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계에게 공부법을 배우다>를 매우 재밌게 읽었다.
그리고 공부에 대한 생각들을 다시금 정리해 볼 수 있는 시간이었다. 퇴계공부법을 읽을 당시 이 책을 알게되고 매우 빨리 읽었었다.
당시 이 책도 매우 재밌게 읽었었다. 상황상 다시 읽어야겠다는 생각만 하고 지금까지 생각만하고 있었던 것 같다.
도서관에서 배회하다가 갑자기 이 책이 생각이 났고, 마침 도서관에 책이 비치되어 있었다.
반갑게 책을 들었다. 그리고 지난번 보다 더 재미있게 글을 읽었다.

근래 논어 해설서를 다시금 보아서 인지 내용들이 매치되면서 더 다양한 생각이 들었다. 
이번에 밑줄그은 내용들은 그러한 생각들을 담고 있는듯하다.
줄을 그으면서 좀 많다는 느낌을 받을 정도였다.
 
글을 쓸때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정도일 것이다.
정도의 개념을 정리하기가 쉽지는 않은데, 책을 통해 오늘날에 필요한 글쓰기의 개념을 정리할 수 있었다.
오늘날은 누구나 글을 쓰는 것이 가능해 졌다.
자신의 생각을 논리정연하면서도 보고싶은 글이 될 수 있게, 그에 더불어 울림이 있는 글이 될 수 있게 한다는 것에 무엇이 필요한지 생각해 볼 수 있다.
기교가 우선이 아니다. 미사여구가 우선이 아니다. 글쓰는 이의 자세로 시작하여 내용이 합리적이어야 할 것이다.
...
 




"... 이인로(李仁老)가 이런 말을 했다. '이 세상 모든 사물 가운데 귀천과 빈부를 기준으로 높낮이를 정하지 않은 것은 오직 문장뿐이다.' 문장의 미래를 정확히 예견한 말이지."(김향서가 아들 지문에게 자신이 과거를 보지 않은 이유는 어머니때문이라고 말을 하는 중에 했던 말)
"믿기 어렵습니다."
"그렇지 않다. 네가 멸시하는 소설이나 소품 같은 살아 있는 글들을 사람들이 앞다퉈 찾게 될 날이 머지 않았다. 왜냐하면 바로 자신들의 이야기거든. 저마다의 가슴속에 묻어둔 사연들을 너무도 생생히 그려내고 있단 말이지. 지금은 받아들이기 어렵겠지만, 곧 그리될 것이다. 이것만큼은 내가 장담한다."  46

지문의 글 '글이란 뜻을 그려내는 데 그칠 따름이다. 저와 같이 글제를 앞에 놓고 붓을 쥐고서 갑자기 저잣거리에서 오가는 말을 그대로 받아 적을 생각만 하거나, 억지로 경서의 뜻을 무시하고 일부러 경박한 척하여 글자마다 우스꽝스럽게 만드는 것은, 비유하자면 화공(畵工)을 불러 초상을 그리게 할 적에 용모를 가다듬고 그 앞에 나서는 것과 같다. 시선은 쉴새없이 움직이고, 옷은 주름이 가득 져서 본래 모습을 잃어버린다면, 아무리 훌륭한 화공이라 하더라도 참모습을 그려내기 어려울 것이다. 글을 짓는 사람도 마찬가지다.'
"됐다. 그만하면 됐다. 그 아버지에 그 아들이구나."
연암은 중현에게 "책장에서 <공작관문고(孔雀館文稿)>를 가져오너라."
'글이란 뜻을 그려내는 데 그칠 따름이다. 저와 같이 글제를 앞에 놓고 붓을 쥐고서 갑자기 옛말을 생각하거나, 억지로 경서의 뜻을 찾아내어 일부러 근엄한 척하고 글자마다 정중하게 하는 것은, 비유하자면 화공(畵工)을 불러 초상을 그리게 할 적에 용모를 가다듬고 그 앞에 나서는 것과 같다. 시선은 움직이지 않고, 옷은 주름 하나 없이 펴져서 본래 모습을 잃어버린다면, 아무리 훌륭한 화공이라 하더라도 참모습을 그려내기 어려울 것이다. 글을 짓는 사람도 마찬가지다.'
...
연암은 글에서 무조건 옛것을 따르는 추세를 비판했지만, 지문은 몇 구절을 바꾸어 무조건 새것을 추구하는 추세를 비판했던 것이다.  58-59

