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을 통한 '자기이해'와 '자아실현'은 작품을 분석함으로써 일어나는 것이 아니다.
오직 작품을 해석함으로써 일어난다. 8
이라고 한 것처럼 이 책은 문학작품들을 저자의 철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해석해 놓은 책이다.
나오는 문학중에 읽어본 책도 있고, 읽어보지 못한 책들도 있었다.
책 내용을 알든 모르든 저자는 작품이해를 위한 설명들과 자신의 철학적인 생각들을 풍성하게 들려주고 있기에 따라가면서 읽기만 해도 재미있는 책이라 생각이 든다.
물론 개인적으로 읽으면서는 따라가기도하고, 다른 생각들을 하기도 하며.. 내용을 중심으로 재해석해 보기도 하면서 즐거운 시간이 되었다.
특히 아직 읽어보지 않은 작품들중에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를 먼저 읽어보려고 생각한다.
근래 게으름으로 인해 읽고 바로 올리지 못하니 그간 기억이 가물거리기도 하다..
쇼펜하우어의 생각처럼, 나는 내가 미처 생각하기도 전에 벌써 이러한 삶을 진정 원하게끔 되어 있다는 말인가? 나는 마치 감옥에 갇힌 것처럼 여전히 나의 성격 안에 속박되어 있는데, 어째서 내가 자유롭다고 느끼는 것일까? 34
낭만주의자들에게 자기 실현이란 단순한 자아의 완성이 아니라 신적인 것을 닮아가는 것이며 진리의 구현이자 구원이 길이었다. 46
울지마라
외로우니까 사람이다
살아간다는 것은 외로움을 견디는 일이다. 정호승/수선화에서 55
인간의 내면에서 부성적 양심은 끊임없이 "네가 잘못하면 너는 네 잘못의 결과를 피할 수 없고, 내 마음에 들고 싶으면 너는 너의 생활 방식을 바꾸어야 한다." 라고 말하며,
모성적 양심은 "어떠한 악행이나 범죄에도 너에 대한 나의 사랑, 너의 삶과 행복에 대한 나의 소망을 빼앗지 못한다."라고 말한다는 거지요.
즉 부성적 양심은 "~때문에 내가 너를 사랑한다."라고 스스로에게 말하고, 모성적 양심은 "~임에도 불구하고 나는 너를 사랑한다."라고 자신에게 말한답니다. 67-68
자기를 사랑하는 마음에 모성적 양심을 간직하고 자신의 이성과 판단에 부성적 양심을 간직함으로써, 서로 균현을 이루어 성숙해진다는 겁니다.
자신의 내면에 부성적 양심만을 간직한다면 그는 외적으로는 냉정하고 난폭한 사람이 될 것이며 내적으로는 강박신경증 등에 시달리게 되지요. 하지만 반대로 모성적 양심만을 간직한다면 내적으로는 나약하고 의존적이며 판단력을 잃기 쉽고, 외적으로는 현실에 대처하는 능력이 떨어지며, 히스테리나 알코올 중독 같은 각종 중독에 빠지기 쉽다는 겁니다.
우리는 스스로를 위로하는 모성적 양심에 의해 내적으로 비참해지지 않을 수 있고, 자신을 종용하거나 꾸짖는 부성적 양심에 의해 외적으로 강해질 수 있는 거지요.
자유롭지만 책임을 질 줄 알고, 복종하지만 비굴하지 않고, 성실하지만 노예가 아닌 인간이 된다는 겁니다. 바로 이것이 '성장의 진정한 의미' 68
두려워 말고 새로운 이끌림에 몸을 맡겨라.
새로운 시작에는 언제나 마술적 힘이
우리를 감싸, 사는 것을 도와주리니... 헤세/삶의 단계 71
시기는 자신이 갖지 못한 것을 가진 사람에 대해 느끼는 불편한 감정인 데 반해, 질투는 자신이 이미 소유한 것을 경쟁자에게 빼앗길지 모른다는 두려움에서 오는 불편한 감정이다. 100
집요한 소유욕의 바탕에는 상대가 자기를 떠날지 모른다는 불안이 자리하고 있다는 겁니다.
