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도서관에서 만났다. 그래서 사진에서 보이는 띠가 없었다. 
이 책의 이름만 보고서는 <책여행책>.. 막연히 여행을 자극하는 책들의 소개쯤으로 생각을 하였다.
이전의 책들인 <On the Road> 나 <언제나 써바이 써바이>는 타지에서 만난 사람들과의 인터뷰 집이었기에 이번엔 책들과의 만남을 전제로 하는 책이지 않을까 막연하게 생각하였다.
그러니 <책, 여행책>이라고 해석을 한것이다. 
책을 펼치고 나서야 내 생각은 착각일 뿐이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책은 '책여행'과 '여행책'의 파트로 나뉘어져 있었고, 두 파트를 이어놓은 제목이었던 것이다.

신선했다. 막연한 생각을 넘어선 이유때문일지도 모르고, 표지의 흔들의자 때문일지도 모르며, 여행과 관련한 내용이 담겨있지만 사진이라곤 한 장도 없는것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책의 부제처럼 '휴가없이 떠나는 어느 완벽한 세계일주에 관하여'..
매우 많은 사람들은 여행을 꿈꾸지만 현실이라는 벽에 부딪힌다.
사실대로 표현하면 현실이라는 울타리에 자신을 가둔다고 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많은 사람들은 시간이 있어야 여행을 떠난다고 생각을 하지만 그렇게 생각하는 사람들은 대체로 여행을 거의 하지 못하고 있었다.
특히나 해외로는..
여행은 정말 시간이 있어야 갈 수 있는걸까?
개인적인 경험으로 비추면 아니였다. 여행은 시간을 내서 가는 것이었다. 배낭여행을 자주 가보기 전에는 가려할때마다 무언가의 발목을 잡는 일들이 있었던것 같고, 그때마다 어느정도 무시하고 떠나면 발목 잡을 것 같던 것들은 홀연히 사라졌었다.
 
이 책은 저자가 읽은 책을 통해 관심이 생기거나 알게 된 곳들을 가게 된다. 2부에서는 여행책이다. 말그대로 자신의 여행지중에 특정 지역들에대한 언급인데 개인적인 경험들을 통해 알게되고 느끼던 감정들을 풀어 놓았다.
매우 읽기 쉽게 그러면서도 그림을 그려볼 수 있게..

어쩌면 '여행'이라는 단어가 사람들마다 다른 느낌을 가지고 있는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보게 되는데, 이 책을 읽으면서도 그러한 생각이 다시금 들기도 하였다.
저자가 언급한 지역중에 내가 가본곳과 동일한 지역에 대한 글을 읽을때는 공통적으로 가진 느낌과 전혀 다른 느낌이 공존하고 있었다.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이있듯이, 그래서 다른 느낌이 들기도 할 것이다. 또한 가치기준의 차이 때문이기도 할 것이다. 
환경의 차이도 있을것이다. .. 이 외에도 여러 가지 이유는 있을것이고...
그래서 서로다른 느낌을 공유할 수 있는 책을 통해 새로운 것의 발견이 이루어지기도 하는것이라 생각이 들기도 한다.

여행은 무엇일까?
여행은...


떠.나.고.싶.다. ... 아무 목적 없이 유랑 같은 여행을 하던 시절에는 목적을 가진 여행을 해야 하지 않을까 고민했지만, 책을 쓰기 위한 여행을 하다 보니 다시 유랑의 시절이 그리워 졌다.  7
책여행은 책을 읽는 행위를 통해 산책하고, 생각하고, 사랑하며 '여행자'로서만이 아니라 삶을 가꾸는 '창조자'로 살아보는 일이다. 사실이건 몽상이건 이런 여행을 통해 세계와 좀더 가까워진다면, 다른 삶을 보면서 내가 되고 싶은 존재에 근접해간다면, 세상에 이만한 여행은 없다.
세계는 책으로 통하지 않던가. 책 속에 길이 있으니 안락의자에 앉아서도 떠날 수 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세상은 한 권의 책, 여행하지 않는 자는 그 책의 한 페이지만 읽을 뿐"이라고 했다. 여행은 책을 읽는 일이다. 여행을 하지 않고 책을 읽지 않으면 세계의 한 구석만을 맴돌 뿐이다. 그럼 나는 지금 세계의 몇 페이지를 읽고 있을까.  9-10