"자네는 몇 자나 아는고?"
"네?"
"몇 자나 아느냐고 물었느니라."
...
"아는 글자가 없습니다."
"허허, 십 년 넘게 글을 읽었다면서 아는 글자가 없다니 말이 되느냐?"
"부끄럽습니다. 생각해보니 제대로 아는 글자는 하나도 없습니다. 그저 읽고 외웠을 뿐 글자의 참 의미를 깨닫진느 못했습니다."  63-64

"과거를 보는 데는 경전을 외우고 과문을 익히기만 하면 되네. 하지만 경전은 음미하는 것이지 달달 외우는 것이 아니야..."  65

"많이 읽고 외우는 것이 능사가 아니야. 하나를 알더라도 제대로 음미하고 자세히 생각하는 것이 중요하네. 알아듣겠는가?"
"네."
"우선 <논어(論語)>를 천천히 읽게. 할 수 있는 한 천천히 읽어야 하네. 그저 읽고 외우려 들지 말고 음미하고 생각하면서 읽게. 잘 아는 글자라고 해서 소홀히 하지 말아야 하네. 반드시 한 음 한 음을 바르게 읽게."  67

지문은 <논어>의 주요 구절들을 이미 다 외우고 있었던지라 다시 소리 내어 천천히 읽으려니 답답해 가슴이 터질 것 같았다. 이런 식으로 읽다가는 평생토록 읽어도 몇 권 못 보겠다는 생각이 절로 들었다....
연암이 그렇게 읽으라고 한 데는 다 이유가 있을 터였다. 지문은 책을 덮고 싶은 충동을 꾹 참아가며 느릿느릿 읽어 나갔다...
차츰 재미가 붙기 시작했다.
꼼꼼하게 읽다 보니 예전에는 별 의심 없이 지나쳤던 구절들이 하나하나 걸렸다.  68
한 달여 시간이 지났다.
지문은 질문을 빼곡히 적은 찌들이 가득한 <논어>를 들고 연암을 찾아갔다.  69

"이유당(怡愉堂) 이덕수(李德壽) 선생은 일찍이 이렇게 말했다. '독서는 푹 젖는 것을 귀하게 여긴다. 푹 젖어야 책과 내가 서로 어울려 하나가 된다.' 이것이 내가 너에게 주는 첫 번째 가르침이다."  70

문자는 다 같이 쓰는 것이지만 문장에는 쓰는 사람의 개성이 드러나는 법이야.  96

'다섯 자 글귀를 완성하기 위해서는 일생의 정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시구(詩句)가 있다. 글쓰기는 그렇듯 전심전력을 해야 하는 법.  107

'약(約)'과 '오(悟)'의 이치.
문제가 풀리지 않을 때는 거리를 두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네가 이리저리 걸으며 까마귀를 본 것이 그 방법이었다. 그럴 때 비로소 문제를 객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것을 일컬어 약의 이치라고 하느니라.
문제를 인식하고 나면 언젠가는 문제의 본질을 깨닫는 통잘의 순간이 오는 법. 네가 갑자기 깨달았다고 한 그 순간이니라. 통찰은 결코 저절로 오지 않는다. 반드시 넓게 보고 깊게 파헤치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것을 일컬어 오의 이치라고 하느니라.  110