알고보면, 사랑이란 '하는 것'이지 '갖는 것'이 아니며, 그 대상은 '행위의 대상'이지 '소유의 대상'이 아닌 겁니다. 112
상대를 그의 '어떠어떠함'으로 판단하지 않고 오직 그의 '있음' 자체를 존중하며, 상대의 고통과 불행을 나의 고통과 불행으로 인식하는 것이 모든 윤리의 바탕이다. 131
인간은 자신의 '어떠어떠함'이 아니라 '있음' 그 자체를 그대로 받아들이는 사랑과 그것이 주는 안식 속에서 비로소 자신의 존재의 의미와 가치를 느끼게 되며, 그럼으로써 인간다운 인간이 되는 것이지요. 135
단지 일상에 빠져, 하루하루를 그저 남들이 사는 대로 따라서 살고, 남들이 말하는 대로 따라 말하면서 무의미하게 살아간다는 겁니다. 그래서 없어도 그만인 남아도는 존재, 곧 '여분의 존재'라는 거지요. 145
독서광이라면서 무비판적으로 기존의 가치를 받아들이는 것이라면, 자신의 삶의 의미를 자신의 행위가 아니라 타인이 축적한 지식에서 찾는 것이기에 무의미하다는 거지요. 때문에 독서광은 비록 지식인이지만 여분의 존재라는 겁니다. 150
키프케고르에 의하면, 인간이 산다는것은 사유하는 것이 아니라 행위하는 것입니다. .. 인간이 되려면 인간적으로 행위하라는 것이 바로 키르케고르가 말하는 실존의 의미입니다.
사르트르는 행위 하되 과거가 아니라 현재, 외적 조건이 아니라 내적 상태에 따른 행위가 삶의 의미를 찾아주는 실존임을 강조한 거지요. 152
하이데거는 권태란 자신의 '존재의 의미'에 대해 끊임없이 염려하는 현존재로서의 인간이 가지는 가장 '근본적인 기분'이라 했습니다. 165
<고도를 기다리며>가 주는 지루함은 단순히 '흥미없음'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우리 삶의 근본적 구조에서 나온 '존재론적 권태' 바로 그것이기 때문이지요. 166
하이데거는 <형이상학의 근본 개념>에서 권태를 '표면적 권태(oberflchige Langweile)'와 '깊은 권태(tiefe Langweile)'로 나누었습니다.
자기 자신이나 상대 때문에 생기는 이런 저런 특수한 상황에 의해 붙잡혀 있으면서도 동시에 공허 속에 놓여져 있기 때문에 지루해지는 것이 '표면적 권태' 또는 '비본래적 권태'이지요.
아무런 이유가 없이 "아무튼 그냥 지루해" 라고 표현되는 무조건적인 권태가 있는데, 이것은 '깊은 권태' 또는 '본래적 권태'입니다. 문제는 이 권태에 대해서는 '시간 죽이기'가 불가능하다는 거지요.
하이데거는 '깊은 권태'를 벗어나는 방법은 오직 하나, 곧 '실존(Existence)'하는 것이라고 잘라 말했습니다.
자기 스스로 자신의 '존재가능성(seinsknnen)'을 기획하고 그것을 따라 산다는 것을 말하지요. 이러한 행위를 '기획투사(Entwurf)'라는 용어로 표현했습니다.
