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을 즐겨읽는편이 아니었기에 위화의 소설은 처음접했다. 
사실 소설이 재밌게 읽을 수 있다는건 누구나 아는 사실일 것이다. 
어쩌면 너무 쉬운 생각을 아니 변명을 하였는지 모르겠다. 소설을 읽다보면 그 재미에 다른 책들을 읽지 못할것이라는 막연한 생각에 멀리하였었다. 
그렇기에 인문을 다루는 큰 영역을 무시하고 있었는지도 모른다.
근래 몇 가지의 소설을 읽으면서 소설이 단순히 재밌게 읽고 넘어가는 것이 아님을 느낀다.
문학작가들의 그 심오하고 날카로우면서도 물흐르듯 흘러가는 단어들은 매료시키면서 많은 생각들을 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 해주었다.

그런 소설중에 위화의 인생은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해주고 인생에 푹 빠져 울고 웃을 수 있게 해주었다.
별로 관심없던 중국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면서 중국에 관련한 여러 도서들을 읽으면서 중국의 문제와 발전과정과 의식들을 알게 되고, 소설로는 삼국지나 초한지 서유기등 워낙 대중적인 책들외에 처음 접하는 책이다.
마오쩌둥 시절의 문화대혁명도 언급되고 그 시대의 중국의 모습을 바라보는 듯.. 
아니 어쩌면 지금 우리의 부모님 조부모님 시절의 한국의 이야기이기도 한듯한 그 내용은 가족과 이웃과 나를 그리고 환경에 의한 사람을 다시금 생각해 보게 해주었다.
혼자만의 공간에서 읽어야만 하는 부분들이 있었다. 눈시울이 붉어졌다.. 하나의 눈물이 볼을 타고 내릴때 나는 어머니를 아버지를 생각한듯하다. 아니 우리의 선조들의 아픔을 생각한건 아닐까 싶다.. 민족주의를 주창하지 않더라도 인간에게 가족은 부모는 자식은 모두... 그런 존재일 것이다..

중국의 역사적인 사건들을 조금이나마 알고 있는 상태에서 보았기에 더 가까이 다가왔는지도 모르겠다... 이 책을 덮으면서 다시금 몇 가지의 내용들을 검색해 보기도 하였다.
위화라는 작가는 참 유명한 사람이다. 그걸 나는 이제 알게 되었다.. 위화의 책들을 여러권 더 읽어보고 싶을 만큼 책은 나에게 가까이 다가온듯하다.

푸구이 와 자전 펑샤 유칭 춘성 라오취안 대장 얼시 쿠건 
푸구이의 삶이 결코 순탄하지 않았다. 허나 그는 끝까지 살아남아 지나온 시대를 비춰주고 있다.
그렇기도 하지만 그의 삶은 결코 순응만 하거나 반항만한 삶이 아니다. 
그렇기에 그는 살아남아 운명을 개척한것일지도 모르겠다.
나는 그의 삶에서 안타까움만 느낀것이 아니라 .. 그 아픔들을 기꺼이 자신이 삼켰다는 점이 더욱 끌린다.
우리가 한평생 살아간다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진솔하게 생각하게 한다. 

위쪽이 다르게 생겼으면 그 각각에 대한 내 마음도 다 달라지니 난들 어쩌겠나.
예봉을 감추고 에두르는 말로 나를 일깨웠지.
아버지의 신발도, 자전의 요리도 내 발목을 붙잡지는 못했다네.  31

가만 생각해보니 겨우 하루 돈을 나르고도 사지가 다 풀릴 정도로 힘든데, 그 돈을 벌기 위해 얼마나  많은 조상들이 고생했을까 싶더라구. 그제야 난 아버지가 왜 은화가 아니라 동전을 고집했는지 알게 됐지. 바로 그런 이치를 깨닫게 하려고, 그러니까 돈을 번다는 게 얼마나 힘든 일인지 알게 하려고 그러신 거야.  50

아버지가 돌아가신 뒤... 종일 초가집 앞마당에 앉아 눈물을 뚝뚝 흘리거나 한숨을 푹푹 쉬거나 하며간을 보냈지.
"사람은 즐겁게 살 수만 있으면 가난 따위는 두렵지 않은 법이란다."  57

당장의 위급함은 도와도 가난은 돕지 않는다고 했네.  67

춘성, 스스로 죽지 않는다고 생각하면 죽지 않아.  96

사람이 이 네 가지를 잊어서는 안 된다네. 말은 함부로 해서는 안 되고, 잠은 아무데서나자서는 안 되며, 문간은 잘못 밟으면 안 되고, 주머니는 잘못 만지면 안 되는 거야.  200

