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정해우 - 포정의 소를 잡는 최고의 솜씨

 

중국 전국시대에 소를 잡는 데 최고의 기술을 가진 사람이 있었다.
사람들은 그를 포정()이라고 불렀다. 어느 날 포정이 궁정 잔치에 쓰일 소를 잡고 있었다. 마침 우연히 그 곳을 지나던 왕이 그의 솜씨를 보고 감탄하며 물었다.
어떻게 하면  잡는 기술이 이와 같은 경지에 이를  있는가?
포정은 칼을 놓고 이렇게 말했다.
 제가 처음 소를 잡으려고 했을 때는 소의 겉 모습만 보였습니다. 그런데 각고의 노력을 기울인 지 3년이 지나니 어느새 소가 부위별로 보이게 되었습니다.   19 년이 흐른 지금은 눈으로 소를 보지 않습니다. 마음의 눈을 뜨고 소의 살과 뼈, 근육 사이의 틈새를 봅니다. 그리고 그 사이로 칼이 지나가게 합니다. 이런 기술로 단 한 번도 칼이 살이나 뼈와 부딪히는 실수를  적이 없습니다.
평범한 백정은 달마다 칼을 바꾸는데, 그 이유는 칼로 무리하게 뼈를 가르기 때문이다. 솜씨 좋은 백정은 칼을 가지고 소의 살을 베기 때문에 1년 만에 칼을 바꾼다. 그렇지만 포정은 19년 동안 수천 마리의 소를 잡았지만 칼날은 방금 숫돌에 간 것과 같았다. 소의 뼈와 근육 사이에는 어쨌든 틈새가 있기 마련이고 그 틈새로 칼날을 집어 넣어 소를 잡기 때문에 칼날이 전혀 무뎌지지 않았던 것이다.
이것은 장자에 나오는 이야기다.
포정의 소를 잡는 최고의 솜씨 뜻의 포정해우(押丁解牛)의 고사성어가 여기서 나왔다.



박사가 되지 말고 도를 깨우치기를  .....

 


춘추 전국시대 제(齊)나라에 소를 잡는데 신기에 가까운 기술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진 도우토(屠牛吐)라는 사람이 있었다. 하루아침에 아홉 마리의 소를 잡아도 칼이 전혀 무뎌지지 않아서 소의 털까지 자를 수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장자(莊子)》의 양생주편(養生主篇)에는 도우토 보다도 더 소를 잘 잡았던 포정(庖丁)이라는 사람의 이야기가 나온다.


포정의 포(庖)는 부엌 포 또는 요리사 포자이다. 정(丁)은 백정을 뜻하므로 포정이란 사람의 이름인 고유명사가 아니라 소를 아주 잘 잡았던 요리사를 지칭하는 보통명사일 가능성도 있다. 어쨌거나 제나라 문혜군(文惠君)의 주방장이기도 했던 포정은 소 한 마리쯤은 눈 깜짝할 사이에 해체 시킬 수 있었다. 어찌나 능수능란했던지 손 놀리는 것이나 어깨 위에 둘러매는 것, 발을 내디디는 것, 무릎으로 밀어치는 동작, 살점을 쪼개는 소리, 칼로 두들기는 소리가 마치 뽕나무 숲에서 춤을 추듯 음악에 맞고 조화를 이루었다고 한다.


해우(解牛)는 소를 해체하는 즉 소를 잡는 것을 뜻하므로 포정해우(庖丁解牛)란 포정의 소 잡는 기술을 나타내는 말이다. 포정은 무려 19년 동안이나 칼을 갈지 않고 사용했지만 여전히 그가 사용하는 칼의 날은  무디어지지 않았다고 한다. 그러니 도우토 보다는 분명 한 수 위였던 것 같다. 문혜군은 토정의 해우술(解牛術)이 고금에 짝을 찾을 수 없을 만큼 뛰어난 신기를 보유한 것에 감탄하여 물었다.
"어떻게 하면 소 잡는 기술이 이와 같은 경지에 이를 수 있는가?"