연암은 박제가의 마음을 묘사하면서 우우량량(踽踽凉凉)이라고 썼다. 우우량량은 원래 홀로 터벅터벅 길을 걸어가는 모습을 형용하는 말이다.  147

"변할 '변(變)'자 정도를 겨우 알게 된 듯 싶습니다."
"그렇네. 의고주의자(擬古主義者, 고대의 것을 표본으로 삼아 모방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의 폐단이 임시변통으로 전통을 답습하는데 있으니, '변'이라 함은 지금 현실에 맞게 대응하는 능력을 의미하는 것일세. 옛것을 모범으로 삼되 변통할 줄 알아야 한다는 뜻이지. 바로 '법고이지변(法古而知變)'의 이치인 것이야."
"또 하나, 더불어 잊어서는 안 되네. 변통하되 법도를 지켜야 한다는 것, 바로 '창신이능전(創新而能典)'의 이치야."
"연암이 늘 내게 당부한 것이 하나 있었네. 옛 글의 격식에 얽매이지 않는 것은 좋으나 너무 새것만 추구한 나머지 가끔 황당한 길로 가는 경향이 있으니 조심하라고 말이야. '전(典)'이라 함은 현실에 대응하여 얼마든지 변화할 수 있지만 바른 기준이 있어야 한다는 뜻이지."(박제가와의 대화)  148

글이 잘 되고 못 되고는 내게 달려 있고, 비방과 칭찬은 남에게 달려 있는 것이니, 비유하자면 귀가 울리고 코를 고는 것과 같다. 
한 아이가 뜰에서 놀다가 제 귀가 갑자기 울리자 놀라서 입을 다물지 못한 채 기뻐하며 가만히 이웃집 아이더러 말하기를, "너 이 소리 좀 들어봐라. 내 귀에서 앵앵 하며 피리 불고 생황부는 소리가 나는데 별같이 동글동글하다!" 하였다. 이웃집 아이가 귀를 맞대어 들어보려 애썼으나 끝내 아무 소리도 듣지 못했다. 그러자 아이는 안타깝게 소리치며 남이 몰라주는 것을 한스러워했다.
일찍이 한 촌사람과 동숙한 적이 있다. 그 사람은 어찌나 우람하게 코를 고는지 그 소리가 마치 토하는 듯도 하고, 휘파람을 부는 듯도 하고, 한탄하는 듯도 하고, 숨을 크게 내쉬는 듯도 하고, 후후 불을 부는 듯도 하고, 솔에서 물이 끓는 듯도 하고, 빈 수레가 덜커덩거리며 구르는 듯도 했으며, 들이쉴 땐 톱질하는 듯하고 내뿜을 땐 씩씩대는 것이 마치 돼지 같았다. 그러다가 남이 일개워주자 그는 "난 그런 일 없고"하며 발끈 성을 내었다.
아, 자기만 홀로 아는 사람은 남이 몰라줄 것을 항상 근심하고, 자기가 깨닫지 못한 사람은 남이 먼저 깨닫는 것을 싫어 하나니, 어찌 코와 귀에만 이런 병이 있겠는가. 문장에도 병이 있으니, 덕욱 심하다. 귀가 울리는 것은 병인데도 남이 몰라 줄까 봐 걱정하는데, 하물며 병이 아닌 것이야 말해 무엇하겠는가. 코 고는 것은 병이 아닌데도 남이 일깨워주면 성을 내는데, 하물며 병이야 말해 무엇하겠는가.
"무슨 의미인지 알겠느냐?"
"글쎄요..."
"그럼 잘 듣거라. 귀가 울리는 이명(耳鳴)은 당사자만 알수 있다. 하지만 코골이는 어떠한가?"
"당사자는 모르고 다른 사람만 압니다."
"이명을 가진 이나 코를 고는 이나 답답하기는 매한가지다. 문장도 마찬가지지. 열심히 썼는데 아무도 몰라준다면 그것은 바로 귀가 울리는 자가 자기 입장만 생각해서 썼기 때문이고, 자기 글을 남들이 이러쿵저러쿵 비평하는 데도 이해하지 못한다면 그것은 무슨 소리일 줄도 모르고 글을 썼기 때문이지. 그렇다면 귀가 울리고 코를 고는 병폐를 깨달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겠느냐?"
"자신의 글에 대해 정확히 알아야 합니다."
"옳거니, 글을 아무리 잘 썼다 해도 그 뜻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으면 의미가 없어. 글을 쓸 때는 내 생각을 다른 이에게 전달할 수 있어야 하네, 법고 창신의 정신이 중요한 까닭도 바로 그 때문이야."  149-151

"자네가 꼭 내 제자 같아 잔소리 삼아 한마디만 더 하겟네. 기왕 시작햇으니 붓 끝을 도끼 삼아 거짓된 것들을 찍어버릴 각오로 글을 쓰게나. 알겠나?"  155