여자들은 하나밖에 몰라서 한 번 그렇다고 생각하면 누구도 마음을 돌릴 수 없는 법이야. 나는 춘선을 마을 어귀까지 바래다주며 말했다.  209

"당신이 돌아온 다음 모든 게 다 좋아졌어요."  228



도저히 자신의 힘만으로는 어쩔 수 없는 상황이 불현듯 닥쳤을 때 운명을 생각해보지 않은 사람은 아마 아무도 없을 것이다.
정말 운명이라는 것이 있다면 얼마나 그것과 맞붙어야 운명과의 우정을 이야기할 수 있을까. 흙먼지  풀풀 날리는 길을 함께 걷고 진흙탕을 같이 뒹굴며 체념이 아니라 그 운명의 존재, 그림자의 존재를  인정하듯 그것의 불가해한 존재 자체를 인정해야 한다면... 그리고 인정한 만큼 그것을 진정한 삶의향으로 이끌기 위해 그것과 정정당당하게 맞붙을 수 있다면... 그럴 수만 있다면 사람은 지금까지 살아온 것보다는 훨씬 넉넉한 가슴과 깊은 눈매로 제 삶을 되돌아보고 그 이후의 삶에 대해서도 더욱 준엄하고 살갑지 않을까.

전체적으로 보면 인간적 삶의 문제를 진솔하게 그려냈다고 할 수 있지만, 이 작품은 역사성과 삶의 진실이라는 문제를 자연스럽게 접목하고, 그 속에서 한 가족사를 통한 중국 현대사 읽기를 시도하였다는 점이다.  

푸구이가 운명으로 받아들이지만 자기 해체 과정을 농민이라는 존재로서의 삶을 통해 극복해내고 있고, 그것이 땅과 노동에 대한 강렬한 희구와 그 현실적 노력 속에서 정채롭게 그려지고 있다.

농민으로서의 삶은 푸구이가 이전에는 불가능했던 가족간, 지기 간의 사랑과 우정이라는 관계적 삶을 회복하게 하여 인간성 회복의 차원을 획득하게 한다.

위화는 중국 혁명과 대약진, 문화대혁명에 이르는 역사적으로 중요한 대목드을 당시의 대다수 중국민의 입장에서 일상적 삶이라는 창을 통해 투시해보고자 하였다. 총알과 돌아갈 여비, 쓰레기 취급당한 채 죽어간 부상자들과 만터우, 국민당군과 해방군을.

굶주린 사람에게 뜨거운 만터우를, 집으로 돌아가고 싶은 사람에게 여비를, 중국 혁명 해방의 정당성을 이 소설은 그처럼 날카롭게 포착해 낸 것이다.
위화가 소설 속에서 개인과 그의 운명을 이야기하고자 할 때, 그 개인은 어디까지나 역사적이고 현실적인 개인이고 집체로서의 가족이다. 따라서 그 운명은 역사적 현실이 된다. 

주인공 푸구이는 그 운명을 거역하지도 않지만 결코 그것에 무릎 꿇지도 않는다.

궁극적 삶이라는 결론을 끝이 아닌 과정이요, 해답이 아닌 살아감이라는 궤적이라고 이 소설은 풀이하고 있는 것이다.
단정적 평가가 아니라, 그 속에서 살아간 수많은 사람들의 치열한 삶의 내력에 굳은 신뢰라는 방점을 찍으면서 따뜻하게 끌어안으려는 것이 이 소설을 쓴 위화의 깊은 속내가 아닐까 한다.

사랑과 우정, 인간의 그 보편적 삶의 방식이 소설의 서사적 근간을 이루면서 따뜻하게 펼쳐지고 있는 것이다. 요컨대 역사적 현실이든 운명이든 그것이 삶의 아픔으로 다가올 때, 사람은 사회적 존재의 고나ㅏ계망 속에서 사라오가 우정의 힘으로 역사적 현실이자 운명에 맞서고 바대끼고 때로는 어깨를 걸치고 한 걸음 한 걸음 삶의 도전으로 나아간다는 것을 이 소설은 나직이 이야기 하고 있다.

위화는 삶이란 이 원론과도 같은 사라오가 우정을 힘으로 운명, 역사적 현실 앞에서 때로는 물러서기도 하지만 결코 늦출 수 없는 긴장 속에서 이마를 맏대고 나아가는 것임을 보여주고자 하는 것이다.


총괄하자면 <인생>은 1990년대 중국 문단에서 신역사소솔이라는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고 그 진수를 보여준 측면이 돋보인다.
Posted by WN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