 주어진 상황을 글로 표현하는 데 익숙해져야 한다. 늘 수첩을 들고 다니면서 기록하고 또 기록하는 것이다.

기술을 얻는 최선의 방법은 그것을 반복해서 연습하는 것이고 목표를 달성하는 최고의 방법은 목표달성을 위한 행동을 반복하는 것이다.

문장력에 집중하지 말고 그 글의 내용과 취지에만 집중하면 된다. 강한 의지가 생겨날 것이다.

⑸ 나를 움직이게 하는 것은 내가 알기

지금 상태에 머물 것인지 아니면 자신을 변화시킬 것인지 결정하고 선택하는 것은 오직 자기 자신이다.

일상의 자극은 우리 스스로를 단련시킬 기회다. 자극이 반복되면 학습되는데, 학습된 사람들은 어떤 자극이 자신을 고무시키는지 알고 그것을 자발적으로 선택한다.

나를 움직이게 하는 것은 무엇인가?

사람인가? 책인가? 음악인가? 영화인가? 여행인가? 명상인가? 휴식인가?

사람이라면 누구인가? 책이라면 누가 쓴 책인가? 음악은 어떤 종류의 음악이며, 영화는 어떤 제목의 영화인가? 명상은 언제 하는것이 효과적이며 어떤 방식의 휴식이 좋은가?

구체적으로 기록해보도록 하자.

⑹ 거대하고 복잡할수록 잘게 나누기

복잡해 보이는 이유는 원래 그것이 복잡하기 때문이 아니라 원리를 모르기 때문이다.

지금은 어느 분야에서든 잘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중요한 시대다. 이런 시대에 작은 생활의 변화조차 두려워한다면 그의 미래는 어두워질 수밖에 없다. 자극관리를 연습해본 사람들은 몇 가지 소소한 실패에 좌절하거나 자신감을 잃어버리지는 않는다. 남들이 좌절에 빠져 허우적대는 동안 그는 오히려 실패를 쉽게 극복할 수 있는 자기만의 노하우를 개발하고 있을 것이다. - '분할하기'

⑺ 나의 생산성을 측정해보기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이 스스로의 생산성을 측정해본 경험이 없기 때문에 어떻게 해야 할지 갈피를 못 잡을 것이다. 하지만 자신의 생산성을 제대로 측정하고 꾸준하게 관리하지 않으면 주어지는 자극들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가 없다.

우선 자기 스스로를 정확히 평가하고 여러 지표를 이용해서 객관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면 다른 사람들의 평가에 의해 흔들리지 않는다. 자기만의 목표를 가직 소신껏 밀고 나가는 과정에서 다른 사람들의 평가는 자칫 부정적인 자극이 되어 의지를 꺾어버리거나 열정을 사그라지게 만들 수도 있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성장과정을 관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주도적으로 변화와 성장을 관리하니 다른 사람의 목표달성에 이용되는 수단으로 전락하는 것을 미리 막앚ㄹ 뿐만 아니라 아주 짧은 기간에 뛰어난 성과를 내도록 스스로를 자극할 수 있는 자기 규정적 자극의 기회를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이다.

머릿속으로만 '체크해봐야 하는데...'하고 생각할 것이 아니라 항목으로 만들어서 종이에 적어두면 정기적으로 점검하기 때문에 관심을 가지고 관리해나가게 된다.

기록으로 남기지 않으면 측정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 연속되는 과정을 꾸준하게 측정해야만 자신의 생산성을 관리할 수 있다.

눈으로 확인하는 과정이 없으면 금세 지치게 마련이다.


⑻ 3개월 계획과 3년 계획 세우기

비육지탄(髀肉之嘆) '허벅지에 살이 찐 것을 탄식한다'는 말고 원하는 일을 추진하지 못하고 허송세월만 하고 있음을 비유한말.

목표는 정했지만 그것을 어떻게 실현시킬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지 못한 사람들은 세상과 자기 자신에 대한 불만만 높다.

우연과 행운에 삶을 맡기는 것보다 훨씬 더 확실한 방법은 바로 스스로 계획을 세우는 것이다.

계획을 세우면 시시한 것들이 주는 부정적인 자극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


목표를 어떻게 달성해야 하는지 방법을 모르는 사람은 쳇바퀴 같은 일상에 갇혀서 빠져 나오지 못한다.

그래서 결국 목표까지 잃어 버리게 되는 것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목표를 달성하는 데 무엇이 필요한지 확인하는 것이다. 그래프를 그리기에 앞서 목표달성에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확인하라.


우선은 생각나는 대로 이것저것 써 본 후 그 항목들을 분류하고 정리하다 보면 그 과정에서 열정이 생겨나고 필요한 에너지도 얻을 수 있다.

