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은 이제 신화의 시대는 갔다고 말하낟. 한없이 복잡다단해지는 현대사회 속에서 우주의 근원이니 신이니 하는 알 수 없는 세계로 들어갈 여유가 없어진 것이다.  8


이슬람교는 신자도 (인도)전체 인구의 12% 이상(결코 적은 숫자가 아니다. 인도 인구가 12억이니 1억 4천이 넘는 것이다)이며, 타지마할이나 쿠트브미나르, 자마 마스지드 등 대단한 건축 유산을 남기고 있다. 남인도의 고아 지방 같은 경우는 기독교의 세력이 만만찮을 뿐만 아니라 그곳의 기독교 사원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불교, 자이나교의 유산도 인도 역사를 더욱 풍부하게 한다. 그런데 잘 들여다보면 인도에 뿌리를 내린 모든 종교는 브라흐만교(바라문교)와 힌두교의 신화를 껴안고 있음을 확인하게 된다.  10-11


자이푸르의 현대식 힌두교 사원인 락슈미 나라야나 사원 벽면에는 예수와 프란체스코, 공자의 상이 있다. 


인도 신화는 크게 베다 신화(브라흐만교 신화)와 힌두교 신화로 나뉠 수 있다. 인도 종교의 역사를 거칠게 나눠보면, 기원전 15~5세기는 브라흐만교, 기원전 6~5세기부터 기원후 8~9세기는 불교, 6~7세기 이후는 남인도에서 지속적으로 유지되어온 브라흐만교를 계슬 발전시킨 힌두교가 점차 불교를 완벽하게 흡수하였고, 12세기 이후는 이슬람교가 승하였다. 인도신화는 브라흐만교 시대와 힌두교 시대에 형성된 것을 말한다.  11


고대 인도인들은 자연과 싸우려 하지 않고 자연을 신으로 모셨다.

베다의 신화는 바로 자연물과 자연현상을 신격화한 이야기이다. 그리고 그 신화를 창조한 이들은 시인들, 곧 리쉬(Rsi)들이었다.  31


인도인은 착하고 고운 신보다는 힘 있는 신을 좋아한다.  41


인드라는 갈색이나 황금색 피부에, 네 개의 팔과 천 개의 눈을 가지고 있으며, 두 손에는 창을, 한 손에는 바즈라(번개, 금강저)를, 그리고 나머지 손에는 아무것도 들지 않았다. 천 개의 눈을 가지고 잇으므로 우주의 모든 일을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인드라와 나중에 나오는 천 개의 팔을 가진 라바나가 합치면 천수천안(千手千眼)의 관세음보살이 됨은 쉽게 짐작할 수 있겠다.  44


인간에게 불을 준 신이나, 불을 주관하는 신을 섬기는 경우는 있지만, 불 자체가 신이 된다는 상상력은 오직 인도에서만 가능했던 것 같다. 자연 자체를 신성화했던 인도인들이, 음식을 맛있게 먹을 수 있게 해주고 집안을 밝고 훈훈하게 해주는 불을 성스러운 존재로 여긴 것은 당연했다.  54-55


인도인들은 자신의 몸을 화장한다. 화장함으로써 자신이 신의 세계에 갈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가능하면 자신의 몸이 깨끗하게 화장되기를 원한다. 그래서 돈이 많은 사람들은 장작을 충분히 사서 화장하는 것이다. 지금도 바라나시의 마니카르니카 가트에는 수많은 시체가 자신의 몸을 태우면서 신에게로 한발짝 한발짝 다가가고 있다.  62


오늘날 인도에는 베다의 자연신들이 없다.

베다 신화가 유목민인 아리아 족의 신화를 중심으로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아리아 족 이전에 인도에는 주로 드라비다 족이 살고 있었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모헨조다로와 하랍파를 중심으로 형성된 인더스 문명이 곧 드라비다 족이 구축한 세계이다. 청동기를 쓰는 드라비다 족은 철기를 쓰는 유목민족 아리아인에게 정복당했고, 결국 인도의 주류신화를 아리아 신화가 되었다.  122-123


유목민인 아리아인이 구축한 베다 신화는 그러다보니 현세적인 신이 주류를 이루게 되었다. 