우리 형님 얼굴 수염 누구를 닮았던고.
돌아가신 아버지가 생각나 때마다 우리 형님 쳐다봤지.
이제 형님 그리우면 어드메서 본단말고
두건 쓰고 도포 입고 가서
냇물에 비친 나를 보아야겠네.  163

화의 정승이 조정에서 돌아오자 딸이 물었다. 
"아버지, 이가 어디에서 생기나요? 옷에서 생기지요?"
"그럼"
딸이 웃으며 말했다.
"내가 이겼다!"
이번에는 며느리가 물었다.
"아버님, 이는 살에서 생기지요?"
"그럼."
며느리가 웃으며 말했다.
"아버님께서 제 말이 옳다고 하시네요!"
그러자 부인이 정스을 나무라며 말했다.
"누가 대감더러 지혜롭다 하는지 모르겠군요. 옳고 그름을 다투는데 양쪽 모두 옳다니요!"
황희 정승이 빙긋이 웃으며 말했다.
"둘 다 이리 와보렴. 무릇 이는 살이 없으면 생길 수 없고, 옷이 없으면 붙어 있지 못하는 법이니, 이를 통해 보면 두 사람 말이 모두 옳은 게야. 그렇기는 하나 농 안의 옷에도 이는 있으며, 너희들이 옷을 벗고 있다 할지라도 가려움은 여전할 테니, 이로 보면 이란 놈은 땀내가 푹푹 찌는 살과 풀기가 물씬한 옷, 이 둘을 떠나 있는 것도 아니고, 꼭 이 둘에 붙어 있는 것도 아니거늘, 바로 살과 옷의 사이에서 생긴다고 해야겠지."
사이의 묘..
"그저 양쪽의 입장을 모두 고려하라는 식의 역지사지(易地思之) 정도로 들어서는 안 되느니라. 보다 중요한 것은 양쪽의 입장을 고려해 무엇을 얻을 것인가 하는 것이다. 양쪽을 고려하되 반드시 새롭고 유용한 시각을 창출해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항상 내가 서 있는 자리와 사유의 틀을 깨고 나갈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알겠습니다."
"이로써 한 자를 더 익혔구나."
"네, 사이 간(間) 자를 비로소 알았습니다."  182-184

"진정 두려워 해야 하는 것은, 바로 네가 스스로를 잊는 것이다."(아버지가 아들 지문에게 한 말)  196

천하에서 가장 친밀한 벗으로는 곤궁할 때 사귄 벗이고, 우정의 깊이를 가장 잘 드러내는 것으로는 가난을 상의한 일을 꼽습니다. 아! 청운에 높이 오른 선비가 가난한 선비의 집을 수레 타고 찾은 일도 잇고, 포의(抱義)의 선비가 고관대작의 집을 소맷자락 끌며 드나든 일이 있기는 합니다. 하지만 그렇듯 절실하게 벗을 찾아다니지만 마음 맞는 친구를 얻기는 어려우니, 과연 그 이유가 무엇일까요?
벗이란 술잔을 건네며 도타운 정을 나누는 사람이나 손을 부여잡고 모릎을 가까이하여 앉은 자만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말하고 싶은 것이 있어도 입 밖으로 꺼내지 않는 벗이 있고, 말하고 싶지 않은 것이 있으나 저도 모르게 입 밖으로 튀어나오는 벗이 있습니다. 이 두 부류의 벗에서 우정의 깊이를 짐작할 수 있습니다.(박제가의 문생 연수의 글)  202

"세상에 이름을 날리고 싶었다. 벼슬을 얻어 내 재주를 좋은 일에 사용하고 싶었다. 부질없는 욕심 때문에 어리석은 짓을 저지르고 만거야. 돌이킬 수 없는 일을 말이다. 그때 나는 나를 잊었던 거야. 내가 잔재주만 가진 위인이라는 사실을 까맣게 잊었던 게지. 지문아, 나 하나로 족하지 않겠니.."(형암 이덕무의 제자였던 아버지는 과거시험에 스승을 글로 응시했었음)  216

