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아이를 아이답게 키우는 것이 아이를 위한 일임을 우리는 잘 안다. 하지만 우리 사회에서 아이를 아이답게 키우기가 얼마나 어려운지 늘 보고, 듣고, 느낀다. 두렵다.  5



안타깝지만 지금의 학교는 아이를 관리하는 곳이지, 결코 아이의 삶을 존중하고 아이가 최선의 길을 가도록 도움을 주는 곳이 아니다.  22

고등학교까지만 우수한 나라. 문제 풀이에 능해 국제수학올림피아드(IMO)까지는 잘하지만 수학자는 없는 나라. 이런 상황을 모두 다 비판하지만 정작 자신의 아이는 똑같이 그 시스템 안에서 돌리며 어쩔 수 없다고 말하는 나라. 얼마나 가슴 아픈 현실인가.  26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 핵심은 사회 인식이다. 즉, 지금 우리 사회에서 가장 필요한 건 사회에 대한 옳고 그름의 인식이다. 그 인식은 다른 누군가의 의견이 아니라 스스로의 경험에서 나온 인식이어야 한다. ...
사회인식이란 남의 경험이 아닌 자신의 경험을 토앻 우리 사는 사회가 어떠한지를 정확히 아는 것이다. ...
요즘 보면 각자 자기주장이 강한 듯 보인다. 사회인식이 확고한 듯 보인다. 하지만 찬찬히 대화를 나눠보면 자신의 이야기가 아닌 어디선가 들은 이야기를 자신의 이야기처럼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다 보니 더 구체적이고 광범위하게 대화를 나누려고 하면 말문이 막히곤 한다. 인식이 정립된 상태에서 말을 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누군가의 이야기로 만들어진 부실한 인식을 통해 말을 하기 때문이다. ... 이런 잘못된 습관이 만연해 있으니 사회를 보는 인식이 약화되는 것이다.  27-28

사회가 그래서 나도 어쩔 수 없다고 말할 수도 있다. 내 아이만 뒤처지게 만들 수 없다고. 결국 모두 앉아서 영화를 보면 편한데, 모두 서서 영화를 보는 시대가 되고 말았다. 어떻게 하면 이런 사회를 바꿀 수 있을까? 안타깝게도 사회를 바꾸기는 매우 힘들다.
그럼 방법은 없는가? 방법은 스스로 변화하는 것뿐이다. 먼저 내가 올바른 인식을 가져야 한다. 그리고 그 올바른 인식을 내 아이도 가질 수 있게 해야 한다. 그렇게 하려면 때로는 용기가 필요한 때가 있다. 그때 용기를 가지고 부딪칠 수 있어야 한다.  28-29

이제 인식을 전환하자. 학교는 의무가 아닌 선택이다.   46

홈스쿨링에 관심 있는 부모들이 가장 많이 하는 질문은 “제가 할 수 있을까요?”다. ... 아이를 사랑하는 부모라면 전혀 걱정할 필요가 없다. 우리는 아이를 키울 때 정밀기계를 다루듯이 키우지 않는다. 또한 아이를 키우는 데 어떤 조건이 있는 것도 아니다. 더불어 늦는 것은 없다. 물론 빨리 실행하면 좋은 것들이 많지만 늦었다고해서 아이를 잘못 키우는 건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걱정을 덜어버리는 일이 우선이다.
아이는 이성과 감정을 가진 인간이다. 혹여 우리가 잘못된 교육방식으로 가르치더라도 시간이 지나 스스로의 깨달음을 통해 충분히 좋은 방향으로 변화할 수 있다. 그렇게 되기 위한 필수조건이 바로 아이에 대한 사랑과 관심이다.  46-47

‘좋은 아이’란 부모가 원하는 모습대로 자란 아이를 의미하진 않는다. 아이가 가진 모습 그대로 올바로 자란 아이를 의미한다. 좋은 아이가 되기 위해서는 먼저 부모가 좋은 부모가 되어야 한다. 부모가 편견에 사로잡히고 열등감에 빠져 있다면, 아이가 편견과 열등감 없이 자라는 것은 불가능하다.  ...
어떤 부모가 좋은 부모일까? 아이에 대한 사랑과 관심은 기본이다. 기본에 한 가지를 더해야 한다. 바로 아이를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눈이다.  49-50

부모가 노력한다면, 아이를 위해서 기꺼이 스스로 배우겠다는 의지가 있다면, 훌륭한 교사가 될 수 있다.  62

많은 아이들은 딱히 재능이 보이지 않는다.  ...
기다려야 한다. 당장 찾지 못한다고 해서 인생이 잘못되는 게 아니다. 대기만성, 아직 보이지 않지만 시간을 가지고 기다리다 보면 재능도, 꿈도 찾게 되는 시기가 온다. 섣불리 재능이라고 해서 무언가를 시작했다가 아이만 상처 받을 수 있다. 그러므로 보이지 않는다면 기다리자. 아이의 재능 없음을 인정하자.  82