목표를 달성하도록 하는 것이 행동이며 그 행동을 꾸준하게 유지시키는 것이 계획이다. 계획을 세우면서 우리는 다시 용기를 얻고 의지를 더욱 굳건하게 다진다.

사무엘 스마일즈 "목적은 알과 같아기 실행으로 부화핮 않으면 곧 썩게 된다."

⑼ 자극을 보는 눈을 업그레이드 하기

어디에 가면 '편하게' 일할 수 있을까 고민할 것이 아니라, 어디에 가면 '제대로' 일할 수 있을까를 고민해야 한다.

오직 내가 해야만 제대로 잘 될 수 있는 것이라면 그것은 가치 있는 일이다.

사업을 하는 사람들도, 무엇을 하면 돈이 될까보다는 어떻게 하면 사람들이 좋아할까 혹은 세상에 가치를 더하는 의미 있는 사업이 될까를 고민하는 편이 빠를 것이다.

'무엇을 할 것인가'보다 '어떻게 할 것인가'가 중요한 법이다.

톰 피터스 "승자들은 중요하지 않은 일을 좋아한다.' - 중요하지 않은 일은 자신이 가치를 만들어낼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잇고 아무도 하지 않기 때문에 관리하기가 쉽다.

'돈이 될까?' 보다는 '가치가 있을까?'라는 질문이, '어느 곳이 편한가?' 보다는 '어느 곳에 가면 잘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이 적합하다. 질문을 던지는 수준 높은 사고가 필요하며 그러한 고차원적인 사고는 삶을 바라보는 눈이 남다를 때 가능하다.

⑽ 스스로를 가르칠 수 있는 자극 찾기

자신에게 명령하지 못하는 사람은 남의 명령을 들을 수밖에 없다. -니체

사람들이 배움에 인색한 것은 배움이 귀찮기 때문이다. 집중해서 읽거나 들어야 하고 그것을 현장에 적용해야 하니까 귀찮은 것이다.

인간은 한없이 게을러지려는 욕구가 있다.

'학습'이라는 것은 자신의 생각을 바꾸고 움직이도록 설득하는 것이라서 편안하고 게으르게 살고 싶은 욕구를 방해한다. 때문에 사람들은 학습을 달가워하지 않는다. 그러나 반대로 학습은 우리를 깨어 있게 하고 변할 수 있는 기회를 주기고 한다. 그리고 풍요로운 의미의 세계로 데려간다.

에드워드 기번 "사람은 누구나 두 가지 교육을 받는다. 하나는 타인으로부터 받는 교육이고, 나머지 하나는 자기 스스로 배우는 교육이다. 그리고 후자가 훨씬 중요하다."


에필로그 - 자는 체하는 사람은 깨울 수 없다.

(One who is pretending to sleep cannot be awakened.)

일상을 바꾸기 위해서는 행동이 필요한데, 그 행동에는 어려우모가 노력이 따라야 하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자신을 방만하게 방치한다.

'권리 위에 잠자는 자는 보호하지 않는다.'는 법의 원리가 있듯이 자극 위에 잠자는 체하는 사람은 성장할 수 없다.

Posted by WN1
,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내용을 보시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아침5분이 인생을 바꾼다.



날마다 주어지는 24시간이라는 놀라운 수입.

시간은 돈이라는 말이 있다

하지만 그 격언만 가지고는 불충분하다

시간은 돈보다..... 훨씬 중요하다

대개 시간이 있으면 돈은 벌수 있다

하지만 일류 연예인에 버금가는 수입이 있다고 해도

그 돈으로 타인들 보다 시간을 1분이라도 

더 사들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날마다 주어지는 시간

그것이야말로 일상의 기적이며

가만이 관찰해보면 진정으로 놀라운 것이다.

아침에 일어나서 자세히 한번 보자.

당신 지갑에는 놀랍게도 24시간 이라는

놀라운 기적이 채워져 있다.

아무도 당신에게서 그 시간을 빼앗아 갈 수 없다.


시간은 누가 훔처갈 수도 없을 뿐더러

당신이 받는 시간보다 덜 받는 사람도 없다.

성공을 위한 지름길은 오직 현재생활의 변화
 
계획이 없는..... 성공이란 있을 수 없다.

남자라면 군대를 다녀와서 잘 알겠지만

여성의 경우에도 수학여행을 가거나

기타의 단체생활을 통해 대부분의 

기상시간이 06시임을 경험했을것이다

그렇다 기상 시간은 만고의 진리라도 되는 양

항상 일정하게 06시인 것이다.

아침의 경우 예를 들어보기로 한다.

아침 6시에 기상하여 일조점호와 운동

세면과 아침식사 그리고 식기세척까지 하여도 채8시가 되지않는다.