글을 잘 짓는 자는 아마 병법을 잘 알 것이다. 비유컨대 글자는 군사요, 글 뜻은 장수요, 제목을 적국이요, 고사(故事)의 인용은 전장의 진지를 구축하는 것이요, 글자를 묶어서 구(句)를 만들고 구를 모아서 장(章)을 이루는 것은 대오(隊伍)를 이루어진을 치는 것과 같다.
운(韻)에 맞추어 읊고 멋진 표현으로써 빛을 내는 것은 징과 북을 울리고 깃발을 휘날리는 것과 같으며, 앞뒤의 조응(照應)이란 봉화요, 비유란 유격(遊擊)이요, 억양 반복(抑揚反覆)이란 맞붙어 싸워 서로 죽이는 것이요, 파제(破題)한 다음 마무리하는 것은 먼저 성벽에 올라가 적을 사로잡는 것이요, 함축(含蓄)을 귀하게 여기는 것은 늙은이를 사로잡지 않는 것이요, 여운(餘韻)을 남기는 것은 군대를 정돈하여 개선하는 것이다.(지문이 과거 시험장에서 쓴 글, 제출하지 않고 버렸으나 연암의 지인이 시험관이라 주워서 연암에게 줌)  228

"하나만 물어보자. 어떻게 글을 병법에 비유할 생각을 하였느냐?"
"과장에 들어가기 전 병사들이 훈련하는 모습을 보았습니다. 구령에 맞추어 대오를 만들고 흩어지고, 그러기를 반복하더군요. 처음에는 병사들의 움직임이 어설프다 싶었는데, 연습이 거듭될수록 일사불란해졌습니다. 그걸보고 있노라니 문득 글도 병볍과 비슷하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병법을 잘 하는 자는 버릴 만한 병졸이 없고, 글을 잘 짓는 자는 가릴 만한 글자가 없다. 말이 간단하더라도 요령만 잡으면 되고, 토막말이라도 핵심을 놓치지 않으면 험한 성이라도 정복할 수 있는 법이지. 그러므로 글쓰기는 곧 병법이니라."
잠시 지문을 노려보뎐 연암이 말을 덧붙였다.

"네가 허투루 배우지는 않은 듯하구나. 가르친 것들을 제법 나름대로 체득한 듯 여겨진다 그래, 글자는 군사요 글 뜻은 장수라 했는데, 그건 무슨 의미더냐?"
"군대는 지휘하느 ㄴ장수가 있어야 전쟁에서 이길 수 있습니다. 군사의 수가 아무리 많다 하더라도 지휘 체계가 갖추어지지 않으면 제대로 운용되지 않습니다. 글도 마찬가지라 생각 했습니다. 글자만 늘어놓는다고 해서 글이 되지는 않습니다. 명확한 주제를 가지고 글을 전개해야 제대로 된 글이 완성됩니다."

"제목을 왜 적국(敵國)이라 했느냐?"
"전쟁을 하는 목적이 적국에게 승리하기 위해서이듯 글을 쓰는 것 역시 결국 제목, 즉 문제와의 대결이라 생각했습니다. 문제의 의미를 정확히 파악한 뒤에 공략할 방략을 연구해야 제대로 된 글을 쓸 수 있다는 뜻이었습니다."

"고사의 인용을 전장의 진지를 구축하는 것이라고 한 뜻은?"
"진지를 구축하는 목적은 보루를 만들어 안정적으로 싸우기 위함입니다. 고사란 이미 역사적으로 드러난 사실들입니다. 그런 만큼 고사를 사용하면 사람들의 신뢰를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사마천이 즐겨 썼던 방법이기도 하다. 좋다. 그럼, 글자를 묶어서 구를 만들고, 구를 모아서 장을 이루는 것은 대로를 이루어 진을 치는 것과 같다고 한 것은?"
"질서 정연한 군대가 전쟁에서 이기는 법입니다. 논리 정연한 글, 글자 한 자 핝 자가 제자리에서 제 역할을 할대 그 글로써 사람들을 설득할 수 있습니다."

