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접었지만 내가 접지 않은
 

종이학을 접었다. 날씬하게 잘 접었다. 그런데 누가 접은 거냐고 묻는다면 내가 접었다고 대답할 수 있을까? 내가 접은 것은 없다. 내가 접은 종이학도 나 혼자 접은 것이 아니다. 누군가가 나무를 심었을 것이고, 누군가가 그 나무에 물을 뿌렸을 것이고, 누군가가 그 나무를 베었을 것이고, 누군가가 그 나무로 종이를 만들었을 것이고, 누군가가 그 종이를 나에게 가져다 줬을 것이다.
또 누군가는 나에게 종이학 접는 법을 가르쳐 줬을 것이고, 누군가는 낭게 종이학 접는 법을 가르쳐 준 사람을 소개해 줬을 것이고, 누군가는 나에게 종이학 접는 법을 가르쳐 준 사람을 소개해 준 사람을 소개해 줬을 것이다. 천 번을 접는다 해도 나 혼자 접은 종이학은 없다. 내 손을 잠시 만난 종이학이 있을 뿐.



내가 하였지만 따지고 보면 내가 한것만은 아니다.
난 단지 마지막에 작업을 한것일 뿐. 
우리는 관계라는 것을 하며 살아갈 수 밖에 없다. 
예전처럼 자급자족의 시대도 아니지만, 인구의 증가로 인해 관계라는 소통이 없으면 살아가기 힘든 세상에 살고 있다.
하지만 과학문명의 발전은 우리에게 소통을 제품으로만 하도록 조장하고 있다.
아니 과학의 발전이라기 보다는 좋은 의도의 발전에 인간의 이기심은 조장이라는 결과를 양산하고 있다.
이것은 매우 무섭게 시대를 조장하고 있음에도 우리는 알기도 하고 모르기도 하면서 조종 당하며 살아가고 있다.
그렇기에 소외현상은 매우 발전하였으며 사회현상에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왕따, 은따 부터 시작하여 '나만 좋으면 된다'는 생각이 만연하고 있는 시대에 우리에게 필요한 것 중의 큰 것 하나는 '관계'라는 것의 깊은 생각이 우선일 것이다.
우리는 사소한 것부터 시작하여 협력하지 않으면 경쟁은 커녕 시도조차 해보기 힘들다. 경쟁또한 조장의 영향이긴 하다.
하지만 협력하는 경쟁이라면 어느정도는 용납될 것이다. 

어느 교수의 말처럼 우리는 협력이 필요한 시대에 협력을 하면 안되는 교육을 하고 있다.
협력은 커녕 선의의경쟁이 아닌 짓밟고 올라서야 하는 환경속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 아이들에게 우리가 기대할 수 있는 것은 없지 않을까. 

관계는 우리를 겸손하게 하고 겸허를 받아들이게 한다.
관계는 사랑과 신의를 경험하게 한다.
관계는 우리의 삶을 고찰해 보게 하는 좋은 선생인 것이다.
그런 관계의 의식을 가질때 우리의 삶이 한결 밝아지지 않을까.



 

'나를 쓴다 > 숟가락 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입이 할 수 있는 최고의 일  (0) 2012.01.11
서산에지는 해를 끄집어 올리는 방법  (0) 2012.01.09
문제와 답  (0) 2012.01.04
몸이 마음에게  (1) 2012.01.02
지름길  (0) 2011.10.18
Posted by WN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