기획투사는 자신의 존재가능성에 스스로를 던져 그것을 자신의 것으로 만듦으로써 자기 자신을 새롭게 구성하는 행위이지요. 180-181
카뮈는 <시지프의 신화>의 서두에서 '인생은 살 가치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하는 것이야말로 철학의 근본적인 문제인 것이다.' 196
편협하지 않은 사람의 눈에는, 인간의 지성이 자신을 넘어서는 (부조리한) 현실과 부둥켜안고 대결하는 광경보다 더 아름다운 광경은 없을 것이다. 200
카뮈는 저 영원한 승리자인 시지프처럼 끊임없이 반항하라는 겁니다. 사막에서 벗어나려 하지도 말고 쓰러지지도 말고 그저 버티라는 겁니다. 병균이 오히려 자연스러운 것이며 건강이 의지의 소산이듯, 부조리는 자연스러운 것이며 부조리를 극복하는 것은 의지의 소산이라는 거지요. 그렇게 반항하며 버티다보면, 오랑에서 페스트가 물러가듯 다시 행복을 찾을 수 있으리라는 겁니다. 203
'설사 그렇지 않더라도 마치 그런 것처럼' 살아가는 것 209
아렌트의 <인간의 조건>에서 인간이 사는 세계를 '공적영역', '사적영역', 그리고 '사회적 영역'으로 구분.
인간은 '공정영역'을 통해 자신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잇을 뿐 아니라 자신을 포함한 세계에 대한 지식까지도 얻을 수 있다.
'사적영역'을 개인이 자신과 자신이 가진 사적 유대관계에 있는 사람들의 생활과 행복에 관심을 갖는 세계라 정의.
아렌트는 '자기 자신의 사적인 장소를 갖지 못하는 것은 더 이상 인간일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한다. 220-221
헉슬리는 인간에게는 행복과 안정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있는데, 그것이 자유라는 거지요. 설사 불행해지는 한이 있더라도 자신의 삶을 스스로 선택하고 실행할 자유를 가질 권리를 인간은 원한다는 겁니다. 276
어떤 한 가지 기준을 가지고 모든 것을 그것에다 맞추려는 사람을 프로크루스테스라고 하고, 그런 획일화 작업에 사용되는 폭력적 도구를 일컬어 '프로크루스테스의 침대'라고 합니다. 281
아무리 이상적이라고 하더라도 실현방법에서 인간성을 말살하는 유토피아는 디스토피아에 불과하며, 진정한 유토피아는 그 이상뿐만 아니라 실현방법에서까지도 인간의 자유, 존엄성, 사랑과 같은 인류보편적 가치들이 존중되어야만 한다는 거지요. 302
물은 독사가 마시면 독이 되지만, 젖소가 마시면 우유가 된다는 옛말을 감안해본다며느 팬옵티콘이든, 전자 팬옵티콘이든, 그것을 대하는 사람들의 태도에 따라 달라질 수가 있다는 겁니다. 즉 우리는 분명 사회가 가진 '프로크루스테스의 침대'에 의해서 제조되는 존재이지만, 동시에 우리 스스로 어떠한 삶의 태도를 갖느냐에 따라 사회를 변화시킬 수도 있는 존재라는 거지요. 304
우리는 인생이 아름답다고 믿지 않습니다. 그것은 우리가 그것을 상기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우연히 옛날의 어떤 냄새를 맡게 되면, 우리는 갑자기 도취되고 맙니다. 마찬가지로 우리는 죽은 사람들을 이미 사랑하지 않는다고 생각하지만 그것은 그들을 상기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문득 고인의 낡은 장갑 한 짝을 보기라도 하면, 우리는 눈물이 쏟아져 나옵니다. 일종의 은총, 무의식적 추억이라고 하는 한 묶음의 꽃다발에 의해서 말입니다. 332
'밑줄여행 > 인문, 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읽는 청춘에게 - 21인의멘토와 20대청춘 북로그컴퍼니 2010 03800 (2) | 2011.03.22 |
---|---|
왜 고전을 읽는가?(Why read the classics?) - 이탈로 칼비노 민음사 2008 03800 (0) | 2011.03.03 |
함양과 체찰 - 신창호 미다스북스 2010 03150 (0) | 2011.02.18 |
책만 보는 바보 - 안소영 보림출판사 2005 73810 (1) | 2011.01.31 |
거꾸로 보는 고대사 - 박노자 한겨레출판 2010 03910 (0) | 2011.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