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들에게 종종하는 말이 있다. '어차피 먹는거 맛있게 먹는게 좋은것처럼, 어차피 앉아서 하는거 제대로 한 번 하는게 낫다.'

공부는 자신이 하는 것이지, 누가 대신해 줄 수 없다는 의미도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가만히 생각해보면 나역시 어린시절 선생님이나 어른들께 들어보았던것 같다. 흐린 기억을 되새김질 해보면, 당시엔 '그 말을 굳이 할 필요가 있나?'하는 생각을 했었던것 같다. 당연한 말이니까. 그런 내가 지금 되읊고 있는건 아닌지 모르겠지만 말이다.


공부는 그런 것이다. 그냥 시간을 흘려보내는 것이 아니라, 순간 순간들에 자신이 보고 있는것이 무엇인지, 어떤의미인지 알아내고, 이해하고 습득하는 것이다.

곰곰이 생각해보면 책을 읽는 것도 마찬가지 아닌가. 쉽게 나온책도 있겠지만, 대부분의 책은 심혈을 기울여 출간된다. 그런 책을 읽는것. 독서는 그 목적이 공부에서 시작되었으며, 알아감의 추구인 것이다. 


주위를 둘러보면 책읽는 이들은 꽤 많다. '직장인 1년 평균 독서량이 14.8권.' 2012년 한 조사의 결과 발표이다. 

연령대별 선택도서의 차이는 있지만, 예전보다는 꽤 늘었다. 발표에서도 젊은 층일수록 읽는 수가 많다고 한다. 

스펙을 강요받아서 그럴 수도 있고, 매체를 통해 종종 발표되는 '한국인이 책을 너무 안 읽는다'는 말에 자극을 받았을 수도 있고, 책을 좋아서 읽을 수도 있고,... 이유야 어떻든 책읽는 양과 비중이 늘어난다는 사실은 반가운 것이긴 하다. 


그런데 대체로 공부를 위한 읽기를 제외하면 편하게 읽고 있는 편은 아닐까.

잔혹한 표현인지는 몰라도, 시간때우기로 읽는다면 그건 문제를 안고 있을 수밖에 없다. 물론 시간 때우기라도 안읽는 것보다는 더 나은 것이긴 하지만. 그렇기에 그것은 지적할 필요가 없는것이다.

그럼에도 이런 표현을 사용하는 것은, 말하고 싶은것이 읽더라도 좀더 깊이, 확장되이 읽어보자는 스스로의 독서에 대한 반성이다.

이런 기회를 만들어 생각해보고, 정리하여 좀더 깊이 읽기위한 시간을 가져보자는 의도. 말은 거창하긴 하지만 글을 적어보는 짧은 시간동안 생각해 보는 것이다.



<연암에게 글쓰기를 배우다>에서는 글쓰기에 필요한 덕목을 말한다.

먼저 읽어야 함에 있어서, 이유당 이덕수 선생은 일찍이 이렇게 말했다. '독서는 푹젓는 것을 기하게 여긴다. 푹젖어야 채고가 내가 서로 어울려 하나가 된다.'(p70)

글을 쓰기에 앞서 먼저 읽어야 함을 강조하는데 그냥 읽는 것이 아닌 책 속에 빠져드는 것, 한발 떨어져 바라보는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다가서서 그 속에서 읽어나가는 것을 독서라 했다. 무언가에 덤벼드는 느낌이랄까. 흥미로운 이야기를 들을때 자신도 모르게 상채가 앞으로 기울어져 가는 느낌이든다. 

관심있고 해보고 싶은 열망이 있을때, 그것이 닥치면 우리는 좋아서 덤벼든다. 그것처럼 읽기도 그런 열의가 필요하다는 것이리라. 


책의 계속되는 내용을 보면 쓰기에 필요한 덕목이 나오는데 아무리 보아도 읽기의 덕목으로 보인다. 내용을 정리해 보면 이렇다.