"운에 맞추어 읊고 멋진 표현으로써 빛을 내는 것은 징과 북을 울리고 깃발을 휘날리는 것과 같다고 한 것은?"
"징과 북, 그리고 깃발은 군사들을 독려하는 데 꼭 필요한 것들입니다. 운율과 표현도 마찬가지입니다. 짐짓 무시하기 쉬운 요소들이지만 제대로 사용하면 글에 빛을 더해줍니다."

"앞뒤의 조응이란 봉화라, 이것은 또 무슨 의미인고?"
"봉화는 봉우리와 봉우리를 불빛으로 연결하는 것입니다. 조응도 마찬가지입니다. 글의 앞에서 슬쩍 제시한 것을 뒤에서 다시 잘 설명하는 것이지요. 이렇게 하면 읽는 사람은 궁금증을 가지고 글을 읽기 시작했다가 다 읽을 무렵 만족을 얻을 수 있습니다."

"비유를 유격이라 한 것은?"
"유격은 적이 알아채지 못하게 공격하는 전술입니다. 준비를 못 했으니 상대방은 당하게 마련이지요. 비유도 마찬가지입니다. 제대로 된 비유를 접했을 때 글을 읽는 사람은 감탄하게 됩니다. 전혀 생각하지 못했던 참신한 비유를 읽었을 때는 더욱 그렇지요."

"억양 반복이란 맞붙어 싸워 서로 죽이는 것이라는 의미는 무엇이냐?"
"전장에서 상대방과 맞닥뜨리게 되면 어느 한 쪽은 죽어야 합니다. 그러므로 내가 죽지 않으려면 상대방을 완전히 죽여야 하지요. 억양이란 처음에 눌렀다가 나중에는 놔주는 기법입니다. 즉, 반복하되 효과를 달리하여 반복해 읽는 사람에게 강한 인상을 주는 것이지요. 읽는 사람은 그 반전의 묘미에 끌려 완전히 글에 제압되는 것입니다."

"파제한 다음 마무리하는 것은 먼저 성벽에 올라가 적으 사로잡는 것, 이것의 의미는?"
"전쟁을 시작햇으면 반드시 성벽에 올라가 적을 사로잡아야 합니다. 파제는 글의 서두를 말하는 것입니다. 시선을 끄는 문구로 글을 쓰는 것도 중요하지만 적을 잡는 것, 즉 글의 마무리도 중요하지요."

"함축을 귀하게 여기는 것은 늙은이를 사로잡지 않는 것, 이것은 무슨 뜻이냐?"
"전쟁터에서 노인을 잡는 것은 번거로운 일입니다. 오히려 노인을 놓아줌으로써 상대반을 교란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함축이란 그런 것입니다. 별 의미 없어 보이나 실상은 대단한 의미가 숨어 있지요. 그냥 읽으면 모르되 자세히 읽으면 의미를 파악하고 '이것이로구나!' 무릎을 치게 되는 것입니다."

"여운을 남기느 것은 군대를 정돈하여 개선하는 것이다. 이것은 무슨 의미냐?"
"군대의 개선은 사실 의미없는 절차입니다. 전쟁은 이미 끝이 났으니까요. 하지만 개선을 통해 승리를 되새김질하게 되는 장점이 있지요. 여운도 그렇습니다. 글이 끝난 뒤에도 읽은 사람이 아쉬워하며 다시 보게 되는 것, 두 번 세 번 즐기는 것, 그것이 바로 여운입니다."

"훌륭하구나. 그런데 네가 지금 말한 것들은 다시 몇 가지로 분류할 수 있을 것 같구나. 이를테면, 이치(理致)와 혜경(蹊逕)과 요령(要領)밑에 넣을 수 있지 않을까."
지문은 연암의 말을 어렵지 않게 알아차렸다. 이치는 전체 틀을 말하는 것이리라. 또한 혜경은 지름길이니 구성 장식을, 요령은 세부 표현을 일컫는 것이리라.  229-233



여기서부터는 연암의 아들 종채가 단락의 끝에서 늘 정리하던 부분을 모았다.