우리는 참 모범적으로, 스탠더드하게 살아간다. 그렇게 살지도 않으면서 '그렇게 살아야 한다'고 생각만 한다. 나도 그런 사람 중 하나지만, 의문이 든다. 스탠더드라... 왜 그렇게 살아야 하지? 사실 '스탠더드하게 산다'는 말은 적절하지 않다 눈총받기 싫으니 남들과 비슷하게, 똑같이 살려고 하는 것일 뿐!
한국에서 스탠더드는 모범으로 간주되는지 모르겠으나, 스탠더드는 모범이 아니다. 호텔의 객실 등급에서도 스탠더드는 최하위아닌가.  24

내 생각에 여행은 철학보다 몽상에 가깝다. 몽상가가 세계를 꿈꾸는 동안 철학자는 방 안에서 세계를 꿈꾸어야 할 이유에 대해 숙고한다. 물론 숙고도 필요하다. 하지만 난 그런 시간을 이미 너무 많이 보냈다. 그러니 지금은 부지런히 몽상가의 꿈을 꾸는 게 유익하다. 의외로 세상엔 몽상가가 많지 않다.  30
누군가는 "여행을 한다고 달라지는 것은 없으며 일상에서 벗어나는 충동 외에 여행의 목적은 없다"고 한다. 그럴 수도, 아닐 수도 있다.
여행을 한다고 해서 무조건 변하는 건 아니다. 일상과 마찬가지로 여행도 '만들어가야'하기 때문이다. 필요한 변화는 자연스레 오지만, 그건 어떤 여행을 했는가에 달려 있다. 진짜 변화는 머리가 아니라 몸으로 온다.  37

지하철 바뱅역 바로 앞, 몽파르나스대로와 바뱅거리가 만나는 코너에 카페 셀렉트가 있다. 1925년에 문을 열었으니 85년 된 카페다...  40
나이 지긋한 웨이터가 어디서 왔느냐고 묻더니 엽서를 한 장 가져다 준다. 셀렉트의 기념엽서다. 그에게 이곳에서 일한 지 얼마나 됐느냐고 물으니 10년째란다. 10년이란 말에 깜짝 놀라는 나를 보고 그가 말한다. 
"나뿐만이 아니에요. 저기 저 친구는 13년, 바에 있는 필립은 36년째 일하고 있어요. 카페에도 '영혼'이란 게 있죠. 셀렉트에 있다는 것만으로도 우리의 존재감을 느낄 수 있으니까요." ...  43
아침 7시 네온사인에 불을 밝히며 셀렉트가 문을 열면, 그때부터 카페로 와 몇 시간씩 글을 쓰는 사람도 있다. 심지어 일광욕도 한다. 햇볕이 잘 들지 않는 집에 세들어 사는 파리 사람들에게 카페는 집 다음으로 중요하다. ..  45

내가 인도에 다녀와 인도를 부정적으로 생각하게 되었다면, 인도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지 못했기 때문이다. 내가 원하는 모습이 아니라고 인도를 비난하지만, 정작 인도는 죄가 없다. 
내가 그랬듯 사람들은 모두 자기의 경험만 가지고 인도를 멋대로 재단한다. 
인도를 여행한다는 건 엄청나게 불편하고, 심지어 무정부주의적인 혼란을 경험하는 일이다. 인도의 혼란은 가공할 만하다. 극단적으로 이그저틱(exotic)하다. 인도에 가면 지겹게 듣게 되는 말, "이것이 바로 인도다(This is India)!"이기 때문이다. 누군가 나를 속이거나 하는 건 너무나 자연스러운 일이니 화를 내거나 흥분할 필요 없다. 무슨 일이 생겨도 그저 "캬(그게 뭐냐)?" 하고 빈정 담아 한소리 해주거나 "앗차(좋아)!"하고 한마디 하고 잊으면 그만이다.  61
받아들이지 못하면 인도를 떠날 수밖에 없다. 그러니 인도에서는 그저 경험할 뿐이다. 카오스와 아나키즘적 정신을 경험하는 게 인도 여행의 백미다. 인도에서 봐야 할 것은 온갖 '혼란'이다.  63

여행은 일상과 일탈의 경계를 미묘하게 드러낸다. 일상은 일탈을 꿈꾸고, 일탈은 일상을 꿈꾼다.
누구나 일탈을 꿈꾸지만 행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몸도 마음도 무겁다.  66
"여행을 왜 하세요?"
"여행을 통해 무엇을 얻었나요?" 종종 받는 질문이다. 표현은 완곡하지만 실제로는 "도대체 뭐가 있기에 그렇게 오랜 시간 떠돌아다녔느냐"는 의문이다. 난 되묻는다. "여행을 해본 적이 있나요?"  71