  관찰(觀察)하고 통찰(通察)하라.
어항 속에 갇혀 있다는 것을 알려면 어항 밖으로 나와야 한다. 그러나 물고기에게 어항밖으로 나오는 일은 목숨을 건 모험이었다. "그래도 나와야지."  115
어항은 곧 책이다. 책을 꼼꼼하게 읽었다면 다음은 객관적인 입장에서 관찰하고 바라보아야 한다. 그래야만 책이 말하는 의미를 명확하게 짚어낼 수 있다.
세상이라는 책도 마찬가지다. 그게 바로 약의 원리다. 약을 알고 난 뒤 넓고 깊게 반복하다 보면 불현듯 통찰의 순간이 온다. 개인의 좁은 안목과 시야가 확장되면서 보편적인 사물의 이치가 드러나는 것이다. 그렇게 오의 단계에 이르면 비로소 그 사물에 대한 글을 쓸 수 있다. 관찰과 통찰이 글을 쓰기 위한 전제 조건이라는 의미다. 마찬가지로 사물에 대한 새로운 통찰 없이는 제대로 된 글을 쓸 수 없다.  116
  원칙을 따르되 적절(適切)하게 변통(變通)하라.  의중(意中)을 정확히 전달(傳達)하라.
독서란 책을 읽는 것이다. 그런데 증자의 제자인 공명선은 책을 읽는 대신 스스의 행동을 보고 배우는 길을 택했다. 결국 스승이란 책을 읽은 공명선은 넓은 의미의 독서를 한 셈이었다. 공명선이 택한 길이야말로 독서를 창조적으로 변통한 것이었다. 
한신도 마찬가지였다. 배수진은 병볍에서 금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한신은 무턱대고 병볍을 따르는 대신 병볍의 참의미를 읽어냈다. 이것 또한 창조적인 변통의 좋은 사례다. 
글도 마찬가지리라. 남의 의견을 아무 생각 없이 답습해서는 좋은 글을 남길 수 없다.  158
종채는 아버지의 말 하나를 어렵사리 기억해 냈다.
"사마천(司馬遷)과 반고(班固)가 다시 태어난다 해도 결코 그들을 배우지 않으리라."
사마천과 반고를 배우되, 지금 여기에 맞는 글을 써야 한다는 아버지의 다짐이 담겨 있는 말씀이었다는 것을 종채는 이제야 깨달았다.
쓰는 사람이 자신의 의중을 읽는 사람에게 정확히 전달할 수 있을 때 비로소 좋은 글이라 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아집과 독선에서 벗어나 객관적인 근거를 제시하는 정밀한 글을 써야 한다.  159
  관점과 관점 사이를 꿰뚫는 '사이'의 통합적(統合的) 관점(觀點)을 만들라.
아무리 하찮아 보이는 것에도 제각기 합당한 이유가 있다. 그러므로 글을 쓸때는 그런 측면들을 빠짐없이 다루어야 한다. 그래야 글을 읽는 사람이 편견에 빠지지 않고 의미를 온전하게 받아들일 수 있다.
여러 측면들을 늘어 놓았으면 이제 그것들 사이를 꿰뚫는 새 관점을 만들어야 한다. 
대립되는 시각과 관점을 아우르면서도 둘 사이를 꿰뚫는 새로운 제3의 시각을 제시하는 것, 그것이 바로 통합의 논리다.  188

글을 쓴이가 이렇게 써서 책을 만들어 냈다면 읽는이도 이렇게 읽어가야 하는것 아니겠는가. 

물론 글쓴이의 의도대로 무작정 따라가는 것이 아니다. 표현처럼 의중을 정확히 이해하고, 변통하고, 통찰하여 읽기를 해야 하는 것이다.


카프카는 자신의 책에서 말했다. '우리가 읽는 책이 우리 머리를 주먹으로 쳐, 우리를 참에서 깨우지 않는다면, 대체 왜 우리가 그 책을 읽는거지? 책이란 우리 안에 있는 꽁꽁 얼어버린 바다를 깨뜨리는 도끼가 아니면 안되는 거야.'

그 표현이 마음에 들은 박웅현씨는 자신의 책 제목을 <책은 도끼다>라고 정하였다. 

물론 그가 그렇게 지은건지는 잘 모르겠다. 다만 책의 첫 페이지에 그도 카프카의 표현을 옮기고 있음을 보고는 그렇게 생각하는 것이다. 책 내용역시 자신이 깊이 읽는 유형의 독자이며, 그 책들에 영행을 받은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기도 하다. 


<연암에게 글쓰기는 배우다>는 그 도끼같은 책을 만들기 위해 깊이 읽을 수 잇는 지침을 주는 것이기도 하다. 저자가 어떤 의도로 쓰든 독자는 창의적인 해석을 할 수 있다. 그에 더해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저자의 의도에서 깊은 인상을 받고 독자의 해석방식으로 변통하고, 그러한 내용들로 새로운 통찰력을 가지는 것. 

책읽는 이의 자세로 필요한 것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물론 책을 그냥 읽어도 된다. 앞서 말했듯이, 책읽기에 대해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짐으로 얕은 책읽기를 하고 있는 나 자신에게 조금더 발전하는 읽기를 하게 하기 위함이다.


因循姑息, 苟且彌縫(인순고식 구차미봉) : 낡은 인습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눈앞의 편안함만 좇으며 임시로 변통하려 한다.

책을 읽는 것은 당장의 답을 구하기 위함이기보다는 자신의 긴 인생 전반을 위해 읽어가는 것이기에 더 필요한 생각이 아닐까...













Posted by WN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