무서운 신들을 달랠 수 있는 것이 제사라고 믿었기 때문에 브라흐만교의 제사와 의식은 대단히 복잡하고 정교했다. 

브라흐마나 계급의 부패를 틈타 무사 계급인 크샤트리아가 힘을 키우기 시작한다. 

왕조의 모습이 윤곽을 잡아나갔다.

전쟁이 잦아지면서 다양한 물자를 제공할 상인 계급도 강력하게 부상한다.

브라흐마니즘의 권위가 떨어지는 것도 당연했다.  124-125


답이 사라진 인도 땅에 새로운 깨달음을 구하러 떠나는 사람들이 생겼는데, 그들을 슈라만이라고 불렀다. 

돋보이는 인물이 두 사람 있었으니, 한 살마은 고타마 싯다르타요. 다른 한 사람은 마하비라였다.  125


마하비라는 극단적이고 철저한 고행을 통해 과거의 업을 제거하는 것이 또다른 업의 유입을 막을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이며, 그럴 수 있을 때 해탈에 이른다고 말한다. 

집착을 거부함으로써 해탈에 이를 수 있다는 불교의 입장과는 달리, 이 우주에는 생명체의 수만큼이나 많은 자아가 있다고 주장한다. 자아가 있는 곳에는 카르마(Karma, 業)가 존재하므로, 그 카르마를 고행을 통해 제거함으로써 완전한 해탈에 도달한다고 말한다.

불교와 자이나교의 중요한 특징이자 공통점은 베다의 권위를 부정한다는 것이다.

정통은 베다의 권위를 인정하는 철학이요. 비정통은 베다의 권위를 부정하는 철학이다.  126-127


기원전 6세기경부터 정통파 내에서도 브라흐마니즘에 대한 변화를 추구하는 세력이 생겨서 자체적으로 정화해 나갔다. 중세 기독교가 부패하자 종교개혁이 일어났듯이, 브라흐만교의 근본적인 반성을 부르짖는 젊은 브라흐마니들이 생겨난 것이다. 그들은 재정립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그 주장을 논리적으로 구성하기 시작했다. 그렇게 해서 탄생한 경전이 바로 우파니샤드이다.

우파니샤드에 오면 베다 시대의 수많은 자연신은 하나로 모인다.  127


우파니샤드에서 브라흐만과 함께 가장 중요한 개념인 '아트만(Atman)'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개체 속에 현존하는 신성이 곧 아트만(참자아)이다. 

한자성어로는 범아일여(梵我一如)로서, '브라흐만과 아트만은 하나다'라는 뜻이다.  128


우파니샤드 시대에는 브라흐마니즘이 철학화함을 알 수 있으며, 이로부터 브라흐마니즘이 발전한 힌두교에 이르면 비로소 다신교라기보다는 '유일신교'의 성격을 띠게 된다. 그러나 지나치게 철학화하면 브라흐만이라는 근본적인 '신성'을 믿는다는 것이 민중에게는 실감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그 신성은 다시 신격화 또는 인격화할 것을 요구한다. 그리하여 창조의 신 브라흐마와 유지의 신 비슈누, 파괴의 신 시바가 탄생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우리가 인도 땅에서 만나는 수많은 신전은 대부분 이 세 신과 관계를 맺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비슈누와 시바는 인도의 도처에서 앉아 있거나 서 있거나 누워 있거나 요가를 하는 자세로 우리를 맞이한다. 인도에 들어서는 순간 우리는 그들을 만날 수밖에 없다. 그러기에 인도를 신의 땅이라 하는 것이다.  129-130


힌두교도는 삶의 세 가지 중요한 목표를 설정하여 일생을 매진한다. 