하루의 일과를 시작하기 위한 준비시간은

아직 한참 남아 있고 소지품을 챙길 시간도 넉넉하다.

 

그렇다 당신은 "생각이 바뀌면 습관이 바뀌고

또한 습관이 바뀜에 따라 성공할수 있다"라는

아주 평범한 진리를 너무도 잘알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공을 외면하는 이유는

자신이 습득한 이차적인 습관을

바꾸지 못한다는 데 그 원인이 있다.

습관의 힘은 그만큼 무섭다.


성공을 위한 지름길은 오직 현재생활의..... 변화이다.

진보를 내포한 변화는 과감한 자기변신과 자기혁신에 있다.

바로 이 변화를 방해하는 가장 큰 요소가 자신의 습관을 

버리지 못한다는 데에 있다
고 할 것이다.

부정하지 않는 한 아직도 유효한 꿈

사람은 누구나 원대한 꿈을 가지고 있으며

그 꿈은 어떠한 고난이나 역경에도 굴하지 않고

그 어떤 장애라도 넘어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몇 번의 실패에도 좌절하지 않으며

설혹 실패하였다 하여도 자신이 초래한 일이므로 

그 어느 것도 원망하지 않는다.


하루를 설계하고 이를 실천하여 차근차근 성공의 계단을 밟아 가는 것도 

자신의 목표 즉 꿈을 향해 가고 있음이다.


당신은 어린시절 얼마나 무한한 꿈과 상상의 날개를 펼첬던가

마음만 먹으면 한 나라의 대통령은 물론 의사나 변호사 과학자에 이르기 까지

그 무엇이든 가능하리라고 생각하였을 것이다.

어린시절의 꿈은 허황된 꿈일 뿐이라고.?

천만의 말씀이다.

당신이 부정하지 않는 한 아직도 그 꿈은 유효하다.


꿈은 인생의 에너지와 같은 것이다.



출처: 아침5분이 인생을 바꾼다. (아놀드 베넷) 중 일부

Posted by WN1
,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내용을 보시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독서 마라톤 7만Km

2010. 10. 17. 13:39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내용을 보시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좋은 인간 관계는 인생의 윤활유 노자(老子)는 주나라의 궁정 도서실의 기록 계장(도서 관리인)이었다가 후에 궁중 생활이 싫어 유랑의 길을 떠났다. 노자의 행적에 대해선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노자의 '도덕경'에 나타난 사상에서 인간관계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고 한다. 첫째, 진실함이 없는 아름다운 말을 늘어놓지 말라. 남의 비위를 맞추거나 사람을 추켜세우거나 머지않아 밝혀질 사실을 감언이설(甘言利說)로 회유하면서 재주로 인생을 살아 가려는 사람이 너무나 많다. 그러나 언젠가는 신뢰받지 못하여 사람 위에 설 수 없게 된다. 둘째, 말 많음을 삼가라. 말이 없는 편이 좋다. 말 없이 성의를 보이는 것이 오히려 신뢰를 갖게 한다. 말보다 태도로서 나타내 보여야 한다. 셋째, 아는 체하지 말라. 아무리 많이 알고 있더라도 너무 아는 체하기보다는 잠자코 있는 편이 낫다. 지혜 있는 자는 지식이 있더라도 이를 남에게 나타내려 하지 않는 법이다. 넷째, 돈에 너무 집착하지 말라. 돈은 인생의 윤활유로서는 필요한 것임에 틀림이 없다. 그러나 돈에 집착한 채 돈의 노예가 되는 것은 안타까운 노릇이다. 다섯째, 다투지 말라. 남과 다툰다는 것은 손해다. 어떠한 일에나 유연하게 대처해야 한다. 자기의 주장을 밀고 나가려는 사람은 이익보다 손해를 많이 본다. 다투어서 적을 만들기 때문이다. 아무리 머리가 좋고 재능이 있어도 인간 관계가 좋지 않아서 실패한 사람도 많다. 좋은 인간 관계는 인생의 윤활이자 처세의 기본이기도 하다



Posted by WN1
,

카테고리 없음 2010. 10. 12. 15:05
한 마트의 서적코너에 갔다.
마트에서는 어떤 부류의 책을 많이 두나 싶어서 찍어 보았다.
어린이 청소년 책이 가장 많았다.
그리고 다음으로는 학습과 관련한 도서들이 많았다.
아무래도 마트에서 장을 보는것이 어머니들이라서 그런가 싶기도 하다.


다음으로는 자기계발서들이 자리를 자리잡고 있었다.
아무래도 마트에는 실용서들 위주로 있었다.
아쉬운것은 마트에도 인문학 책들이 있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



Posted by WN1
,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내용을 보시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내용을 보시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