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날 저자의 책을 모두 검색하여 훑어보았다. 그러면서 먼저 볼 책을 선별하여 정리해 두었다.
그러고 얼마후 우연하게도 저자의 책 세 권이 수중에 들어왔다.
이 책은 제목이 참 마음에 들었다. 그러면서 김난도 교수의 <아프니까 청춘이다>란 책의 제목이 떠올랐다.
저자는 젊은 사람들을 가볍고 대세에 순응적이고 적당주의적인 모습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일 년여 동안 11명의 젊은 사람들을 만나 그들이 좋아하는 일에 빠져 있는 것을 보면서 자신의 걱정이 기우였다고 하였다.
물론 저자가 만난 사람들은 세상의 성공에 초점을 두지 않는 삶을 살아가는 어쩌면 지금의 세상적인 눈으로 보았을 때 독특한 1%의 삶을 살고 있을지 모른다.
하지만 대다수의 젊은 사람들은 이들과는 정 반대의 삶을 지금도 살아가고 있다.
결국 이 책은 그런 방황하는 청춘들에게 대세순응적인 삶이 자신의 삶이라 할 것인지에 대한 의문을 가지고, 역경 속에서도 자신의 삶을 개척해 나가는 사람들을 통해서 자신의 설 자리를 찾아보자는 의도일 것이다.
청춘의 시작은 대충 감이온다. 하지만 청춘의 끝은 어디쯤일까?
저자는 그것의 정의가 어렵다고 하면서도 조심스럽게 30대까지로 정의내린다. 공자의 표현을 빌려 '40에 들어서는 불혹'즉 미혹되지 않는 나이라는 것이다.
백세를 바라보며 살아가는 현대에 40대도 청춘이 아닐까.. 굳이 미혹되지 안는다고 청춘이 아니라 표현하기 어려울 것 같다.
어쩌면 청춘의 범주를 긋는 것이 무의미 할지도 모르겠다.
저자의 표현을 빌어 보자면 '망설임과 방황은 청춘의 특징이자 특권이다.'
'인생에서 가장 큰 회한은 자신이 살고 싶은 대로 인생을 살아가지 못할 때 생긴다.'
그렇다. 망설임은 언제나 하는 것이다. 그리고 자신이 살아 보고 싶은 삶을 살아가지 못하는 삶이 가장 큰 회한이라는 말처럼 청춘이라는 표현의 정의보다는 자신의 삶을 꾸려나감에 있어서 자신의 느낌과 감정을 생각해 보는 삶이 더 중요할 것이다.
저자의 표현중에 '수수께끼의 공백시대'이 있다.
청춘이란 언젠가는 오게될 출범을 준비해 놓는 시간이란 것이다. 즉 '하려는 의지'가 필요한 시기이다.
이런 관점에서 지금 나는 출범을 준비하는 청춘인지에 대해 고민해 보게 된다.
인터뷰에 나온 청춘들의 공통점은 저자의 표현으로는 '내가 만난 이들은 이상하게도 모두 열등생들이었다.'이다.
그에 더해 내가 드는 공통점은 그들은 모두 열악한 조건을 열악하다고 생각하기보다는 과정의 일부라고 생각했다는 것이다.
그들은 사회가 알아주건 아니건 상관하지 않았기에 열악한 조건을 가지고 그에 맞추어 살아가면서 경험을 축적하고 체화해 나갔다는 점이다.
이것은 자신이 하려고 했든 하지 않았든 관계없이 그들 자신의 열정을 믿고 나아갔다는 점이다.
자신이 자신에 대한 믿음과 신뢰를 가지고 있다는 점은 무언가를 할때 가장 크게 작용하는 점이다.
개인적으로 지금의 나는 30대이다.
내가 하는 것에 확신을 가지지만 문득문득 불안을 느끼는 것이 사실이다.
불학실한 미래이기에 불안을 가지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것인지 모른다. 이들도 분명 그러한 생각들을 많이 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그들을 믿고 나아갔다는 사실은 분명 우리가 깊게 생각해야 할 부면이라 생각든다.
'책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모들이 반드시 기억해야 할 쓴소리 - 문용린 (0) | 2012.04.01 |
---|---|
생각 버리기 연습 - 코이케 류노스케 (0) | 2012.03.31 |
소셜 애니멀 - 데이비드 브룩스 (0) | 2012.03.28 |
내 영혼이 따뜻했던 날들 - 포리스트 카터 (1) | 2012.03.26 |
방배동 김선생의 공부가 희망이다 - 김종선 (0) | 2012.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