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파티스타 민족해방군 [Zapatista National Liberation Army]
1994년 멕시코 치아파스주(州)의 마야계 원주민들에 대한 토지분배와 처우개선을 요구하며 봉기한 반정부
투쟁단체
1994년 멕시코 정부와 기업인·농장주 등이 우민화 정책의 일환으로 원유·천연가스·목재 등 남부의 풍부한 자원을 착취하면서 부정부패를 일삼자, 이에 반발해 치아파스주(州)의 마야계 원주민들에 대한 토지분배와 처우개선을 요구하며 봉기한 반정부 투쟁단체를
말한다. 스페인어 'Ejército Zapatista de Liberación Nacional'의 머리글자를 따서 'EZLN'으로도 통한다.
이들의 지도자는 프랑스 파리대학교에서 공부한 인텔리이자 동화책을 집필하는 등 멕시코의 체 게바라로 평가받는 인물로, 이름은 마르코스(Marcos)이다. 그는 민족해방군의 부사령관을 맡아 1994년부터 밀림을 거점으로 반정부 투쟁을 지휘하고 있다. 1997년 12월, 세디요(Ernesto Zedillo) 정부 당시 사파티스타민족해방군에 동조했다는 이유로 45명의 원주민 농부들이 학살되면서 사태가 악화되어 정부군과 이들 반군 사이에 긴장이 감돌았으나, 2000년 비센테 폭스(Vicento Fox)가 대통령으로 취임하면서 반군과의 평화협상 방침을 천명함으로써 사태는 진정 국면에 들어섰다. 그러다 2001년 3월, 이탈리아의 인권단체 회원 등 500여 명의 외국인과 함께 멕시코 전역을 순회하며 15일 동안의 평화행진을 한 뒤 수도인 멕시코시티에 입성함으로써 7년여를 끌어 온 내전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였는데, 멕시코 정부도 수천 명의 연방경찰과 군 병력을 동원해 이들을 보호함으로써 우려할 만한 사태는 일어나지 않았다. 평화행진을 마친 뒤 민족해방군은 원주민 권익보장촉구대회를 열어 원주민 권리보호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산 안드레스 협정'의 의회 비준과 치아파스주에 있는 정부군의 전면 철수, 수감 중인 반군 포로 및 동조자 전원 석방을 요구하였다. |
치아파스는 '사파티스타'라는 정부에 대항하는 반군의 지배 지역이다.
우리나라와 경제순위가 비슷한 멕시코의 일부이면서
가난하고 빈곤한 삶속에서도 전혀 정부의 복지나 지원을 기대할 수 없는 이유가 바로
치아파스를 지배하는 사파티스타가 있기 때문이다.
보통의 반군처럼 봉기 이유가 특정 이데올로기와 같은 사상,이념에 있지 않다는 것에서
사파티스타는 조금 다르다.
커피, 옥수수를 재배하던 깊은 산속 마야인들과는 전혀 상관없을 것 같은
강대국 산자유주의의 거대한 물결로 인해 이들이 당할 수 밖에 없던 현실적인 고통은
이들을 마스크와 총을 든 반군으로 만들어 버렸다.
표현하자면 이른바 '생계현 반군'인 것이다.
스페인어 'Ejército Zapatista de Liberación Naciona'의 약자를 따서 EZLN이라고 통하는 사파티스타의
시작은 1992년 NAFTA(북미자유무역협정)부터 시작된다.
NAFTA는 미국,캐나다,멕시코 3국이 맺은 자유무역협정이고,
이로 인해 미국의 자본과 기술, 캐나다의 자원, 멕시코의 값싼 노동력이 결합되어
지역경제를 발전시키자는 취지였다.
하지만 치아파스
의 입장에서 보면
수자원, 목재, 목축 커피 옥수수등 풍부한 자연자원을 가진 시골마을은
NAFTA에 가입하면서 옥수수 수입제한, 커피 보조금등의 정책의 폐지를 불러왔고,
이 지역의 주를 이루는 마야 후손들의 취약한 경제 기반을 순식간에 무너뜨리고 말았다.
삶의 터전을 버리고 농사짓기를 그쳐야 했던, 아이들을 더이상 학교로 보낼 여유조차 가질수 없던 마야인들은
스키마스크와 붉은 마스크를 얼굴에 두르고 총을 들기 시작했다.
한미FTA로 생존권을 위협받는 우리 농민들과 하루아침에 삶의 터전을 잃어버린 쌍용자동차 노동자들의 시위가
사파티스타의 봉기와 매우 닮아 있다.
그들은 강대국, 다국적기업의 이윤추구 앞에서 처절하게 생존의 몸부림을 치고 있는 것이다.