정밀(精密)하게 독서하라.  73
관찰(觀察)하고 통찰(通察)하라.
어항 속에 갇혀 있다는 것을 알려면 어항 밖으로 나와야 한다. 그러나 물고기에게 어항밖으로 나오는 일은 목숨을 건 모험이었다. "그래도 나와야지."  115
어항은 곧 책이다. 책을 꼼꼼하게 읽었다면 다음은 객관적인 입장에서 관찰하고 바라보아야 한다. 그래야만 책이 말하는 의미를 명확하게 짚어낼 수 있다.
세상이라는 책도 마찬가지다. 그게 바로 약의 원리다. 약을 알고 난 뒤 넓고 깊게 반복하다 보면 불현듯 통찰의 순간이 온다. 개인의 좁은 안목과 시야가 확장되면서 보편적인 사물의 이치가 드러나는 것이다. 그렇게 오의 단계에 이르면 비로소 그 사물에 대한 글을 쓸 수 있다. 관찰과 통찰이 글을 쓰기 위한 전제 조건이라는 의미다. 마찬가지로 사물에 대한 새로운 통찰 없이는 제대로 된 글을 쓸 수 없다.  116
원칙을 따르되 적절(適切)하게 변통(變通)하라.  의중(意中)을 정확히 전달(傳達)하라.
독서란 책을 읽는 것이다. 그런데 증자의 제자인 공명선은 책을 읽는 대신 스스의 행동을 보고 배우는 길을 택했다. 결국 스승이란 책을 읽은 공명선은 넓은 의미의 독서를 한 셈이었다. 공명선이 택한 길이야말로 독서를 창조적으로 변통한 것이었다. 
한신도 마찬가지였다. 배수진은 병볍에서 금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한신은 무턱대고 병볍을 따르는 대신 병볍의 참의미를 읽어냈다. 이것 또한 창조적인 변통의 좋은 사례다. 
글도 마찬가지리라. 남의 읜견을 아무 생각 없이 답습해서는 좋은 글을 남길 수 없다.  158
종채는 아버지의 말 하나를 어렵사리 기억해 냈다.
"사마천(司馬遷)과 반고(班固)가 다시 태어난다 해도 결코 그들을 배우지 않으리라."
사마천과 반고를 배우되, 지금 여기에 맞는 글을 써야 한다는 아버지의 다짐이 담겨 있는 말씀이었다는 것을 종채는 이제야 깨달았다.
쓰는 사람이 자신의 의중을 읽는 사람에게 정확히 전달할 수 있을 때 비로소 좋은 글이라 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아집과 독선에서 벗어나 객관적인 근거를 제시하는 정밀한 글을 써야 한다.  159
관점과 관점 사이를 꿰뚫는 '사이'의 통합적(統合的) 관점(觀點)을 만들라.
아무리 하찮아 보이는 것에도 제각기 합당한 이유가 있다. 그러므로 글을 쓸때는 그런 측면들을 빠짐없이 다루어야 한다. 그래야 글을 읽는 사람이 편견에 빠지지 않고 의미를 온전하게 받아들일 수 잇다.
여러 측면들을 늘어 놓았으면 이제 그것들 사이를 꿰뚫는 새 관점을 만들어야 한다. 
대립되느 시각과 관점을 아우르면서도 둘 사이를 꿰뚫는 새로운 제3의 시각을 제시하는 것, 그것이 바로 통합의 논리다.  188
종체는 붓을 들어 여태까지 썼던 내용을 모두 지웠다. 한참을 생각한 뒤 표를 하나 그리고 깨달은 바를 써넣었다.

