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 함께 읽고 함께 쓰다


조정래 작가는 "영혼의 배고픔을 모르는 사람들에게 독서를 강요하지 말라"고 말했다.  5


저녁이 있는 삶  7






엄기호의 <우리가 잘못 산 게 아니었어>에 따르면, 체험은 너무 개별적이고 특이해 설명이 불가능한 반면, 경험은 이를 이야기로 만들어 누군가를 깨닫게 할 수 있다. 경험은 오직 관계를 맺을 때 일어난다. 즉 남는 게 없는 읽기란 책과의 관계 맺음에 실패한 체험에 불과하다.  13


'책을 읽은 뒤 최악의 독자가 되지 않도록 하라. 최악의 독자라는 것은 약탈을 일삼는 도저고가 같다. 결국 그들은 무엇인가 값나가는 것은 없는지 혈안이 되어 책의 이곳저곳을 적당히 훑다가 이윽고 책 속에서 자기 상황에 맞는 것, 지금 자신이 써먹을 수 있는 것, 도움이 될 법한 도구를 끄집어내어 훔친다. 그리고 그들이 훔친 것만을 마치 책의 모든 내용인양 큰소리로 떠드는 것을 삼가지 않는다. 결국 그 책을 완전히 다른 것을로 만드렁 버리는 것은 물론, 그 책 전체와 저자를 더럽힌다.' - <니체의 말>  19


'지금 생각하는 바를 지속적으로 합리화하면서 고집하기 때문에 사람 살아가는 모습이 변하지 않는 것이다...18세기 프랑스의 교육철학자 콩도르세는 사람을 '생각하는 사람'과 '믿는 사람'으로 나누었다. 이는 다시 말해 '근대적 인간'과 '중세적 인간'으로 나눈 것인데, 이를 다시 내 식대로 적용해 보면 '내 생각은 어떻게 내 것이 되었나?'를 물을 줄 아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으로 나눌 수 있다. 왜냐하면, "내 생각은 어떻게 내 것이 되었나?"라고 물을 때 자기 생각을 바꿀 가능성이 그나마 열리지만, 그렇지 않을 때에는 자기 생각을 바꿀 가능성이 없는, 지금 갖고 있는 '생각을 믿는' 사람으로 남기 때문이다.' - 홍세화 <생각의 좌표>  41-42


'내가 지금까지 아주 참된 것으로 간주해 온 것은 모두 감각으로부터 혹은 감각을 통해서 받아들인 것이다. 그런데 감각은 종종 우리를 속인다는 것을 이제 경험하고 있으며, 한 번이라도 우리를 속인 것에 대해서는 전적으로 신회하지 않는 편이 현명한 일이다. - 데카르트 <성찰>  44


공감력이 높은 사람일수록 간접경험의 확률 또한 높아진다. 문제는 공감력이 부족한 독자, 어떤 책을 보든 자기 문제가 아니면 몰입을 하지 못하는 경우다.  45


권위적인 부모 밑에서 자랐거나, 규율을 꼭 지켜야 하는 환경에 놓인 아이들은 표현력이 금세 좋아지지 않는다.  67


요즘 학생들은 조금이라도 다르거나 튄다고 생각되면 냉소하는 경우가 많다. 자신은 특별해보이길 원하면서 친구가 다르게 보이는 것은 원치 않는다. 아이들은 놀리거나 냉소하며 상대의 개성을 묵살한다.  71


독서토론의 가장 큰 목적은 책을 잘 읽는 것이다. 여가서 잘 읽는다는 의미는 '넓고 깊게'로 해석할 수 있다.  71


독서토론에서 아이들이 배우는 가장 큰 가치 또한 자기관찰이다.  72


배움의 공동체 숭례문학당은 '100권 읽고 토론하면 인생이 바뀐다'는 슬로건을 내세운다.  80


수다로 끝나는 도서모임은 만족시키지 못했고 성장시키지도 못했다. 인문학을 중심으로 한 고급 독서토론 모임.  81


학습공동체 '숭례문학당'은 2008년에 문을 연 rws인스티튜트로부터 시작됐다. 독서가 '책(reading)'으로 끝나지 않고, '글(writing)'과 '말(speech)'로 구현되었으면 하는 마음에서 시작한 일이었다. 

책과 관련된 일을 하고 싶은데, 서점 아니면 출판사, 그 외에는 직업으로 할 만한 게 없어서 취미인지 사업인지 경꼐도 불분명한 '일'을 시작했다.  121


너무 진지한 것만도 아니고, 너무 소비적이지도 않은 모임. 재미와 의미를 함께 추구하는 학습공동체!

독서는 힐링이나 자기계발 차원에서 머물던 수동적인 독서에서 자기 성찰과 토론을 통해 주관을 확보하는 능동적인 독서로 발전해야 한다.  124


언제부터인가 우리 사회가 너무 '각론강박증'에 시달리고 있다. 대학세어 인문학의 위기가 오고 기술을 우선시하는 현상도 그 자장안에 있다. 총론의 방향성은 차치하고 각론의 성급함한 요구한다. 과정은 무시하고 결과만 얻고자 한다. 씨를 뿌리지 않고 수확만 기대하는 꼴이다.  134


양이 쌓여야 질이 올라간다  146


존 로크가 "독서는 다만 지식의 재료를 공급할 뿐이며, 그것을 자기 것이 되게 하는 것은 사색의 힘"이라고 말한 이유도 바로 독후활동, 독서를 자기 것으로 체화하는 과정을 강조한 말이라고 할 수 있다.  147


소비적인 독서를 하곤 한다. 이른바 독서쇼핑이나 강연소핑처럼.  147


숭례문학당이 설계한 독서토론은 '미투지투(味2智2 맛미 지혜지)'를 지향한다. 재미와 의미, 메시지와 에너지를 모두 담을 수 있도록 모델화했다.  176


독서토론을 하는 이유는 .. 사고를 확장하고 자신이 보지 못한 새로운 이면을 보기 위해서다.  193


독서토론은 시끄러워야 재미가 있다.

다양한 의견과 논리적인 근거들로 시끄러워야 한다.  203

Posted by WN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