첫째는 아르타(Artha), 아르타는 '유일'이란 뜻으로 정치나 전쟁. 가정과 국가의 번영을 의미한다. 인도인은 일생에서 이 아르타를 중요한 목표로 삼는다.

둘째는 카마(Kama), 즉 에로스, 사랑을 추구한다. 사랑은 후손을 낳기 위한 수단일 뿐만 아니라 삶의 윤활유가 된다. 그러기에 인도의 사원에는 성행위를 형상화한 미투나(Mithuna, 성행위를 묘사한 인도의 조각이나 회화)가 노골적으로 전시되고 있는 것이다. 

셋쩨는 목샤(Moksa), 즉 해탈(解脫)을 추구한다. 윤회의 사슬에서 해방되어 진정한 자유의 경지에 진입하는 것을 꿈꾸는 것이다.

이 세 가지 목표를 향해 인도인은 다르마(Darma, 法)에 충실한 삶을 살고자 노력하낟. 다르마는 두 가지 차원으로 살펴볼 수 있다. 개인적인 차원과 사회적인 차원이 그것인데, 개인적인 차원은 아슈라마(Asrama)이론, 즉 인생의 단계설로 정리되고, 사회적인 차원은 바르나(Varna), 즉 카스트 이론으로 정리된다.

아슈라마는 사람이 인생을 살아가는 데 네 단계를 밟아야 한다고 역설한다. 

첫째가 범행기(梵行期, Brahmacarya)인데, 심신이 훈련과 단련의 시기이다. 어린 시절 배움의 시기를 생각하면 되겠다. 

둘째 단계는 가주기(家住期, Garhastya)이다. 이 시기는 가장으로서 책임과 의무를 다해야 할 시기로, 혼인하여 자식을 낳고, 또 그 자식을 출가시킬 때까지의 시기를 말한다. 

셋째 단계는 임서기(林棲期, Vanaprasthya)이다. 이때부터는 영적인 훈련을 하는 시기로 고행과 명상을 통해서 깨달음을 얻도록 노력해야 하는 시기이다. 

마지막 단계는 유행기(流行期, Samnyasa)로서, 삶을 정리하면서 해탈의 길을 걷는 시기이다.

이렇게 보면 힌두교는 불교나 자이나교에 비해 현세 지향적임을 알 수 있다. 궁극적으로 해탈을 지향하는 것이 옳지만, 현실적으로 여론을 주도하는 장년기까지는 지극히 현세적인 것을 추구하는 것이 정당화되고 있는 것이다. 그것이 불교나 자니아교 등 비교적 현실적인 이익을 추구하는 것을 부정하는 종교가 인도인의 의식을 끝내 붙잡지 못했던 이유는 아닐까?  129-132



브라흐마의 역할은 창조의 임무를 다하는 순간 실질적으로 끝났기 때문에 그의 지위는 시비나 비슈누에 비해 사람들 사이에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인도 여행 중 만나는 주요 신은 주로 시바와 비슈누를 비롯하여 그들과 관계 있는 신이다.  141-142 


(사진을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음)



브라흐마를 주신으로 모신 사우너은 푸쉬카르의 브라흐마 사원 하나밖에는 없다.  162


인도의 철학자 라다크리슈난의 말대로 "세계는 자기 파괴에 의해서 자기를 완성시킨다"는 것이 인도인. 그리고 인도신화의 세계관이다.  165


아무리 힘센 신일지라도 힌두교에서는 고행을 하지 않으면 그의 힘은 보잘것 없어진다.  259


아부 산에서는 마운트 아부 투어를 할 필요가 있다. 버스는 아부 산의 중요한 볼거리를 대부분 보여준다. 브라흐마 쿠마리 대학, 아다르 데비 템플, 구루 쉬카르 템플, 아차르가르 템플, 그리고 이름난 자이나교 사원인 딜와라 템플 등을 돈다.  336


Posted by WN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