처음엔 시간을 구별하려고 애썼다. 하루에는 아침과 저녁이 있어야 할 것 같았다. 그게 없어져 버리면 큰일이라도 날 것처럼 조바심을 냈다. 하지만 열차는 아랑곳하지 않고 그저 달릴 뿐이다. 시간은 구분되지 않는다. 어느 순간 체념에 빠진다. 기차의 흔들림, 소음마저도 시베리아 탓이려니....
시베리아 횡단 열차를 타는 건 차창 밖 빈 공간에 시간 밖으로 떠난 내 이야기를 담는 일인지도 모르겠다. 내게도 '새로운 시간'이 필요하다.  90

누군가 글을 쓰고 싶은데 밥벌이를 걱정하면 '일단 쓰는 게 먼저'라고 말한다. 무슨 일을 하는 데 신중한 것보다는 '그냥 하는 게' 언제나 유익하다. 세상에는 팔리건 안 팔리건 무조건 써야만 하는 사람들이 있고, 이런 사람들은 대개 성공한다.  94
<보헤미안의 샌프란시스코>는 한가지 답을 준다. '삶을 오랫동안 생산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감정적으로나 존재적으로 그 지지기반을 마련하는 게 필요하다. 그 한 가지 방법은 보헤미안의 국제도로 위에 있는 한 정거장에 내려서 그 도시에 머물며 글을 쓰는 것이다. 이를테면 바르셀로나 또는 프라하의 거리를 어슬렁거리며 산책하다가 가끔씩 발길을 멈추고 글을 쓰는 삶의 방식, 그렇게 글 쓰는 인생을 축복하는 것이다.  95

독일에서 영화 공부를 한 몽골 여자 감독이 만든 <황구의 동굴>이란 영황에서 여섯 살 여자아이가 할머니에게 묻는다.
"할머니, 제가 다음 생에 사람으로 태어날 수 있나요?"
할머니는 그저 웃기만 한다. 그러고는 쌀을 한 줌 쥐더니 똑바로 세운 바늘 위로 떨어뜨린다. 펑펑 눈이 쏟아지듯 쌀알이 무수히 떨어져내린다. 쌀알들과 바늘은 아주 가까이 있지만 만나지 못한다. 
"잘 만나지 못하는 구나."
할머니는 다시 쌀을 한 줌 집어 뿌리고 또 뿌린다. 하지만 바늘 끝에는 쌀알이 머물지 못한다.
"다음 생에 사람으로 태어나기란 쌀알이 바늘 끝에 얹히는 것만큼이나 어렵단다. 얘야. 그래서 사람으로 살고 잇는 지금의 삶이 그토록 소중한 거란다."  116
"옴마니밧메훔, 옴마니밧메훔(모든 사람은 연꽃 위의 보석입니다. 모든 사람은 연꽃 위의 보석입니다.)"  116

알랭 드 보통은 레이크디스트릭트를 여행하면서 이렇게 썼다.
'도시의 떠들썩한 세상의 차량들 한가운데서 마음이 헛헛해지거나 수심에 잠기게 될 때, 우리 역시 자연을 여행할 때 만났던 이미지들, 냇가의 나무들이나 호숫가에 펼쳐진 수선화들에 의지하며, 그 덕분에 노여움과 천박한 욕망의 힘들을 약간은 무디게 할 수 있다.'  125