첫 번째 원리는 '법고의 묘'다. 그것은 처음 글을 쓰고자 할 때 명심해야 하는 원리일 것이다. 기초가 튼튼해야 앞으로 나아갈 수 있듯이 법고의 묘를 익히지 않으면 진전된 글쓰기를 할 수 없다. 책을 정밀하게 읽고 대상을 객관적인 입장에서 관찰하는 것은 법고의 묘를 익히기 위한 한 가지 방법이다.
두 번째 원리는 '법고창신의 묘'다. 법고의 묘를 익혔으면 다음으로 법고창신의 묘를 익혀야 한다. 법고창신은 법고, 즉 옛것을 그대로 따르는 것과 창신, 즉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는 것의 조화를 의미한다. 옛것을 따르되 변화를 수용하고, 새것을 받아들이되 옛것의 법도를 지켜야 한다는 뜻이다. 그래야만 고루하지 않으면서도 참신한 글을 쓸 수 있다.
세 번째 원리는 '사이의 묘'다. 글쓰기 원리 중 가장 중요한 원리라 할 수 있다. 법고와 창신의 대립 및 조화는 다른 이들도 이야기한 적이 있다.  그러나 대립을 극복하는 방책으로 사이에 대해 주목한 이는 흔치 않다. 이가 옷과 살 사이에서 생기듯, 두 사람으 ㅣ시선이 사이의 지점에서 교차하듯 글도 법고와 창신 사이에 자리해야 한다. 물론 어설픈 타협으로 만들어지는 중간 자리는 옳지 않다. 구별과 대립을 포섭하는 동시에 그 단계를 넘어서는 자리가 되어야 한다.
그랬을 때 비로소 양분(兩分)의 논리에서는 드러나지 않는 새로운 글쓰기가 시작된다. 그런 의미에서 사이는 법고와 창신을 넘어서는 새로운 논리가 될 수 있다.  190-191

실전에 적용할 수 있는 글쓰기 수칙 11가지  238-239
 이치 : 전체 틀   1. 명확한 주제 의식을 가져라.
  2. 제목의 의도를 파악하라. 
 혜경 : 구성 방식    3. 단락 간 일관된 논리를 유지하라.
  4. 인과관계에 유의하라.
  5. 시작과 마무리를 잘하라. 
 요령 : 세부 표현   6. 사례를 적절히 인용하라.
  7. 운율과 표현을 활용하여 흥미를 더하라.
  8.참신한 비유를 사용하라.
  9. 반전의 묘미를 살려라.
 10. 함축의 묘미를 살려라.
 11. 여운을 남겨라. 

'인순고식 구차미봉(因循姑息 苟且彌縫)'
"아버지께서 만년에 가장 사랑하시던 글귀일세."
"낡은 인습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눈앞의 편안함만 좇으며 임시로 변통하려 하는구나."  262
사마천의 마음에 대한 연암의 제시문에 대해 지문이 쓴글
어린아이들이 나비 잡는 모습을 보면 사마천의 마음을 간파해낼 수 있다. 앞다리를 반쯤 꿇고, 뒷다리는 비스듬히 발꿈치를 들고서 두 손가락을 집게 모양으로 만들어 다가가는데, 잡을까 말까 망설이는 사이 나비는 그만 날아가버린다. 사방을 둘러보아도 사람이 없기에 어이없이 웃다가 얼굴을 붉히기도 하고 성을 내기고 한다. 이것이 바로 사마천이 <사기>를 저술할 때의 마음이다.
"역시 기대했던 대로일세. 참으로 훌륭한 글이네. 글을 쓰는 사마천의 미묘한 마음, 그 분발심(奮發心)을 이보다 잘 표현할 글이 또 있을까 싶으이."
"과찬이십니다."
"아버지께서 정말 기뻐하시겠네."
"글쓰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글의 힘을 믿는 것입니다. 왜 글을 쓰게 되었는지 잊지 않고 모든 기쁨과 분노와 슬픔을 글에 쏟아 붓는 것입니다. 그런 마음 없이 쓴 글은 모두 헛것입니다. 그런 마음이 없다면 한순간 방향을 잃고 헤매게 되지요."  270


연암은 글 쓰는 사람의 자세를 알려주려 했던 것이다. 세속의 명예나 이익이 아닌 순정한 마음으로 쓴 글, 거짓된 소리가 아닌 진심으로 쓰는 글, 거짓된 소리가 아닌 진심으로 쓰는 글만이 세상과 맞설 수 있는 힘을 지니고 있음을 가르쳐 주려 했던 것이다. 그것이야말로 연암이 과거를 포기하고 평생토록 글을 쓰고 살면서 얻고자 바랐던 가치일 터였다.  279
 
사마천의 분발심(奮發心)을 잊지 말라.
여러 글쓰기 법칙 중에서도 이것이 가장 중요할 것이다. 글에 힘을 쏟지 않고 다른 것에 기대는 순간 글은 그 즉시 가치를 일고 만다.  282

Posted by WN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