부모도 경험을 통해 안다. 하지만 세상살이의 고단함 때문인지 완주보다는 메달을 원한다. .. 부모는 각성해야 한다. ... 분명 메달보다 소중한 것은 완주이다.  101

어떻게 해야 아이를 온전히 키울 수 있을까? 아이에게 인생의 훈련은 시키되 가르쳐서는 안 된다. 즉, 아이가 먼저 지금 시기에 필요한 것을 익힐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153

홈스쿨링은 가치에 따른 단점이 분명 존재한다. ... 만약에 아이가 예상과 다른 방향으로 간다는 생각이 들면 어덯게 해야 할까? 그때는 지체없이 일단 중단해야 한다. 그것이 홈스쿨링이든 학교든 마찬가지이다. 아이가 거부하는 상태에서 무리하게 강요하면 깨끗한 도화지에 지울 수 없는 진한 선을 긋는 것이다. 그 선은 아이가 평생 지고 가야 하는 아픔이 된다.  277

번아웃증후군은 의욕적으로 일하다가 목표를 이루거나 이루지 못하거나, 일을 끝내거나 간혹 일이 끝나지 않은 상태에서 신체적, 정신적으로 극도의 피로감을 느끼며 더 이상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상태가 되는 것을 의미한다. 번아웃증후군은 새악보다 우리 주위에 가까이 있다. 누군가는 슬럼프 정도로 생각하고 금방 이겨내기도 하지만 누군가는 번아웃증후군에서 빠져나오지 못한 채 많은 시간을 무기력하게 보내는 경우도 있다.  279

홈스쿨링을 하다가 조금씩 긍정적인 성과가 보이면 더 나은 결과를 내고자 무리하고 싶을 때가 여러번 온다. 그때 마라톤을 뛰고 있다는 사실을 명심하고 오버페이스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그래야 마라톤이 끝났을 때 어떤 결과가 나든 다시 마라톤을 뛸 수 있다.  281

어떻게 하면 .. 번아웃증후군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일단 쉬어야 한다. 어느 누구의 간섭도, 눈치도 받지 않고 편하게 쉬어야 한다. 그래야 회복할 수 있다.  ...
잘 쉬었다면 그것으로 끝나지 말고 새롭게 시작해야 한다. ... 새롭게 열정이 생길 수 있는 무언가를 찾아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많은 경험이 필요하다. 그동안 하고 싶어도 하지 못했던 일들을 하며 다양하게 경험해야 한다. 그를 통해 새롭게 열정이 생기는 일을 찾아야 한다. 그렇게 찾았다면 이번에는 천천히 뛰기 시작하면 된다.  282-283

우리 사회는 복잡한 상황에 놓여 있다. 사람들은 예전보다 사회 문제에 관심도 많고, 그에 대한 옳고 그름을 논하는 등 사회인식이 강해진것처럼 행동한다. 사실, 사함들이 더 똑똑해진 듯 보이지만 그것이 ㅣ경험을 통해서 얻은 똑똑함은 아니다. 다른 누군가의 생각을 자기 생각이라고 믿는다. 그러다 보니 경험을 통해 자신의 생각을 키우려고 하지 않은채, 댓글만 쫓아다니는 상황이 벌어진다.  290

경험을 통한 사회인식. 그것만이 살길이다. 뼈저리는 아픔 없이 얻은 사회인식은 분명 내 것이 아니다. 내 생각이 아닌데 내 생각인 줄 알고 살다 보면 괴리감이 발생하고 늘 어딘가 모르게 찝찝함을 느낀다. 내 생각대로, 내 경험에 근거한 생각대로 살아야 깨달음이 올 때 바꿀 수 있는 용기가 생긴다. 남의 생각대로 살면 새로운 상황에 부딪쳤을 때 그저 기존의 생각은 버리고, 또다시 새로운 생각을 줍는다. 즉, 문제가 있을 때마다 새로운 생각을 줍게 된다. 그렇게 되면 한마디로 생각 없는 사람이 된다. 모든 일에 주위의 눈치를 살피는 사람이 된다.
내 경험에 근거한 사회인식이라면 다른 사람의 의견을 들었을 때 누가 옳은지 그른지에 대한 깨달음이 있으며 때로는 남의 생각을 받아들이고, 때로는 눈에 불을 켜고 싸울 수 있다.  291

인생에 늦는 건 없다. 짧은 순간이라도 아이가 자신의 인생을 살았다면 행복할 것이다.  294

노련한 부모는 아이에게 어떻게 도움을 주어야 할 지 알고 있었다. ... 수없이 많은 삶의 경험을 자신의것으로 녹여낸 부모가 노련한 부모이다. 지금 이 순간에도 남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면, 쓸데없이 아이와 함께 마라톤을 뛰고 있는 부모는 노련한 부모가 아니다.  296

Posted by WN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