"왜 하필 그곳에 가려고 하죠?"
"스페인까지 가서 한 달 동안 걷기만 한다고요?"
산티아고에 간다고 했을 때 사람들이 물었다. 눈을 동그랗게 뜨고 나를 쳐다보는 그들에게 흔쾌히 해줄 답이 없어 난감했다. 산티아고를 절반쯤 걸었을까, 길 위에서 여러 사람을 만나고 나서야 알았다. 그토록 한심한 행색으로 왜 그 길을 걷고 있는지 아는 사람은 거의 없다는 것을. 하지만 카미노에서는 왜 걷는지를 아는 것보다는 그저 앞으로 걸어가는 게 중요했다. '엘 부르고 라네로'의 대피소 벽에 이런 글이 적혀 있었다.
'순례자여, 당신이 길을 걷는 것이 아니라 당신이 곧 길이다. 당신의 발걸음, 그것이 카미노다.'
나는 카미노에서 현재를 살았다. 하루하루를 어제와 다르게 보낸 그 시간은 모험이었다.
나는 내가 세운 계획대로 카미노를 걸으려 했고, 그러지 못할 때 스트레스를 받았다. 내가 모든 것을 통제할 수 있다는 오만이었다.  136
카미노에서 걷는 속도를 늦추자 오히려 서두를 때보다 더 많이 걸었고 불안도 줄어들었다. 
나는 정신적으로 성장할 것이라는 기대를 안고 이곳에 왔다. 하지만 내가 잊고 있는 게 있었다. 성장을 위해 치러야 할 대가, 그것은 어깨를 짓누르는 배낭의 무게와는 비교도 되지 않는다.  138
카미노는 가르쳐주었다. 실망을 하더라도 집착하지 말며, 현재를 누리되 집착하지 말라고.  139

여행은 아름답다. 여행은 두렵다. 여행은 설렌다....
청춘은 아름답다. 청춘은 두렵다. 청춘은 설렌다....
헤어지고 다시 만나지 못해도 괜찮다. 어차피 구하고 싶은 걸 구할 수 없는 게 청춘이다. 방황을 아름답다고 용인하는 대가다. 청춘을 소유할 순 없다. 그래서 아름답다. 마치 흘러간 여행처럼....  
중년의 남자는 청춘을 그리워하고, 청춘만 되찾으면 될 것 같은 생각에 빠져든다. 하지만 그 시절로 돌아간다고 다시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고, 눈물 없이 그 시절을 살아낼 수 있을까? 다시 아프고, 다시 눈물이 흐르고... 아물어갈 것이다. 청춘은 방황이니까.
우리는 다시 못 볼 길을 떠난 것이다. 일회용 카메라를 든 나이 많은 남자는 그걸 안다. 그의 사진이 무언가를 움켜잡고 있지 않은 이유다.<청춘·길> 
'우리가 떠나온 세계들은 멈추지 않고 계속 돌아간다. 몇 광년이 걸리는 여행에서는 우리가 떠나온 세계가 우리보다 빨리 늙어버리기 때문에 그 세계를 다시 찾을 수 없는 것과 같다. 라오스에는 "씨윗 코 펜법 니(사는게 그런거야, chivit ko pen bep ni)"라는 말이 있다. 머나먼 여행을 떠나면서 친구에게 남기는 말이다. 우리는 어쩌면 다시 못 볼지도 모른다. 그 사실을 우리는 출발할 때 이미 알고 있었다.'  146-147

"그래그래, 그게 세상이야. 맙소사! 그게 세상이야! 길이 있는 한 계속 어디든 갈 수 있어. 정말 굉장해! 맙소사! 너무 굉장하다고! 우리는 계속 달리는 거야!  155
나는 늘 자유를 꿈꾼다. 하지만 몸은 움직이지 않고, 매번 어디로 가야 할지 재기만 한다. 그렇게 신중한 나는 내가 어디로 가고 있는지 아는 걸까?  157

알래스카에선 우리도 언젠가는 자연의 일부가 된다는 것을 알게 되며, 그렇기에 슬픈 일이 닥쳐도 자연을 보면서 견딜 수 있다고 했다.  177
변해가는 생활 속에서 반드시 지켜야 하는 것, 자기들이 누구인지를 항상 가르쳐주는 것이 있다. 에스키모들에게는 그것이 바로 고래잡이다.  178
알래스카에서 시간은 서울에서 보다 더 빠르게 흐르는 것 같다. 순간순간 생명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의식하게 된 탓이다. 알래스카에 빠지면 이런 생각을 하게 된다. 모든 생명에게 살날은 얼마 남지 않았고, 나도 예외는 아니라는....그러니 인디언섬머처럼 투명하게 살고 싶다는.... 물망초의 꽃말은 '나를 잊지 말아요(forget me not)'  179