포정이 대답했다.
“제가 처음 소를 잡을 때는 소의 겉모습만 보였습니다. 3년이 지나니 소의 겉모습은 눈에 띄지 않고 소가 부위별로 보이게 되었습니다. 10년이 지나고 부터는 마음으로 소를 보지 눈으로 보지 않고 있습니다. 눈의 감각 작용이 멈추니 자연스럽게 마음의 정신작용만 남았습니다. 그때 소의 이치에 따라 살과 뼈 근육 사이에 커다란 틈새 속으로 칼을 지나가게 합니다. 그 묘한 기술은 아직 한 번도 칼질을 실수하여 살이나 뼈를 다친 적이 없습니다. “
문혜군은 넋을 놓고 포정의 말을 경청했다. 그의 말이 계속 되었다.


“솜씨 좋은 백정이 1년 만에 칼을 바꾸는 것은 칼로 소의 살을 베기 때문입니다. 평범한 백정은 월마다 칼을 바꾸는데, 이는 칼로 무리하게 뼈를 가르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제 칼은 19년이나 되어 수천 마리의 소를 잡았지만 칼날은 방금 숫돌에 간 것과 같습니다. 소와 뼈와 살 사이에는 틈새가 있기 마련이고 칼날에는 두께가 없습니다. 두께가 없는 것을 소의 틈새에 넣으니 칼날을 움직이는 데 여유가 있습니다. 그러니까 19년이 되었어도 칼날이 방금 숫돌에 간 것과 같습니다. 하지만 근육과 뼈가 엉킨 곳에 이를 때마다 저는 그 일의 어려움을 알고 두려워하여 경계하며 천천히 손을 움직여서 칼의 움직임을 아주 미묘하게 합니다. 살이 뼈에서 털썩하고 떨어지는 소리가 마치 흙덩이가 땅에 떨어지는 것 같습니다. 칼을 든 채 일어나서 둘레를 살펴보면 비로소 부위 별로 해체된 소고기가 눈에 들어옵니다. 그러면 칼을 씻어 챙겨 넣습니다."
문혜군은 포정의 말을 듣고 그가 백정이 아니라 도를 깨쳤다는 것을 알았다.


소 잡는 백정은 신분이 가장 미천한 계층에 속한다. 그러나 그런 일을 하는 사람도 도를 깨칠 수 있다는 것을 포정이 보여 주었다. 그는 소를 칼로 잡은 것이 아니다. 눈으로 보지 않고 마음으로 보아서 뼈와 뼈 사이로 칼을 지나가게 하는 이치에 따라 물 흐르듯 자연스럽게 소를 해체시킬 수 있는 경지를 터득한 도인이었다.


대학에 진학하여 공부를 열심히 하면 박사가 된다. 그러나 박사 보다 한 수 위가 도사다. 도술은 이론이 아니라 현장에서 상황에 부딪치며 경험과 수련의 반복을 통해 체득하는 것이다. 빵을 어떻게 하면 영향학적으로 좋게 만드느냐 하는 문제를 놓고 볼 때 박사학위 소유자는 이론적으로 잘 알고 있고, 다른 사람을 가르칠 수도 있지만, 가정형편이 어려워 중학교도 가지 못하고 일찌감치 공장에 들어가서 숱한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갈고 다듬는 과정을 통해 제빵 기술을 익힌 사람보다 더 맛있는 빵은 만들지는 못한다.


우리나라 부모님들은 모두 자식을 박사를 만들고 싶어 하는 것 같다. 박사보다 한 수 위가 도인이다. 소를 잡는 것을 가지고도 도를 터득하는데, 요리를 하고, 차를 만들고, 배를 만드는 모든 분야에서 도를 깨칠 수 있다. 이론적으로 많이 알아서 무엇 하겠는가. 도는 말로서 알려 줄 수도 없고, 문자에 의해 깨닫는 것도 아니라는 사실은 포정해우의 예만 보아도 분명해 진다. 지금 어느 현장에서 무슨 일을 하던 자기가 하는 일을 통해 도를 깨우치기를 바란다. 누가 가르쳐주지도 않을 것이고 참고할 이론도 없다 오직 스스로 정진하여 깨우쳐야 한다. 치열하게 스스로의 내면을 다스리고, 정신을 집중시켜 처절하게 구하라.

깨치고 나면 자유로워 질 것이다.

Posted by WN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