일곱 살 때 소아마비로 오른쪽 다리를 절게 되고, 열여덟 살 때 교통사고로 척추와 골반이 부러진 프리다의 불행만을 떠올리고 있는 거라면, "그렇게 슬퍼하지 않아도 돼요."라고 말해주고 싶다. 프리다에 대해 말할 때 '그림으로 고통을 승화시켰다'는 식의 말이 상투적인 것처럼, 그녀가 당한 사고만으로 그녀를 불행한 여인으로 만드는 것은 당치 않다. 프리다는 한술 더 떠 이렇게 말할지도 모른다.
"나 때문에 눈물을 흘리나? 교통사고나 디에고의 외도로 인한 고통이 내 삶의 전부는 아니야. 기쁨과 절망이 공존하긴 했지만 나는 원없이, 하고 싶은 대로 하며 살았어. 내가 당신보다 불행할 거라는 생각은 착각이야.  184-185

내 앞에 놓인 길만 보면 가슴이 설레고, 그 길로 가야만 할 것 같던 때가 있었다. 지금도 불쑥불쑥 그럴 때가 잇다. 하지만 어딘가에 뿌리를 내리고, 조그만 집을 짓고, 거실의 통창과 테라스 너머 산과 들이 보이는 곳에서 낚시를 하고, 채소를 키우고, 글을 쓰며 살면 좋겠다는 생각도 든다. 햇살이 따스한 날엔 바람을 맞을 수 있는 테라스에 앉아 커피를 마시거나 도시락을 들고 피크닉을 가면 좋겠다. 돈이 필요하다면 방을 두 개쯤 더 만들어 게스트하우스처럼 손님을 맞으며 살면 되지 않을까?  200
한국을 떠나야만 여행을 하는것이 아닌 것처럼 길은 집 밖에만 있지 않다. 길에는 시작과 끝이 있을까?  201


여행을 하는 데 나이는 상과없지만, 무엇을 느끼는가는 나이에 따라 다르다. 지금 여행을 하는 느낌과 스물일곱 살때 여행을 하는 느낌은 다르다. 스물일곱에 '청춘의 여행'을 한다면 이제는 '마흔의 여행'을 한다.
나는 이제 전보다 여행을 더 즐길 수 있게 되었다. 무엇을 봐야겠다고, 어디에 가야겠다고 안달하는 게 덜해졌다. 무엇을 보지 못하면 다음에 와야지, 사진을 찍지 못하면 마음에 담아야지, 순순히 수긍한다. 여행을 가서까지 속을 태우며 조급하게 굴 이유는 없다. 안달은 한국에서 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길 위에서 지금 이 시간을 즐기려 한다.  334
배낭여행은 대개 청춘의 전유물처럼 여겨진다. 하지만 배낭여행은 중장년 여행자들에게 더 잘 어울리는지도 모른다. 낯선 세상을 받아들이는 깊이가 오로지 나이에 따라 달라진다고 말할 순 없지만, 여행을 하면서 다른 세상을 대하는 시선만은 연륜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마흔의 여행'이 좋다.  335
청춘의 시절에는 원하는 대로 여행을 즐겨라. 원하는 모든 것을 시도하라. 때로는 가이드북의 정형보다는 방종이 더 유익하다. 청춘에겐 더욱 그렇다.  337

<여기에 사는 즐거움>에서 '지구를 제집처럼 돌아다니며 목숨을 걸고 배우는 것도 의미 있는 삶의 방식의 하나다. 하지만 그런 삶을 대다수인 우리가, 더욱이 일생 동안 계속할 수는 없다. 인생의 어느 시기에 배움과 동경의 여행은 끝나고, 여기에 사는 게 시작된다. 여기에 산다고 하는 것은 인생여행의 참다운 시작이다.'
동시에 여기에 산다는 것은 '여기에 사는 슬픔과 괴로움'을 받아 안는 일이다. 살아 있는 모든 생명은 가엾고 불쌍한지 모른다.
'여기에 산다고 하는 것은 호화로운 즐거움을 찾는 게 아니다. 그런 즐거움이 있어도 물론 나쁘지 않다. 그러나 내게는 일상 속에서 계속 되는 즐거움이야말로 가장 좋다.
좋은 땔감을 때면 자연스레 불길도 좋다. 좋은 기분으로 불을 때면 저절로 좋은 불길이 생긴다. 그날은 손수 골라온 좋은 땔감으로, 그리고 좋은 기분으로 불을 지폈기 때문에 흔히 볼 수 없는 불길이 조용히 타올랐다. 겨우 목욕물을 데우는 일뿐이기는 하지만, 그런 불을 바라보고 잇으면 인생은 완벽하고 무엇하나 부족한 것이 없는 듯 느껴지곤 한다.'  348-349

Posted by WN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